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년 전
단종복위운동의 성지 금성대군 신단_국내여행 경북 영주
경북 영주
단종복위운동의 성지
금성대군 신단
금성대군 신단
✅ 주소
경북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 70
✅ 주차 ⭕
✅ 입장료:없음
✅ 문의
☎ 054-634-3310
✅주변 명소
소수서원, 영주 선비촌, 순흥 고분벽화
금성대군 신단
경북 영주 소수서원에서
차로 1분 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금성대군 신단에 다녀왔어요.
단종복위운동
조선 제6대 왕 단종이
숙부인 수양대군에게 폐위되자
성삼문(成三問)·박팽년(朴彭年) 등
사육신(死六臣)이 주동이 되어
복위를 시도했던 거사.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금성대군 신단은
단종복위운동의 성지로
조선 세조 때 단종 복위를 도모하다가
화를 당한 금성대군과
순흥부사 이보흠 및
그와 연루되어
순절한 의사들을
추모하기 위해
설립한 제단이에요.
금성대군은
세종의 여섯째 아들이며
단종의 숙부이자 세조의 아우입니다.
소수서원에서
약 200m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어서
소수서원을 보고 난 다음
함께 둘러보시고 가면 좋습니다.
주차장이 마련되어 있어서
편하게 주차 후
안으로 걸어갔어요.
외부에서 봤을 때는
잘 지은 기와집처럼 보이지만
외삼문을 지나
내삼문 안으로 들어가면
제단이 마련되어 있어요.
신단은 신령에게 제사를 지내기 위해
흙이나 돌로 쌓아 올려
주변보다 높게 만든 단을 말합니다.
금성대군 신단은
단종복위운동과 관련된 유적으로
18세기 탕평정치가 활성화됨에 따라
왕에 대한 의리가 다시금 강조되는
정치적 분위기와
관련이 깊은 곳입니다.
또한, 조선시대에
사람을 신격화하여 만든 제단이
극히 드물다는 점에서
당시의 문화·역사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어요.
외삼문을 통해
안으로 들어가면
정면에 내삼문이 있고
양옆으로 두 동의 건물이 있어요.
오른쪽에는 'ㄱ'자형 모양의
재실이 자리 잡고 있어요.
재실이란?😀
묘제를 지내기 위해
지은 건물을 뜻합니다.
재실은 정면 4칸반,
측면 4칸 규모로 되어 있으며
여러 개의 방과 대청마루로
되어있는 걸 볼 수 있어요.
재실 맞은편에는
'ㄷ'자형 주사 건물이
위치하고 있어요.
주사란?😀
조상의 제사를
받들어 모심을 뜻합니다.
재실과 주사 건물이
또 하나의 독립된 공간으로
담장을 두르고 있다는 점이
독특합니다.
내삼문에는
금성단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고
중앙에는
태극무늬가 그려져 있어요.
내삼문은
오른쪽 문을 통해서 들어가서
왼쪽 문으로 내려오면 된답니다.
내삼문을 통해
안으로 들어가면
조금 높게 터를 잡아서
비석과 단을 만들어 놓은 걸
볼 수 있어요.
단소는
품(品) 자형 구성으로
제일 중앙에 금성대군,
오른쪽에 이보흠,
왼쪽에 순절 의사들의
위패를 모셨어요.
단소란?😀
제단이 있는 곳을 뜻합니다.
금성대군
단 왼쪽에 있는
비석에는
금성대군성인신단지비가
새겨져 있어요.
금성대군 신단 담장너머로
앙상한 나뭇가지를
드러내고 있는 나무가
바로 금성대군신단의
은행나무예요.
무려 1,100년이 넘는
세월을 보내고 있는데요.
순흥 지역(지금의 영주시 순흥면)의
흥망성쇠를 함께한 나무로
그 역사가 깊은 나무예요.
경북 영주여행을 하실 때
소수서원, 영주 선비촌뿐만 아니라
역사적 의미가 담겨 있는
금성대군신단도 함께 둘러보세요~
본 내용은
영주시 SNS 홍보단의
취재에 의하여
작성하였으며,
영주시 공식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함께 가면 좋은 명소
- #단종복위운동
- #금성대군신단
- #순흥도호부
- #경북영주여행
- #세조
- #단종
- #사육신
- #영주여행
- #국내여행
- #영주가볼만한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