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공동・숙박시설에서

빈대가 출연해 피해 사례가 발생했다는 소식

들어보셨을 텐데요.

빈대는 감염병을 매개하지 않기에

관리 대상 해충은 아니지만

가려움 등 불편을 주는 해충이기에

바로 알고 대응이 필요합니다.

빈대란 무엇인지,

빈대에 물리면 어떤 증상을 보이며,

방제 방법과 예방법은 무엇인지

알려들릴게요!

[ 빈대란 ]

✔️노린재목 빈대과의 곤충

-성충은 약 5~6mm,

상하로 납작하게 눌린 난형이며

진한 갈색을 띰

-주로 침대 등에 서식하며

야간에 수면 중인 사람을 흡혈

[ 빈대에 물리면 ]

-가려움증을 유발하여

이차적 피부감염이 생기기도 함

-드물게 아나필락시스가 일어나서

고열 및 염증반응을 일으킴

-주로 야간(특히 새벽)에

흡혈하는 습성으로 수면 방해

-빈대에 물렸다면 우선 물과 비누로 씻고

증상에 따른 치료법 및 의약품 처방은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

[ 빈대 발견 방법 ]

흡혈할 때만 잠시 나타나고 흡혈 후 어두운 곳에 숨음

✔️주간 발견 방법

-2~3곳을 연달아 물어 일렬이나 원형으로 자국이 생김

-적갈색의 빈대 배설물이나 혈흔, 탈피 허물 등

-직접 눈으로 확인하거나

빈대의 부산물이나 배설물과 같은 흔적 확인

✔️야간 발견 방법

-캄캄한 방에 조용히 들어가

갑자기 손전등을 비추면 어두운 곳으로 숨기 위해

움직이는 빈대를 찾을 수 있음

-특히 침대 모서리나 매트리스 사이 집중 확인

[ 빈대 방제 방법 ]

빈대를 확인한 후에 실시

다가구, 숙박업소 등

오염 장소 주변으로 동시에 방제 진행

✔️물리적 방제 방법

-스팀 고열을 빈대가 서식하는 가구 틈과 벽 틈에 분사

-청소기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제거

-오염 직물은 50~60℃ 건조기에 약 30분 이상 처리

✔️화학적 방제 방법

-살충제(환경부 허가 제품) 처리

(살충제 제외:매트리스, 침대 라인은 물리적 방제 실시)

-가열 연막 또는 훈증(일명 연막탄) 이용 자제,

숨어 있던 빈대가 약제를 피해 다른 곳으로 이동

-페인트 바른 시멘트벽이거나 합판인 경우,

피레스로이드계 잔류분무용 사용

[ 빈대를 예방하려면 ]

-숙박업소 방문 즉시, 빈대가 숨어 있는 공간 확인

(침대, 매트리스, 소파 등 틈새, 벽면과 맞닿는 부분)

-빈대가 보이지 않는 경우에도

방바닥 또는 침대에 짐 보관 지양

-여행 중 빈대에 경험이 있으면

여행용품에 대한 철저한 소독 필요

빈대 없는 안전하고

건강한 사회를 위해

예방수칙을 준수하여 주세요!

{"title":"침대 속 흡혈귀 빈대 바로 알고 미리 예방하기","source":"https://blog.naver.com/dodreamgj/223258075418","blogName":"광주광역시","blogId":"dodreamgj","domainIdOrBlogId":"dodreamgj","logNo":223258075418,"smartEditorVersion":4,"lineDisplay":true,"meDisplay":true,"blog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