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년 전
‘익산 문화시민 예술로 하나되리’
‘익산 문화시민 예술로 하나되리’
제55회 익산예술제
제55회 익산예술제가 ‘익산 문화시민 예술로 하나되리’ 주제로 가정의 달 5월12일에 배산체육공원 야외음악당에서 내외귀빈들과 익산시민들을 모시고 화려하게 개막식 및 공연을 개최합니다.
익산예술제는 반 백년이란 긴역사를 자랑하는 익산예술제로 900여명이나 되는 익산의 예술인들과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익산 미륵사지와 왕궁리유적등의 찬란했던 백제문화와도 깊은 연관을 갖고 있습니다.
익산예술제는 지난 1년간 지역은 물론 국내 문화예술계의 발전을 위해 노력한 지부와 회원들이 함께 모여 펼치는 예술문화축제입니다.
이번 예술제를 통해 문화교류가 더욱 확대되고 증진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동시대 예술의 흐름을 알수도 있겠지요.
익산예술제는 지역 예술인들의 화합과 상생은 물론 지역민들이 보다 쉽고 가깝게 문화예술을 즐길 수 있는 자리로,
새로운 시대가 요구하는 문화예술의 '비젼'을 보여주기도 할 것입니다.
(사)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익산지회는 1968년 4월 10일 익산 예술인들이 모여 창립하였습니다.
그 이후 55년간 조두현 초대회장을 비롯하여 많은 회원들이 지역문화예술 발전에 힘써왔습니다.
지금은 국악, 문인, 미술, 음악, 연극, 연예, 무용, 사진작가협회 8개 지부로 900명의 회원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주요일정
주 최 : (사)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익산지회
주 관 : (사)한국국악협회 익산시지부, (사)대한무용협회 익산시지부
일 시 : 2023. 5. 11 ~ 5. 18
장 소 : 배산체육공원야외음악당, 솜리예술회관
후 원 : 익산시, 전북일보, 전북도민일보, 전북중앙신문,
전라일보, 사)익산국악진흥원
□개막식 및 공연
예술감독 : 고명구, 양용호
연출 : 김성만, 송세엽
주최 : (사)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익산지회
주관 : (사)한국국악협회 익산시지부, (사)대한무용협회 익산시지부
일시 : 2023. 5. 12. 금. 19:00~21:30
□익산예술제 개막공연 순서
◇경주예총 개막 축하공연
경주국악협회 -가야금병창-
출연: 주영희, 김도훈, 김은주
고수: 김보미
곡명: 신라고도가 외
-국악공연 '풍류'-
▣ 내용 : 고성오광대놀음, 기악반주, 남도민요, 국악가요
-익산무용제 “歌·舞·樂의 藝人列傳”-
공연 내용
1.처용무
승무용단(서관식, 박남영, 최수진, 윤은미, 박정연)
국가무형문화재 제39호로 지정된 처용무는 신라 49대 헌강왕 때 처용설화를 토대로 만들어진 춤으로서 현재 전해지고 있는 가장 오래된 궁중무용이다. 처용무의 음악과 무용, 의상과 탈의 제작방법 등은 조선 9대 성종 때 편찬한 '악학궤범'을 기초로 하여 전승 보존되고 있다.
2009년에는 정통궁중무용으로서 가·무·악과 동양철학의 사상체계로 한국민의 문화적 정체성을 구현시키는 무형문화유산으로 인정받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으로 등재되었다.
처용무 음악은 향당교주-세령산-삼현도드리-창사(우편)-도드리 순으로 진행하며 춤사위의 진행은 전배-상대상배-무진2보-산작화무-우선회무-수양수오방무-좌선회무-무퇴-창사-낙화유수 순으로 춤 추어진다.
2.전라검무
(사)호남산조춤보존회(조은성, 조용주, 최윤형, 천성현)
신라시대 황창랑이 적국인 백제에 들어가 백제왕을 죽이기 위해 추었다는데서 유래되어 황창랑무 검기무라고도 한다.
긴 칼을 들고 황창랑을 기르기 위해 황창랑의 가면을 쓰고 민간에서 추어졌던 것이 조선조 순조때 궁중정재로 채택되어 긴 칼이 무구화 되어 짧아지고 가면도 쓰지 않고 궁중과 관아에 예속되었던 관기들에 의해 연희되어 왔다.
이런 과정에서 각 지방마다 진주검무, 통영검무, 평양검무 등 교방청 검무가 있어 왔음을 볼 때 지금은 전승이 단절되었으나 전주교방에서도 검무가 연희되었을 것이라 사료된다.
이 전라검무는 金娥 이길주가 정인방 선생에게서 공부했던 자료를 재현한 것이다.
3.신뱃노래 , 동해바다
익산국악원(임화영, 정숙, 진순례, 김정자, 강청호, 임영애, 이기순, 유영복, 이명순, 이정하, 오서영, 김채현, 김규린, 황정인, 유민서, 정민지)
가사는 경기민요 "뱃노래"에서 따왔으나 선율은 남도의 육자배기 토리로 입혀 깊은 맛을 더했다. 선율만으로도 인기가 있어 기악연주만으로도 자주 연주되고 있다.
뱃사람들의 고달픔과 적막한 바다 풍경, 만선이 되어 돌아오는 모습과 그 기쁨을 그리고 있으며 특히 중중모리에는 망망대해에 홀로 남은 외로움과 쓸쓸함, 고독함을 은유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 해설이 있는 남도민요 중 일부 윤색)
동해바다는 임을 기약 없이 기다리는 사람의 외롭고 슬픈 심경을 동살풀이 장단에 실어 슬픔을 흥겨움으로 승화한 노래이다
4. 태평무 /
승무용단(이정은, 임혜진, 백지연, 김승희, 곽예지)
태평무는 1900년대 한국 근대춤의 대가인 한성준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나라와 백성의 태평성대를 바라는 완과 왕비의 마음을 담은 춤이다.
지신(地神)에게 기원하는 의미로 발디딤이 섬세하고 활동적이며 우아한 춤사위가 주를 이룬다.
한성준의 태평무는 그의 손녀인 한영숙에게 전해졌으며 그녀의 제자 정재만에 의해 계승 발전되었다.
한영숙의 태평무는 본래 붉은 원삼 속에 당의를 입고 양손에는 한삼을 끼고 추어지다가 이후에는 당의만 입고 추는 춤으로 간결하게 바뀌었다.
5.기악과 판소리
소리: 김채현 거문고:송세엽, 해금:국은예, 아쟁:고갑렬, 가야금:배유경, 대금:김종현, 피리:이환주, 신디:박종훈. 타악:권지훈
판소리는 한 명의 소리꾼이 고수(북치는 사람)의 장단으로 2명으로 구성되어 소리(창), 아니리(말), 너름새(몸짓)을 섞어가며 구연(口演)하는 일종의 솔로 오페라다. ‘판소리’는 ‘판’과 ‘소리’의 합성어로 ‘소리’는 ‘음악’을 말하고 ‘판’은 ‘여러 사람이 모인 곳’ 또는 ‘상황과 장면’을 뜻하는 것으로 ‘많은 청중들이 모인 놀이판에서 부르는 노래’라는 뜻이다.
오늘 펼쳐질 공연은 소리와 그에 맞춰 기악들이 맞춰 펼쳐지는 공연으로 신명나는 한마당이 펼쳐지게 될 것이다.
6.시나위살풀이춤
고명구
이 춤은 남도 시나위 장단에 맞추어 추는 우리나라 민속춤으로 우리 춤의 특징인 정·중·동을 잘 표현하고 있으며 여성미가 넘치는 우리 춤에 백미로 알려져 있다.
하얀 명주 수건을 맺고 어르고 풀면서 한과 슬픔을 흥으로 승화시키는 이중구조적인 성격을 띄고 있으며, 매우 섬세하고 정교한 춤사위는 그 예술적 가치를 높이 평가받고 있다.
특히, 이 춤은 중요무형문화재 제97호로 지정된 이매방류 살풀이춤에 金娥 이길주의 춤 세계를 갈무리하여 재해석한 춤이다.
7.고성오광대놀이
고성오광대 전승자 이윤석 외 25명
국가무형문화재 고성오광대는 경상남도 고성 지방에서 전해 내려오는 가면극이다. 가면극이라 함은 우리가 흔히 탈춤이라고 부르고 있는데, 탈을 쓰고, 춤을 추며 재담을 하는 아주 오래된 우리나라의 공연예술이다.
개막식 초대가수
크로스오버 국악으로 장르 대중화 잇는
국악가수 권미희는 ‘크로스오버 국악’을 통해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고 있다.
그 동안 ‘너의 목소리가 보여’, ‘보이스 코리아’ 등 다양한 방송에 출연해
뛰어난 가창력으로 화제를 모았다. 그녀는 현재 유튜브에서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국악버전으로 커버해 국악의 대중화에도 큰 힘을 쏟고 있다.
2010년 한시앨범 ‘빈한시(貧寒詩)’로 데뷔했던 권미희는 트로트와
국악을 접목한 ‘노를 저어라’ 앨범을 발매하는 등 끊임없이 도전하며
자신의 음악세계를 넓혀나가고 있다.
출처 : 이슈메이커(http://www.issuemaker.kr)
제55회 익산예술제 8개협회 공연 전시안내
- 익산-경주 예술제 교류전-
▣ 일시 : 2023년 5월 11일~5월 18일
▣ 내용 : 경주예총 문인협회 10작품, 미술협회 20작품, 사진작가협회 10작품 전시
-시화전-
▣ 일시 : 2023년 5월 11일(목) ~ 2023년 5월 14일(일)
▣ 장소 : 솜리문화예술회관 1층 전시실
▣ 목적 : 문학인과 시민의 문학적 공감과 소통
▣ 분야 : 시, 시조, 동시외
▣ 참여작가 : 익산문협 회원(54명)
박현숙, 이택회, 허대성, 김성자, 이상익, 김이숙, 배진수, 김민수
임완자, 박미서, 이순자, 김경애, 전근표, 남필숙, 유나영, 이진순
송인숙, 권영민, 강승구, 조경화, 이승훈, 조영애, 강희정, 김옥녀
이정미, 조경주, 서호식, 이용문, 허창순, 이행숙, 소관섭, 임주동
김용재, 김종빈, 배순금, 권미선, 이인오, 이윤구, 김상수, 정진희
안은영, 김주옥, 김형중, 김천석, 문용식, 권경주, 김대경, 연옥자
양점숙, 김장환, 전순자, 박순자, 김상수, 김인귀
▣ 안동문협 회원(15명)
김정화, 송현주, 권태인, 권경미, 김현묵, 박병래, 이회구, 최성달
박병래, 박순화, 고재동, 손병국, 이동백, 주영욱, 조혁해
▣ 시도교류 경주문협 회원(10명)
-익산미술협회 제52회 회원전-
▣ 일시 : 2023년 5월 12일(금)~5월 18일(목)
오픈식 5월 12일(금) 오후 5시
▣ 장소 : 익산예술의전당 미술관 1층 2층 전시실
▣ 내용 : 서양화, 한국화, 서예, 문인화, 공예, 조각, 수채화 작품전시
미술협회 정회원 및 준회원 130여명 출품 전시, 경주 작품 20점 전시
-제42회 회원전 및 제41회 익산 전국사진공모전-
▣ 일시 : 2023년 5월 11일(목)~5월 14일(일)
시상식 5월 13일(토) 오후 2시
▣ 장소 : 솜리문화예술회관 2층 전시실
▣ 내용 : 사진작가협회 회원 85여점 전시
익산 전국사진공모전(금상1,은상2,동상3,가작5,장려상5,입선167점) 전시
-연극공연 “이웃집 쌀통 ”-
▣ 일시 : 2023년 5월 13일(토) 오후4시, 오후7시30분
▣ 장소 : 솜리문화예술회관 소공연장
▣ 제작진 : 연출/이도현 작가/김란이 기획/김소영,고경환 음향/한유경
조명디자인/홍영근 조명/소미선 의상/조성연 무대/고동우
▣ 출연진 : 엄미리, 김덕주, 정경선, 추미경, 안혜영, 김복임, 조민지, 이우송
▣ 줄거리 :
평범한 동네에 쌀통 하나가 놓여있다.
이웃인 네 명의 아줌마들은 말다툼을 하게 되고 설상가상으로 쌀을 쏟으니 그 속에서 아이의 손가락과 발이 나온다.
범인을 잡겠다며 단서를 찾기 위해 추리를 해 나가다가 쌀통 밑에서 다시 노란 돈 봉투가 나오면서 이들은 돈을 나누어 가지게 된다.
며칠이 지나고 쌀통의 주인을 만나게 되고 네 사람은 자신들이 저지른 일에 두려움을 느끼지만 애써 감추고자 하는데...
<이웃집 쌀통> 작품은 평범한 주택가 골목길, 버려진 쌀통 안에서 말라비틀어진 아이 손가락을 동네 주민들이 발견하게 되면서 일어나는 에피소드를 그린 이 작품은 일상의 공포를 심각하고 무겁게 그리기보다 아주 명쾌한 코믹 호러로 그려진다..
-힐링콘서트-
▣ 일시 : 2023년 5월 13일(토) 오후 7시
▣ 장소 : 배산체육공원 야외공연장
▣ 출연 : 사회 오진성
악단 T.N-강헌구, 김복철, 최순택, 차귀정 A.T-박인호, 김수엽, 진상현,
이정희
T.P-김도영, 장남호, 이익 T.B-이종은 G.T-이현상 B.S-조인술
D.R-박광남 O.G-문성호
초대가수 – 민지, 철희, 김유미, 정우선, 라니, 천수애, 다희, 최복희,
기후, 표시나, 윤윤아, 지연지, 이영
- 2023 익산 실내악 Festival “온 가족이 아이의 EQ 발달을
위해 함께하는 음악여행 고고씽”-
▣ 일시 : 2023년 5월 17일(수) 오후 7시
▣ 장소 : 솜리문화예술회관 중공연장
▣ 출연 : 익산심포니 오케스트라외
프로그램
◆ String Ensemble(익산심포니 오케스트라)
ViolinⅠ 한주원 Violin Ⅱ 김해미 Viola 김단비 V.Cello 나다윤 Piano 황찬미
영화 접속 OST “A Lover’s Concerto” (Sarah Vaughan)
죽음의 무도 (Saint-Saëns)
아리랑 랩소디 (이지수)
옛 사랑 (이문세)
◆ Trio Lumière
Violin 송아론 V.Cello 강혜리 Piano 채윤서
티파니에서 아침을 OST “Moon River” (Henry Mancini)
마녀 배달부 키키 OST “바다가 보이는 마을” (Hisaishi Joe)
하울의 움직이는 성 OST “인생의 회전목마” (Hisaishi Joe)
Last Carnival (Norihiro Tsuru)
Libertango (A. Piazzolla)
◆ R.O.W Brass Quintet
Trumpet 장미애 임유미 Horn 김주신 Trombone 김지현 Tuba 이준희 Piano 박선영 소리꾼 조연수
퓨전 창작극 “춘 향”
서 곡 사랑가 쑥대머리 인연 어사출도 너영나영(제주도 민요)
◆ Great People Brass Ensemble
Trumpet 정상춘 임유미 장미애 강성민 송준호 손찬호 김동현 신동훈
Horn 김주신 강병현 이소연 고건영 Trombone 김지현 유하늘 이주원 김민혁
Tuba 이준희 조석준 Percussion 최범수
Final Countdown(arr. John Higgins)
Bang Bang(arr. Michael Brown)
Conspiracy theory OST “Can’t take my eyes off you” (Morten Harket)
The Greatest show(arr. Paul Murtha)
Boss Roy (Jacob de Ha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