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화성의 정문 장안문에서 성 밖으로 성곽을 따라 화서문까지 약 600m 구간에 걸쳐 자리한 장안공원은 1978년 조성되었습니다. 오늘은 성 안팎의 풍경이 아름다워 사계절 가볼만 한 곳인 수원화성의 장안공원 내 시설물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장안공원은 대중교통을 이용해 찾아가기 쉽습니다. 저는 화서문에서 장안문 방향으로 산책했습니다. 가장 먼저 만난 수원화성 서쪽 문 화서문과 서북공심돈은 모두 국가 보물로 지정되었습니다. 9월 23일부터 수원화성 일대에서 2023 세계유산축전 수원화성이 열려 주변이 무대 설치 등으로 분주합니다.

수원화성의 생생한 가치를 느낄 수 있는, 2023 세계유산축전 수원화성 알아보기

화서문 앞에는 1795년 을묘년에 열렸던 원행 행사를 8폭의 병풍에 담은 화성능행도가 담긴 솟대가 있습니다.

봄에는 산수유와 철쭉, 여름은 신록, 가을에는 단풍, 겨울은 설경으로 사시사철 볼거리가 있는 장안공원은 멀리서도 관광객들이 찾아오며 인근 주민들도 산책하러 많이 나오는 곳입니다. 아직 맥문동꽃도 남아있네요. 이제 비로소 가을이 되어 산책하기 적당한 날씨가 되었습니다.

북포루 앞으로 화성어차가 지나갑니다. 북포루는 치성에 현안 1개를 내고, 그 위에 문루를 만들었습니다. 문루 밑으로 각각 포를 쏠 수 있는 구멍을 내어서 방어와 공격 능력을 갖춘 북포루는 1795년(정조 19) 2월 20일 완성되었습니다. 축조 비용은 2,955냥으로 수원화성의 5개 포루 중 북쪽에 있습니다.

1979년 9월에 세운 수원화성 화성복원정화기념비와 1991년 11월에 세운 화성기적비가 있습니다.

북서포루는 장안문과 화서문 사이에 축조되어 수원화성의 서북쪽을 방어하는 시설입니다. 1794년(정조 18) 9월 24일 준공되어 3,308냥의 축조비를 사용했습니다.

원총안과 근총안이 마치 웃는 얼굴처럼 보이는 성곽 모습입니다. 장안공원은 수원화성 관광열차인 화성어차 운행 구간으로 성벽을 따라 걸을 수 있는 산책로가 있습니다.

적대는 치성 위에 세운 시설로서 사대문 중 장안문 좌우(북성적대)와 팔달문 좌우(남성적대)에만 설치되었는데 남성적대 터는 도로로 사용되고 있어 복원하지 못했습니다. 북성적대에는 3개의 현안을 두어 팔달문보다 방어력에 비중을 두었는데요. 화서문 방향은 북서적대, 창룡문 방향은 북동적대로 1795년(정조 19) 2월 28일 완성되었으며 당시 축조비로 4,743냥이 들었습니다.

장안문은 수원화성의 정문으로 정조대왕이 서울 궁궐을 떠나 수원화성에 도착하면 가장 먼저 지나는 문이었습니다.

수원화성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모형입니다. 지형을 변형시키지 않고 자연과 어울리게 성곽을 쌓았습니다.

수원화성의 사대문 중 화서문과 팔달문은 보물로 지정되었는데 정문인 장안문은 보물로 지정되지 못했습니다. 한국전쟁 때 폭격으로 문루가 불타 훼손되었기 때문이죠.

장안문은 1794년(정조 18) 2월 28일 진시에 터 다지기 공사에 착수하여 그해 8월 15일 상량하고 9월 5일 완성되었습니다. 축조 비용은 장안문은 50,890냥, 북옹성은 15,608냥이 들어 모두 66,498냥으로 팔달문(68,127냥)에 이어 수원화성에서 두 번째로 많은 공사 비용이 소요되었습니다.

장안문 바깥에 반달 모양으로 쌓은 북옹성은 성문을 이중으로 지키는 시설물입니다. 옹성은 서울 동대문에도 있는데요. 동대문의 옹성은 화서문과 창룡문의 옹성처럼 출입구를 한쪽 모서리에 낸 것에 비해 북옹성은 출입구가 장안문의 출입문과 마주 보이는 중앙에 위치한 것이 특징입니다. 이는 팔달문의 옹성과 같으며 오직 이 두 옹성만이 이와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성안으로 들어오며 성벽에 총탄 자국도 보이고 성문의 안쪽 왼편 기단석에 성혈(性穴)이 보입니다. 민간신앙으로 아이를 점지해 달라고 어머니들이 정성 들여 빌어대던 흔적입니다.

수원화성의 사대문 중 팔달문을 제외하고는 주간에 대문을 개방하여 내부를 관람할 수 있습니다. 사방이 트여있어서인지 한낮인데도 에어컨이 가동된 듯 시원합니다.

장안문 내부를 둘러보고 동쪽으로 나와 북동적대로 갑니다. 북서적대와 다르게 도로가 있어 다리를 설치하여 연결했습니다.

적대는 성문에 접근하는 적을 감시하고 공격하는 방어 시설로 북동적대와 북서적대 안에 홍이포가 있습니다.

장안문은 일몰 명소로 북동적대에서 해넘이를 볼 수 있습니다.

장안문에 와서 겉의 옹성만 보고 간 적이 많은데 이번에는 2층으로 올라가 옹성 위를 걸었습니다. 옹성 위에서 보이는 장안문 모습입니다. 우진각 지붕 형태로 궁궐처럼 추녀마루 위에 잡상도 있습니다.

북옹성 홍예문 상부에는 오성지라고 불리는 구멍이 5개 뚫린 일종의 물 저장고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화성에서만 볼 수 있는 색다른 방어시설로 적이 성문에 불을 지르는 공격을 할 때, 이 구멍으로 물을 쏟아부어 성문을 보호하고 적의 공격을 저지할 목적으로 정약용이 제안했지만, 설계안대로 시공되지 못했답니다.

장안문 관광안내소에서는 최소 4인 이상이 모이면 문화관광 해설을 들을 수 있습니다. 해설 시간은 10:00, 11:00, 13:30, 14:30, 15:30으로 영어, 일본어, 중국어, 수어 해설도 되는데 외국어 및 수어해설 가능 여부는 안내소에서 확인하세요. (문화관광 해설 문의 ☎ 031-290-3600)

석축의 가운데로 통로를 내면서 무지개 모양 문틀을 만들었는데 성 안쪽 홍예의 높이는 19척, 바깥쪽은 17척 5촌입니다.

장안문은 주간도 아름답지만, 일몰과 야경 명소로 더욱 유명합니다. 이번 주말에는 장안공원도 산책하고 2023 세계유산축전 수원화성에서 펼쳐지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유네스코 세계유산 수원화성의 생생한 가치를 느껴보세요.

수원화성의 생생한 가치를 느낄 수 있는, 2023 세계유산축전 수원화성 알아보기

장안공원

경기 수원시 장안구 영화동 349-86

☎ 031-290-3600

장안문

경기 수원시 팔달구 장안동 정조로 910

☎ 031-290-3600

장안문관광안내소

경기 수원시 팔달구 장안동 1-2

☎ 031-251-4514

장안동공영주차장

경기 수원시 팔달구 장안동 52-1

☎ 031-207-6418

※ 24시간 연중무휴

주차요금 : 최초 30분 400원 / 초과 10분마다 200원 / 일일요금 4,000원

2023 수원시 SNS 서포터즈 박미연님이 작성해 주신 글입니다

박미연 서포터즈님의 블로그 : https://blog.naver.com/ydl1

{"title":"화서문에서 장안문 사이 장안공원에 있는 수원화성 시설 둘러보기 ☆","source":"https://blog.naver.com/suwonloves/223217723994","blogName":"수원시 공..","blogId":"suwonloves","domainIdOrBlogId":"suwonloves","logNo":223217723994,"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