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9일 전
동구에서 만나는 생태공원, 금강생태마당을 소개합니다
대전 동구에는 생태와 관련한 명소가 많습니다.
생태를 살펴볼 수 있는 곳이라면 깨끗하다는 뜻인데요.
제가 살고 있는 대구에서는 낙동강에 있는 대명유수지도 생태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대전 동구에서 만나는 금강생태마당은 어떤지 같이 걸어보시면서 알아봅시다.
이곳은 세천초등학교 주변에 있어 5030구간에 따라 천천히 다녀야 합니다.
금강생태마당 앞에는 주차장이 있어 접근성이 용이하고요.
늦게 핀 벚꽃을 구경해보는 행운을 만나봤습니다.
대구는 일찍 피고 졌는데 대전에서는 늦게 폈네요.
제1호 금강생태마당은 상수원 수질개선을 목적으로
매수한 토지에 자연성과 생태기능을 회복하여 금강의 수질을 개선하고
지역민에게 생태휴식과 교육, 체험 공간을 제공하고자 조성하였습니다.
근거는 금강수계 물관리 및 주민지원 등에 관한 법률 제8조입니다.
금강수계 물관리 및 주민지원 등에 관한 법률 ( 약칭: 금강수계법 )
제8조(토지등의 매수) ① 금강수계 중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지역의 토지 또는 그 토지에 정착된 시설(이하 “토지등”이라 한다)의 소유자가 국가에 그 토지등을 매도(賣渡)하려고 하면 국가는 제31조에 따른 금강수계관리기금(이하 “기금”이라 한다)으로 이를 매수(買收)하여 수변생태벨트를 조성하는 등 금강수계의 수질 개선을 위하여 활용할 수 있다. <개정 2014. 1. 28.>
1. 상수원보호구역 2. 수변구역 3. 상수원 수질보전을 위하여 필요한 지역으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지역 ② 국가가 제1항에 따라 토지등을 매수하는 경우에 그 매수가격은 「부동산 가격공시에 관한 법률」에 따른 공시지가를 기준으로 그 토지등의 위치ㆍ형상ㆍ환경 및 이용상황 등을 고려하여 평가한 금액으로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에 따른 토지 및 영업의 손실 등에 대한 보상액을 기준으로 매수가격을 정할 수 있다. <개정 2014. 1. 28., 2016. 1. 19.> 1. 제4조의2제1항제2호에 따라 수변생태벨트 조성계획을 수립한 지역의 토지등을 매수하는 경우 2. 하천ㆍ호소의 경계로부터 200미터 이내의 지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다수인이 공동으로 매도하는 연접 지역의 토지등을 매수하는 경우 ③ 국가는 제1항에 따라 매수한 토지등을 매도하거나 임야와 녹지 외의 용도로 변경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만, 제35조에 따른 금강수계관리위원회의 합의를 미리 거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④ 국가는 제1항에 따라 매수한 토지등으로부터 발생하는 수익(受益)을 기금에 납부하여야 한다. ⑤ 제1항과 제2항에 따른 토지등의 매수 절차, 매수 우선순위 선정, 매수 가격의 산정방법 및 산정시기,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
범례를 살펴볼까요? 계절화원, 생태습지, 생태보전지역, 휴게쉼터, 화장실, 잔디마당, 주차장, 숲정이가 있습니다.
현황으로 대전광역시 동구 세천동 22 일원이며 면적은 32,042m2입니다.
조성기간은 2020년 3월부터 11월까지입니다.
환경부 금강유역환경청과 대전광역시 동구, 환경보전협회가 함께 합니다. 환경부의 사업으로 관리되고 있습니다.
이곳에서는 상수원 수질개선을 위해 조성한 생태휴식공간이므로 소중하고 아끼며 관리해야하기에 에티켓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대단지 꽃정원입니다. 아직 꽃이 피지는 않았는데요.
조만간에 작약, 겹작약, 수국(썸머러브), 수국(핑크아나벨), 댑싸리 등이 2,200m2 면적에 따라 채우게 될 것입니다.
까치도 즐겨찾는 이곳, 금강생태마당
생태습지로 걸어가봅니다. 이곳에 물이 가득히 있지만 아래를 보면 땅이 메말라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가뭄이 들어서 이곳 땅이 갈라진 것을 눈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제는 다시 물이 채워져 생태가 다시 활성화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고기도 있으니깐요.
세천마을정원 생태습지는 마을정원 사업 1호 지역입니다.
생태습지란? 수질정화, 어류와 양서류 서식처 제공하며 기후변화 적응의 실현을 위해
조성된 습지로 강우 시 주변 농경지로부터 유입되는 비점오염원이
습지에 서식하는 미생물 및 수생 식물을 거치며 정화되어 하천 오염물질 정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주요 생물종으로는 꽃창포, 수련, 애기부들, 물억새가 있는데요.
여과>침전>정화 과정을 거치며 금강의 수질을 개선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 쪽에는 밭이 있습니다.
밭에 오리가 돌아다니며 벌레도 잡아먹기도 하는 친환경농업을 아시나요?
오리가 잡초를 제거하고 오리 배설물을 비료자원으로 활용하는 벼 재배 방법입니다.
이곳에서도 만나게 되는데요.
오리를 직접 키우지는 않는 것으로 보이지만 이곳에 사는 오리가 이 역할을 해내고 있습니다.
주변에 있는 세천역을 통과하는 기차가 움직이는 소리에 멀리 쳐다봅니다.
이곳을 걷다보면 기차소리도 들리고 새소리도 들리고 생태를 둘러보면서 힐링의 시간을 가져볼 수 있습니다.
지역주민에게는 수변생태벨트를 제공하면서 환경을 생각하는 공간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오늘 이렇게 대전 동구에서 만난 생태의 공간, 금강생태마당을 둘러봤습니다.
곧 있으면 피게 되는 많은 꽃들이 있으니 관심주시고 방문바라면서
다음에도 대전 동구의 소식을 전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종진 | 제3기 동구 소셜미디어 서포터즈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