
1년 전
8.15 광복절 기념 | 태극기 그리는 법 (건곤감리 쉽게 그리기)
8월 15일인 내일은 대한민국 역사상 가장 경사스러운 날인 광복절입니다. 1895년부터 1945년에 이르기까지 36년간 이어진 일본의 제국주의에서 벗어나 빛을 되찾은 뜻깊은 날이죠.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모두가 축하해야 마땅한 국가기념일 광복절. 우리의 마음을 담은 태극기 달기로 광복절의 의미를 되새기고 기쁨을 나눠보면 좋을 텐데요.
제78주년 광복절을 앞둔 오늘은 우리나라를 상징하는 국기, 태극기를 그리는 방법을 알아보려 합니다. 평소 태극기 그리기가 어렵다고 느껴지신다면 태극기 쉽게 그리는 방법 2가지를 배워보아요!
태극기에 담긴 의미
태극문양, 건곤감리는 무슨 뜻?
우리나라 국기인 태극기는 ‘흰색 바탕’ 가운데에 자리 잡은 ‘태극문양’과 ‘건곤감리(乾坤坎離)’의 4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태극기의 흰색 바탕은 밝음과 순수, 그리고 평화를 사랑하는 우리의 민족성을 나타내고요. 가운데 있는 태극문양은 음(파랑)과 양(빨강)의 조화를 상징하는 것으로 우주 만물이 음양의 조화로 인해 생명을 얻고 발전한다는 대자연의 지리를 표현합니다.
건곤감리로 불리는 모서리의 4괘는 음과 양이 서로 변화하고 발전하는 모습을 구체적으로 나타내고 있는데요. 4괘 가운데 ‘건(乾)’은 우주 만물 중 하늘을, ‘곤(坤)’은 땅을, ‘감(坎)’은 물을, ‘리(離, 이)’는 불을 상징합니다.
4괘는 각각의 방향과 절기를 상징하기도 하는데요. 건은 동쪽과 춘분, 곤은 서쪽과 하지, 감은 북쪽과 동지, 리는 남쪽과 추분을 상징하고 있습니다. 이들 4괘는 태극을 중심으로 통일의 조화를 이룬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태극기 쉽게 그리는 법 1.
위⬆ 아래⬇ 위⬆ 아래⬇ 순서로 그리기
자, 그럼 본격적으로 태극기를 그리는 방법을 알아볼까요. 태극기를 그릴 때 가장 헷갈리는 점 두 가지는 바로 태극 문양의 색상 순서와 건곤감리 4개의 괘가 들어가는 순서죠.
먼저 태극문양을 그릴 때에는 ‘바다 위에 해가 떠 있는 모습’을 떠올리시면 도움이 되는데요. 붉은 색을 태양(위), 파란색을 바다(아래)로 기억하면 빨강과 파랑의 위치를 외울 필요 없이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습니다.
가장 헷갈리는 건곤감리는 왼쪽 상단부터 위⬆-아래⬇-위⬆-아래⬇ 순서로 3-4-5-6개의 막대(괘)를 그려넣어 주면 헷갈리지 않고 태극기를 완성할 수 있습니다.
태극기 쉽게 그리는 법 2.
알파벳 ‘S’ 응용하기
태극기를 쉽게 그리는 또 다른 방법으로는 알파벳 ‘S’를 활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먼저 대문자 S를 큼지막하게 그려주시고요. S자의 라인을 따라서 알파벳의 가장자리에 각각 3, 4, 5, 6을 적어주고, 숫자에 맞는 괘 모양을 붙여 줍니다.
다음으로 S와 4괘를 왼쪽으로 회전시켜 주면 태극기 건곤감리 순서를 외울필요 없이 간편하게 그릴 수 있습니다. 태극문양도 S자를 따라 커브를 그려주면 되니까 헷갈리지 않고 완성할 수 있어요!
최근 한 유튜브 콘텐츠에서 ‘올바른 태극기를 고르는’ 문제를 선보여 화제를 모았죠. 6개의 태극기 중 진짜를 찾아내기가 생각보다 어렵게 느껴졌는데요. 아직도 태극기의 태극 문양과 4괘의 위치가 헷갈리신다면? 다가오는 8월 15일 광복절에는 여러분의 손으로 태극기를 직접 그려보며~ 한번 더 눈과 마음에 새겨보는 시간을 가져보시면 어떨까요.
- #광복절
- #8월15일
- #광복절태극기
- #태극기
- #건곤감리
- #태극기그리기
- #태극기그리는법
- #태극기그리는방법
- #태극기쉽게그리는법
- #4괘
- #태극문양
- #태극기건곤감리
- #태극기4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