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3일 전
한글의 우수성을 기념하는 한글날, 한글의 소중함을 기억해요
아름다운 우리 한글,
10월 9일은
우리가 매일 쓰는
한글의 창제를
기념하고, 소중함을
되새기는
한글날입니다.
한글날은 훈민정음 곧 오늘의 한글을 창제해서 세상에 펴낸 것을 기념하고,
한글 사랑 의식을 높이기 위한 국경일입니다.
훈민정음이란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으로, 세종이 창제한 우리나라 글자를 이르는 말입니다.
훈민정음은 세종대왕 25년 곧 서기 1443년에 완성하여
3년 동안의 시험 기간을 거쳐 세종 28년인 서기 1446년에
세상에 반포되었습니다. 한글은 세종대왕이 주도하여 만든
문자로 백성들이 제약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습니다. 이러한 한글의 창제로, 문자가 없어서 남의 글자인 중국의
한자를 빌려다 쓰던 불편을 벗어버리고 우리 만의 글자로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가갸날
한글날의 시초
첫 한글날은 1926년 음력 9월 29일로 지정된 '가갸날'이 시초이며 1928년 '한글날'로 개칭되었습니다.
이름을 '가갸날'이라 한 것은 그때 한글이라는 말이 보편화되지 않았고, 한글을 '가갸거겨, 나냐너녀' 하는 식으로 배울 때였기 때문입니다.
한글이라는 이름은 20세기 초반 이후 주시경 선연구학회 회원들에 의해 한글로 명칭 되었으며, 뜻은 '으뜸이 되는 큰글', '오직 하나뿐인 큰글', '한국인의 글자'입니다.
한글날이 양력 10월 9일로 확정된 것은 1945년 우리나라가 광복이 되고 나서입니다.
1946년에는 한글날을 법정공휴일로 지정하여 거국적인 기념행사를 하였다고 합니다.
현재 훈민정음은 국보 제70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1997년 10월 유네스코(UNESCO) 세계기록유산(Memory of the World)으로 등록되었습니다.
초정행궁
충북 청주시 청원구 내수읍 초정약수로 851
초정행궁은 1444년, 세종대왕이 121일 동안 머물며 초정약수로 안질을 치료하고 쉬어가신 곳입니다.
세종대왕은 이곳에서 한글 창제의 과업을 마무리하고 주민들에게 양로연을 베풀고, 청주향교에는 책을 하사하였으며 봄 가뭄이 심해지자 백성들을 구휼하는 한편 농사지을 씨앗도 나눠주기도 하였다고 합니다.
우리나라 최초의 국민투표를 통해 조세법을 개정하기로 하고 인근 청안현(지금의 증평군과 괴산군 청안면)에서 시범으로 도입을 하였다고도 합니다. 이렇듯, 초정행궁은 백성을 사랑한 세종의 영혼이 깃들었던 곳입니다.
그리고 세종 30년 (1448년) 3월 초정리 행궁이 불에 타버렸다고 합니다. 초정행궁은 이렇게 백성을 사랑하는 세종의 이야기를 남기고 우리 곁에서 사라졌습니다.
그리고 한참이 지나, 2020년, 초정영천이 있는 초정문화공원 일대에 옛 세종대왕 초정행궁이 재현되었습니다.
현재 초정행궁 내부에는 전통찻집, 족욕 체험을 할 수 있는 원탕행각, 세종대왕행차 전시관 등 다양한 시설들이 있습니다.
제18회 세종대왕과 초정약수축제
2024. 10. 11.(금) ~ 10. 13.(일)
다가오는 10월 11일부터 10월 13일까지 제18회 세종대왕과 초정약수 축제가 초정행궁 일원에서 개최됩니다!
세종대왕과 초정약수축제는 세종대왕이 1444년 두 차례 걸쳐 초정에 머물며 질병을 치료하고 훈민정음 창제 등 애민정책을 펼친 초정행궁 121일 이야기의 재발견과 세계 3대 광천수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지역 문화브랜딩 및 문화 자원을 재창조하겠다는 마음을 담은 세종대왕과 초정약수의 역사성, 문화적 가치에 초점을 두는 행사입니다.
▷2024. 10. 11 ~ 2024. 10. 13.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내수읍 초정약수로 851
▷무료(체험부스 이용 시 요금 발생)
▷문의: 043-223-4030
▷행사내용
· 공식행사 : 어가행차, 개장식, 영천제, 개막식
· 초정 공연마을 : 무용마당(무용+트롯), 노래마당, 국악마당, 예술단체 및 시민동아리 릴레이공연
· 자음 체험마을 : 무형문화재공방, 초정약수 음식체험, 훈민정음 윷놀이 등
· 한글 이야기마을 : 거리악극 조선유람단, 역사특강, 북토크 콘서트
· 세종 전시마을 : 약추터 설치미술 프로젝트, 서체 디자이너 전시 등
· 모음 참여마을 : 한국 전통놀이, K-pop 랜덤 플레이댄스, 청춘 버스킹 등
↑자세한 행사 내용은 위 블로그를 통해 보실 수 있습니다~!
한글날(9일) 이틀 뒤에 열리는 세종대왕과 초정약수축제,
세종대왕이 눈을 고치고 한글 창제를 마무리한 의미 있는 곳에서 축제를 즐기며 다시 한번 한글날을 기념해 보는 건 어떨까요?
한글날의 의미를
알면 더 소중해지는
우리 한글,
우리 고유 문자,
한글이 있음에
감사하며
사용합시다~!
- #한글날
- #훈민정음
- #가갸날
- #초정행궁
- #초정약수축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