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 봄 여행지 추천

공주 갑사

신원사에서 한껏 매화향에 취한 다음 인근에 있는 계룡산 갑사의 봄 내음을 맡기 위하여 발걸음을 재촉하였습니다. 그런데 갑사는 신원사보다 더 산속 깊숙이 있어서 그런지 쌀쌀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갑사 오리숲길에는 개화를 기다리는 황매화 줄기가 파릇파릇 물이 오르고, 눈을 크게 뜨고 찾아보아야 보이는 길마가지나무에 여리디여린 꽃이 피어 있었습니다. 자연관찰로에는 복수초와 노루귀는 한창 시절을 지난 듯 생기를 잃어가고 있었지만, 쏙쏙 올라오는 초록빛 싹들이 새로운 꽃 시즌을 준비하고 있었지요.

눈 속에서도 피어난다는 복수초 키가 훌쩍 컸네요. 어느새 꽃보다 잎이 더 무성해졌습니다.

노루귀도 군데군데 꽃을 피우고 있지만, 냉해를 입은 듯 생기가 부족한 듯 보여 안타까운 마음이었습니다.

길마가지나무 이름도 무척 생소하시지요. 자세히 들여다보아야 볼 수 있는 아주 작고 여린 꽃입니다. 소나 말에 걸쳐놓고 짐을 나르던 도구인 길마와 꽃봉오리가 닮아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해요. 갑사에 가시면 꼭 한번 찾아보세요.

갑사오리숲길의 큰 나무들도 봄을 맞이할 준비를 하고 있었습니다.

갑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의 말사입니다. 갑사는 공주시 계룡산국립공원 내 계룡산 북서쪽 자락에 위치해 있으며 통일신라시대 화엄종 10대 사찰 중 하나였던 명찰이지요. 갑사에 이르는 오리숲길에는 수백년도 넘어 보이는 나무들이 울창하게 우거져 있고, 새로 황매화가 합세하여 보는 재미를 더해줍니다. 아름다운 소나무들이 경내를 아름답게 꾸며주는 곳이기도 합니다.

갑사는 백제 구이신왕 원년인 420년에 고구려에서 온 아도화상이 창건한 것이 이 절의 시초이다. 갑사는 계룡갑사, 갑사, 갑사사, 계룡사 등으로 불리었으며, 그중 갑사는 하늘과 땅과 사람 가운데서 가장 으뜸간다(甲)고 해서 갑사가 되었다고 전한다. 조선시대 숭유억불에서도 열외가 되고 오히려 왕실의 비호를 받아 [월인석보]를 판각하기도 하였다. 1597년 정유재란 때 전소되다가 1604년(선조 37) 대웅전과 진해당 중건을 시작으로 재건하여 오늘에 이르렀다. 이러한 역사 덕분에 지금도 사찰 내부에 각종 귀중한 문화재가 보존되고 있다. 사찰 주위에는 용문폭포, 수정봉, 천진보탑, 군자대 등 수려한 경치의 명소들이 줄지어 있으며 특히 남쪽 계곡은 이른바 9곡을 이루어 절경으로 소문나 있다. 일반인은 사찰에서 열리는 법회와 템플스테이에 참여할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갑사 (대한민국 구석구석, 한국관광공사)

갑사는 천년고찰답게 소중한 문화재가 아주 많습니다. 국보로 지정된 갑사삼신불괘불탱이 모셔져 있으며, 보물로 지정된 갑사철당간 및 지주', 갑사 승탑, 갑사동종,선조 2년에 새긴 월인석보목판, 갑사동종 등이 있습니다, 이밖에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와 문화재자료로 지정된 유물들이 많습니다. 이제 이들을 하나하나 살펴보겠습니다.

1. 국보 - 갑사삼신불괘불탱

< 갑사삼신불괘불탱 보관 건물>

<갑사삼신불괘불탱 - 출처: 갑사 홈페이지>

대웅전 뒤에 새로운 건물이 한 들어섰는데, 이곳에 국보인 갑사 삼신불 괘불탱을 보관하고 있습니다. 원래는 대웅전 불상 뒤 목곽 내에 말아서 보관하고 있었는데, 건물을 새로 지어 옮겼습니다. 일반인의 출입을 통제하고 있어서 실물을 보지 못해서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을 인용하였습니다. 이 괘불은 큰 행사가 있을 때만 꺼내서 사용한다고 합니다.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중장리 갑사에 있는 조선 중기의 야외 의식용 대형 불화입니다. 삼단의 화면 중 중앙단에 삼신불을 큼직하게 배치한 다음 상·하단에는 해당 협시보살과 사천왕 및 권속들을 빈틈없이 채운 복잡한 구성의 불화이지요. 삼신불 괘불탱화는 길이 12.47m, 폭 9.48m에 이르는 초대형 괘불화로 조선시대 효종 원년(1650년)에 완성된 17세기를 대표할 만한 수작(秀作)이다. 이 탱화는 비로자나불을 중심으로 석가모니불과 노사나불 등 삼신불이 진리를 설법하고 있는 장면을 그린 괘불로서 비로자나삼신불화(毘盧舍那三身佛畵)라고도 한다. 괘불이란 절에서 큰 법회나 의식을 행하기 위해 법당 앞뜰에 걸어놓고 예배를 드리던 대형 불교그림을 말한다.

전체적으로 상·중·하 3단 구도로 상단은 천상세계를 상징하고 중단은 삼신불, 하단은 외호중(外護衆)과 청문보살로 구성되어 있다. 중앙 가운데는 법신불(法身佛)인 비로자나불로서 등뒤에 화려한 키모양 광배가 있으며 결가부좌를 하고 가슴앞에서 손을 모아 왼손으로 오른손을 감싼 지권인의 손모양을 하고 계시다. 오른쪽에 보이는 보신불(報身佛) 노사나불은 머리에 화려한 보관을 쓰고 두 손을 어깨까지 들어올려 설법하는 자세를 취하고 있으며 왼쪽에 보이는 석가불은 악귀를 물리친다는 뜻의 손모양인 항마촉지인을 하고 계시다. 윗부분에는 관음보살과 대세지보살 8대보살과 제석 범천이 에워싸고 14대나한 금강역사, 벽지불 등이 계시다. 하단에는 중앙에 앉아 법을 청하는 청문보살 사리불이 자리하고 좌우에 문수,보현보살과 사천왕이 호위하고 계신다. <출처 : 계룡산 갑사 홈페이지>

2. 보물 갑사 철당간 및 지주

갑사 철당간 및 지주는 갑사 자연관찰로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다른 곳의 당간지주와는 달리 당간이 현존하여 그 가치가 크다고 합니다.

본래 지름 50cm의 28단의 철당간이었으나 1894년(고종30) 4도막이 부러져 현재에는 24단만이 남아있습니다. 받침돌에 새겨진 안상 조각으로 미루어 통일신라시대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합니다.

3. 보물 갑사승탑

갑사 승탑은 갑사의 뒤편 산 중턱에 서 있었는데 1917년 이후에 파손되어 지금의 위치인 절 안으로 옮겨 세워지게 되었다고 합니다. 특히 이 승탑의 기본평면은 팔각당형이나 기단의 조형이 매우 다채롭게 구성되어 특이한 형태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기단부는 팔각의 높직한 바닥돌 위로 3단의 하대가 놓여 있다. 하단에는 피어나는 연꽃과 달리는 사자를 거의 입체에 가깝게 새기고, 중단에는 용과 피어나는 구름무늬를 매우 실감나게 새겨 마치 탑이 구름 속에 서 있는 듯한 느낌이 들게 한다. 그리고 상단은 난간을 두른듯한 받침돌로 되어 중대를 받고 있다. 중대에는 각 모서리에 피어나기 시작한 꽃봉오리가 새겨지고 각 면에는 악기를 연주하는 천인상이 배치되었다. 상대는 밑에 하대의 상단과 비슷한 아래턱을 내고 옆면은 수직으로 잘라 두꺼운 단면을 반듯하게 내고 있으며, 윗면에는 잔 연꽃무늬가 덮여 있다. 탑신부는 각 면에 귀기둥을 새기고 앞뒷면에는 문틀과 자물통을 새겨 넣었으며 문틀의 좌우 면에는 사천왕상을 배치하였다. 지붕은 폭이 좁고 높이 솟아 있으며 밑에는 서까래, 위에는 기왓골을 새겨 넣었다. 상륜은 나중에 만든 연봉오리형의 보주를 올려 놓았을 뿐 원래의 상륜부재는 남아 있지 않다. 이 승탑은 기단이 매우 화려하고 조각기법이 대담함을 느낄 수 있으며, 탑신부에서는 지붕 위 폭이 좁고 높이 솟은 점이 이채롭게 부각되어 신라 승탑의 세련미를 고려탑에서도 잘 소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작품이라고 하겠다. (한국사전연구사 한국불교미술대전)

4. 보물 갑사동종

갑사에는 범종각에 걸려 있는 커다란 종 이외에 따로 보관되어 있는 종이 하나 더 있습니다. 조선 초기의 종으로 국왕의 만수무강을 축원하며, 갑사에 매달 목적으로 선조 17년(1584)에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높이 131cm, 입지름 91cm로 그리 큰 편은 아닙니다. 정상부에는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진 쌍용으로 구성된 용뉴가 배치되었고, 연꽃무늬와 보살상 등이 새겨져 있습니다. 종의 몸체에 만든 시기를 표시한 명문이 있어 한국 종의 변천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며, "갑사사(岬士寺)"라는 표기가 있어 절의 이름이 지금과 달랐던 것도 알 수 있습니다.

5. 보물 갑사 월인석보판목

월인석보판목은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중장리 갑사에 있는 『월인석보』를 찍어내던 조선 중기의 판목으로 우리나라에서 유일한 판목이라고 하네요.

『월인석보』는 세종이 지은 『월인천강지곡』을 본문으로 하고, 세조가 지은 『석보상절』을 합하여 1459년(세조 5)에 편찬한 불경 언해서입니다. 석보는 석가모니불의 연보, 즉 그 분의 일대기라는 뜻이라고 해요.

6. 보물 - 갑사 소조삼세불

갑사 소조삼세불은 갑사 대웅전에 모셔져 있는데, 주존인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오른쪽에 아미타불을, 왼쪽에 약사여래불을 배치하였고, 각 불상의 좌우에 대세지보살(大勢至菩薩)과 문수보살(觀音菩薩), 그리고 보현보살(普賢菩薩)이 협시하는 형식이다. 흙으로 빚은 갑사 소조삼세불은 수인을 제외하고는 모두 모습이 흡사해 7구의 불상 모두 동일한 조각가에 의해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고 합니다.

7. 충남 유형문화재 - 갑사 석조약사여래입상

갑사 석조약사여래입상은 계룡산 연천봉으로 올라가는 길목에 따로 세운 기도처에 세워져 있습니다. 고려시대의 석불로서 얼굴은 장방형에 가깝지만 전체적으로 둥근 편이며, 민머리에 육계는 낮고 넓고, 이마 중앙에 백호(白毫) 구멍이 나 있습니다. 약사여래는 중생의 질병을 고쳐주는 부처님이라하지요. 그래서인지 이곳에는 자신과 가족의 건강을 기원하는 분들이 많이 찾고 있습니다.

8. 충남 유형문화재 - 갑사 강당

갑사강당은 조선 중기의 다포식 목조 건축물입니다. 1980년대에 강당 보수 공사를 하다가 발견된 「상량문」에 의하면 갑사 강당은 강당이 아니라 정문이었다고 합니다.

9. 충남 유형문화재 - 갑사 대웅전

갑사 대웅전은 조선 중기의 법당 건물입니다. 정유재란으로 소실된 후 1604년(선조 37)에 중건되었다. 이후 1654년(효종 5)과 1

875년(고종 12)에 크게 보수를 하였습니다. 정면 5칸, 측면 3칸의 겹처마 맞배지붕이며 측면에는 풍판을 달아두었습니다. 내부 바닥의 경우 후면열에 우물마루를 하고 나머지에는 장판널을 깔았습니다.

10. 충남 유형문화재 - 갑사 대적전

갑사대적전은 경내에서 갑사계곡을 건너에 따로 조성되어 있는 조선 후기의 불전입니다. 갑사 대적전은 대적광전이라고도 하며, 비로자나불을 중심으로 삼신불(석가모니·아미타불·비로자나불)을 모시는 법당입니다.

11. 그 외의 문화재

이 외에도 갑사에는 많은 문화재가 있습니다. 갑사 사적비 - 충남 유형문화재, 갑사의 내력을 기술하고 있어 그 역사를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며, 찬자와 서자가 공주시 신풍면의 세거성씨인 여주이씨 가문의 인물들이라는 점이 주목됩니다.

표충원 - 충남 문화재자료, 임진왜란 때 왜군에 맞서 의승장으로 이름을 떨친 갑사 출신의 기허당 영규대사를 기리기 위해 1738년(영조14)에 건립되었다. 표충원에는 기허당 영규대사의 스승인 휴정, 서산대사와 사명당 유정과 함께 영규대사의 영정이 봉안되어있습니다.

삼성각 -충남 문화재자료,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목수의 기술적 감각을 보여주는 사당 건축 중 하나입니다.

갑사 팔상전 - 충남 문화재자료, 갑사 경내의 동북쪽에 위치한 팔상전은 석가모니의 생애를 보여주는 팔상탱화와 석가모니불을 봉안한 곳으로 현재는 스님들의 기도처로 활용되어 출입이 통제되어 있습니다.

12. 공우탑

공우탑 탑신에 ‘우탑(牛塔)’, ‘공(功)’이라는 명문이 새겨져 있어 사찰 중건에 공이 컸던 소를 기념하기 위해 세웠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조선 선조 임금 시대 대웅전과 진해당 등을 다시 세울 당시 주지 스님의 꿈에 황소가 나타나 절을 지어주겠다고 약속했고, 그날 이후 소 한 마리가 나타나 매일 공사에 필요한 재목을 등에 싣고 왔다고 합니다. 그러나 갑사가 완공되는 날 갑자기 소가 죽었고, 이에 스님들은 갑사 중건에 도움을 준 소의 공을 기리고자 이 탑을 세운 것이라고 합니다.

갑사는 다른 곳에 비해 봄이 다소 늦게 오고 있는 것 같았습니다. 하지만 곳곳에서 봄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멀지 않아 갑사 오리숲길에서 시작되는 봄은 파릇파릇 물들기 시작할 것입니다. 황매화가 피는 4월에는 오리숲길이 황금 물결로 출렁이게 되겠지요.

오늘은 갑사에 서서히 다가오는 봄기운을 느끼며 천년고찰 갑사의 소중한 문화재들을 하나하나 살펴보았습니다.

갑사

위치 : 충남 공주시 계룡면 갑사로 567-3

{"title":"봄기운이 완연한 계룡산 갑사의 문화재 탐방","source":"https://blog.naver.com/cyber_gongju/223383241544","blogName":"흥미진진 ..","blogId":"cyber_gongju","domainIdOrBlogId":"cyber_gongju","logNo":223383241544,"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