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년 전
1인 가구 주목! 임대료 반값에 역세권까지 갖춘 1인 가구 공유주택 공급
1인 가구 주거문제 해결을 위해
좋은 입지·공간·임대료
삼박자를 갖춘
공유주택 공급을 추진합니다.
자세한 내용, 함께 알아볼까요?
서울 1인 가구 150만 시대
1인 가구를 위한
공유주택 공급
전체 가구의 37%를 넘어선 1인 가구
1인 가구 증가 추이 (출처: 통계청 장래가구 추계, 2022) |
||
2023년 |
▶ |
2030년 |
37%(150만) |
39%(161만) *서울 시내 전체 가구 (413만 가구)의 약 40%가 1인 가구 |
가족 단위에서 벗어나
1인 가구를 위한
새로운 주거 유형 필요
▶ 1인 가구를 위한 주거모델 공급
'1인 가구 공유주택' 이란? |
최신 주거 트렌드와 거주자 선호 반영 |
+ |
주거의 효율과 확장성 극대화 |
👉 원룸 시세 50~70% 수준
임대료의 공유주택
개인공간: 최소 면적 12㎡ 이상
- 법적 기준 대비 20% 상향
공유공간: 1인당 최소 6㎡ 이상
- 법적 기준 대비 50% 상향
POINT! 생활방식의 변화를 반영해 특화된 주거 공간 공급 |
공유공간 구분
필수 |
[기본생활공간] 공유주방, 식당, 공유세탁실, 운동시설 |
[생활지원시설] 개별 창고, 택배 보관실, 입주자지원센터 |
[커뮤니티공간] 작은 도서관, 회의실, 라운지, 휴게공간 |
선택(2개소 이상) |
[특화공간] 여가, 취미, 업무, 특별활동을 위한 공간 게임존, 공연장, 코워킹(스터딩) 등 → 입주자가 선택해 사용한 만큼 비용 부담 → 주거비 절약 |
POINT! 접근이 편리한 입지 공간 |
✅ 역세권
지하철역, 철도역에서 350m
✅ 간선도로변
폭 20m 이상 간선도로변에서 50m
✅ 의료시설 인근
종합병원, 시립병원(84곳) 등에서 350m
✔ 통근·통학·통원 등
입주자가 편리한 생활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대상지 선정
✔ 혼자 사는 청년뿐 아니라
1~2인 어르신 또는 어르신 부부를 위해
대상지 요건에 의료시설 포함
1인 가구 공유주택 입주 대상과 거주 기간은? |
✔ 입주 대상
다양한 계층의 1인 가구
- 청년 창업/대학생
- 프리랜서/직장인
- 동호회
- 시니어가구
✔ 거주 기간
- 만 19~39세 청년 1인 가구
: 6년까지 거주
- 만 40세가 넘은 중장년 이상
: 최장 10년까지 거주
좋은 입지 · 공간 · 임대료
'삼박자'를 갖춘
공유주택 공급을 통해
1인 가구의 안정적인 주거를
지원해 나가겠습니다!
- #서울
- #서울시
- #서울특별시
- #공유주택
- #1인가구
- #1인가구공유주택
- #서울시공유주택
- #임대료
- #역세권
- #주거공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