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년 전
8월 22일 에너지의 날 왜 생겼을까? 함께 소등행사 동참해요!
8월 22일은 ‘에너지의 날’입니다. 에너지의 중요성과 화학 연료의 과다 사용으로 인한 지구온난화 문제 등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에너지 시민연대에서 제정한 날입니다. 이날에는 전 국민이 에너지 절약에 동참하자는 취지도 담겨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더운 달을 꼽는다면 8월입니다. 장마가 지나가고 몇 번씩 오는 태풍을 제외하면 8월은 태양의 복사열이 절정을 이루는 달입니다. 아스팔트 바닥의 열기로 달걀이 익을 정도로 뜨겁고 8월이 되면 전력 소비가 급격히 늘어납니다. 에어컨이나 선풍기를 종일 가동하는 곳이 많아지기 때문이죠
지난 2003년 8월 22일, 우리나라는 역대 최고 전력 사용량을 기록했습니다. 과도한 전력 사용으로 몇몇 지역에서는 정전이 일어났습니다. 이에 정부는 2004년부터 블랙아웃, 즉 대정전 사태를 막기 위해 에너지의 날을 제정했습니다. 에너지의 중요성을 깨닫고 미래 에너지 확보를 위한 여러 방안을 모색하는 한편 국민으로부터 실질적인 실천을 끌어내고자 했습니다.
2004년부터 매년 8월 22일을 에너지의 날로 정하고, 이날 오후 2시~3시, 1시간 동안은 에어컨을 끄거나 설정온도를 2도 높이는 캠페인과 저녁 9시부터 5분 동안 소등하는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밤 9시 소등 캠페인은 참여하는 기관, 기업이 점점 증가하고 있습니다.
기후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행동 변화가 중요합니다.
8월 22일, 21시부터 10분 간 소등하기!
2023 에너지의 날 캠페인에 적극 동참해 주세요!
청주시에너지센터는 시민들과 더불어 청주시의 기업 및 상인들과 연대하여 지속가능한 에너지전원을 위해 8월 22일 에너지의 날 소등행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기후 위기 시대, 에너지 절약 실천으로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할 수 있는 기회, 함께 실천해 주세요!!
여름철 냉장고는 60% 정도만 채워 찬 공기가 순환할 공간을 확보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냉장실의 내용물이 10% 증가할 때마다 전력 소비량이 약 3.6% 증가한다고 하는데요. 반대로 냉동실은 90% 이상 공간을 채우면 문을 열고 닫을 때에도 냉기가 적게 빠져나가게 되어 내부 온도 유지와 전기 에너지 절약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냉장고 문을 자주 여닫을 경우 실내 등이 켜지고 냉기가 밖으로 새어 나가는 등 전기 에너지 소모량이 많기 때문에, 필요시에만 문을 여는 것이 좋습니다.
여름철 사무실 온도는 실내 적정온도인 26~28도에 맞게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에어컨 설정온도를 1도만 높여도 전기에너지를 약 7% 이상 절약할 수 있다고 하는데요. 여름철 사무실에서 실내 적정온도를 종일 유지한다면 하루 평균 0.41kWh의 전기 에너지 또한 절약할 수 있습니다. 한 달이면 총 12.6kWh의 전기 에너지를 아끼는 셈이죠.
여름철에는 세탁물을 모아서 냉수 세탁해 주는 것이 전기 에너지 절약에 효과적입니다! 덥고 습한 여름철에는 세탁기 사용빈도가 더욱 높아지는데요. 세탁물을 모아서 세탁기를 가동하면 일평균 0.09kWh의 전기 에너지 절약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또한, 세탁기 작동 시 소비되는 에너지의 약 90%가 물을 데우는 데에 사용되기 때문에, 찬물로 세탁하는 경우 더운물에 비해 전기 사용량을 30% 절감할 수 있다고 합니다.
여름철 가정과 사무실에서 실천할 수 있는 전기 에너지 절약 방법을 알아보았는데요, 에너지 소비국인 우리나라의 경우 전기를 비롯한 에너지 과소비를 줄이고, 똑똑한 에너지 절약 방법을 알아가는 일이 더욱 중요합니다.
우리의 일상에서 적극적으로 에너지 절약을 실천하며 지구가 건강한 내일을 만들어 가는 것은 어떨까요?
시원한 지구를 만들어가는 여정은 일상 속 작은 실천에서부터 시작됩니다!
- #에너지의날
- #청주시소등행사
- #에너지의날소등
- #소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