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년 전
서초구 '나라사랑 인증샷 투어' 참여하고 기념품 받아 가세요
-SNS 서포터즈 7기 김혜정-
8월은 우리나라가 해방된 것을 기념하는 광복절이 있는 달입니다.
이렇게 뜻깊은 국경일에 대해 우리는 얼마만큼 알고 있고, 어떤 마음가짐을 가지고 있을까요? 저 또한 달력의 빨간색 국경일을 단순하게 공휴일로만 여기고 있었던 건 아닌지 반성하게 되는데요.
서초구에서는 여름 방학을 이용해 서초구 초‧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이거나 거주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나라사랑 인증샷 투어> 행사를 마련했습니다.
서초구 나라사랑 인증샷 투어
- 참가 기간 : 2023. 8. 5(토) ~ 2023. 8. 25.(금)
- 참가 인원 : 선착순 100명
- 참가 방법 : 서초구 내 소재한 보훈‧현충 관련 시설 중 3곳 이상을 방문,
방문 시설(명)과 참가자가 함께 나오는 사진 등록
시설명 |
설명 |
소재지 |
매헌윤봉길의사기념관 |
매헌 윤봉길의 업적과 살신성인 정신을 기리기 위해 설립된 기념관 |
매헌로 99(양재동) 매헌시민의 숲 내 |
심산 김창숙 기념관 |
독립운동가 심산 김창숙 선생의 애국정신과 계몽사상을 기리기 위해 설립된 기념관 |
사평대로 55(반포동) |
삼일탑 |
1919년 3월 1일 민족대표 33인의 독립선언 발표를 기념하기 위한 탑 |
효령로 197(서초동) 서울고등학교 내 : 택 1 |
강재구 소령 동상 |
수류탄 투척 훈련 도중 발생한 사고에서 동료들을 지키기 위해 희생한 강재구 소령의 희생정신을 기리고자 제작한 동상 |
|
6‧25전쟁참전기념비 |
6·25전쟁 때 참전한 서울고등학교 학도병 동문들의 명예를 선양하기 위한 기념비 |
|
유격 백마부대 충혼탑 |
6·25전쟁에서 큰 공을 세우고 전사한 유격백마부대 552위를 추모하기 위해 건립한 탑 |
양재동 234(양재동) |
충혼비 |
1982년 공수낙하훈련 중 수송기 추락으로 순직한 공수기본 250기 대원 53인을 추모하기 위한 탑 |
원지동 청계산 정상 |
서초구 보훈회관 |
광복회, 상이군경회, 무공수훈자회 등 서초구 8개 보훈단체가 입주하고 있는 시설 |
방배로27길 13(방배동) |
저는 오늘 나라사랑 인증샷 투어를 할 수 있는 여덟 군데의 시설 중 서울고등학교 내에 있는 '6·25 전쟁 참전 기념비'와 '삼일탑' 그리고 '심산 김창숙 기념관'을 방문한 얘기를 전해드리려고 합니다.
6·25전쟁 참전 기념비와 삼일탑을 보기 위해 서울고등학교를 방문한다면 후문을 이용하는 편이 훨씬 빠르게 도착할 수 있는데요. 지금은 방학 중이라 그런지 제가 방문했을 때 후문은 개방하지 않은 상태이고, 정문만 개방된 상태였습니다. 학교가 넓어서 정문을 이용한다면 후문 쪽 건물이 모여 있는 곳까지 걸어가면 됩니다.
6·25전쟁 당시 6년제 중학교였던 서울고는 서울 지역 학교 중 참전용사와 전사자가 가장 많은 곳이었다고 합니다. 그런 이유로 호국 역사와 선배들의 애국심을 기리기 위해 건립된 것이 바로 <6·25전쟁 참전 기념비>랍니다.
교정 안쪽으로 조금 더 들어가 보면 보이는 것이 1919년 3월 1일 민족대표 33인의 독립선언 발표를 기념하기 위한 <삼일탑>입니다.
숭고한 3.1 정신을 기리고 학생들에게 민족의 얼인 독립 정신을 고취하기 위해 건립된 탑으로
상부에는 3.1 운동의 상징인 태극기가 그려져 있으며,
하부는 삼천리 강토, 삼천만의 민족정기, 삼천만 우리 겨레를 상징하고 있다.
서울고등학교는 넓은 교정과 국가가 정한 현충 시설을 3가지나 확인할 수 있어서 여름방학 동안 자녀와 함께 방문하기 좋은 장소로 추천합니다.
다음은 다양한 공연을 볼 수 있어 종종 방문하는 서초 문화 재단이 있는 건물의 '심산 김창숙 기념관'입니다.
지난 7월부터 9월 3일까지 기념관 1층 로비에서 <대한민국 임시 정부 기억 상자>라는 제목의 전시회도 관람할 수 있습니다.
심산 김창숙 선생님은 평생을 독립운동가, 통일 민주화 운동가, 교육자로 활동하신 분으로, 선생님의 나라 사랑과 민주주의 정신을 기념하고, 자라나는 세대에게 이를 함양하기 위해 기념관을 개관하였다고 합니다.
전시홀은 생각했던 것보다 넓은 공간이었고, 다양한 자료가 있어서 우리가 학창 시절에 배웠던 임시 정부에 관한 내용보다 훨씬 폭넓은 정보를 볼 수 있어서 학생들에게도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은 공간이었습니다.
심산 김창숙 선생님의 일생에 관한 얘기로 시작해서 독립운동, 신탁통치, 임시 정부 수립 등 학창 시절 시험에 대비해 연도별로 외우던 일들을 하나하나 자료를 통해 볼 수 있어서 어른인 저도 한 번 더 차분하게 읽고 보면서 관람을 하게 되더라고요.
이 시대의 마지막 선비였던 심산 선생을 통해
독립운동 정신과 나라사랑 그리고
민주주의 정신을 함양하고
교육과 소통의 장이 열리기를 바랍니다.
-심산 기념관 홈페이지-
전시실 끝부분에는 포토존이 마련돼 있는데요. 사진 속 3명의 독립운동가는 좌로부터 정인보, 김구, 김창숙 선생님입니다.
저도 자주 방문했던 심산 기념관에서 전시실을 관람하는 건 처음이었고, 보는 내내 집중해서 볼 수 있었는데요. 아직 방학이 끝나지 않은 자녀들과 함께 방문한다면 나라사랑 인증 투어도 하면서 우리나라 독립의 역사를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는 좋은 시간이 될 것 같습니다.
심산 김창숙 기념관은 월요일부터 금요일 9:30~17:00(입장 마감 16:30)까지 관람이 가능하고, 토요일/공휴일은 휴관이니 관람 시간 확인하고 방문하세요.
▶접수 바로가기◀
문의 복지정책과 ☎02-2155-6622, 6640
- #서초
- #서초구
- #서초구청
- #나라사랑인증샷투어
- #서울고등학교
- #서울고
- #삼일탑
- #심산김창숙기념관
- #625전쟁참전기념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