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신의 학덕과 충절이 느껴지는

유애서원 방문기

소셜지기단 이서경

유애서원(遺愛書院)

광주목사를 역임했던 이신의 학덕과 충절을

추모하기 위해 지은 서원이다.

1632년 이신의가 선조 어필의 서문이

붙여진 8폭 병풍을 하사받자

호남유림이 예부의 허가를 얻어

1754년 유애사를 지어 보관했다.

출처 광산구 문화관광 홈페이지

서원은 하남동 관할 흑석동에 위치하고 있는데요

이신의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 이신의는 조선 인조 때 문신으로 본관은 전의(全義), 자는 경칙(景則),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형조참의 이원손(李元孫)의 둘째 아들로 태어나 일찍 부모를 여의고 맏형의 양육을 받아 성장하였다. 1582년에 학행으로 천거되어 예빈시봉사를 거쳐 남원부사, 직산현감, 광주목사 등을 역임했다. 1592년 임진왜란 때 향군(鄕軍) 300여 명을 모아 의병으로 참전, 왜병을 무찌른 전공으로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봉해졌다. 1627년 정묘호란으로 왕을 모시고 강화도로 가던 중 수원에서 세상을 떠났다. "

서원 앞은 잘 가꿔진 넓은 잔디밭과 서원 건물, 오른쪽에 소나무 군락이 보입니다

서원 입구의 오른쪽에 소나무 군락이 있는데 이곳에는 사위비원이 있습니다

정면의 건물이 이신의 선생의 유품을 보관하고 있는 경장각입니다

1901년(고종 38) 서적과 거문고 유품을 임시로 보관하기 위해서 금서재(琴書齋)를 지었으나, 1919년 봄 경장각을 짓기 위하여 18년이 된 금서재를 철거하였습니다​

경장각에는 이신의 선생의 유품을 보관하고 있으며,

이신의 종가소장 고문서는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5호로 지정되어

국립광주박물관에 보관되고 있습니다

경장각 뒤로 내삼문인 숙옹문을 통과하면

맨 뒷 건물인 이신의 선생의 위패를 모신 사당 유애사입니다

호국정신과 여민정신을 실천한

목민관이었던 이신의 정신을 품은 유애서원

6월에는 방문해보시는 것은 어떨까요?


📷2023 광산구 소셜지기단 이서경

{"title":"충의와 절의가 깃든 곳, 유애서원","source":"https://blog.naver.com/gwangsan242/223116702597","blogName":"광주 광산..","blogId":"gwangsan242","domainIdOrBlogId":"gwangsan242","logNo":223116702597,"smartEditorVersion":4,"blogDisplay":true,"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