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은 재활용품 분리배출 생활 속에서 잘 실천하고 계시나요? 전 세계적으로 환경에 대한 문제가 계속 대두되면서 일상 속에서 환경을 지킬 수 있는 방법들도 많이 공유되고 있는데요. 전주시에서도 시민들이 분리배출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안내는 물론, 쓰레기 문제도 해결할 수 있도록 적극행정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중 생활폐기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롭게 시작된 방식 '전주시 생활폐기물 권역 수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주시의 권역별

청소 책임제

전주시는 생활 쓰레기 수거 방식을 이번 달 7월 1일부터 “권역별 청소 책임제”로 변경했습니다.

권역 수거란 전주시를 12개 권역으로 나눠 권역별로 담당 업체 책임하에 모든 성상을 수거해 잔재 쓰레기에 대한 책임성이 담보되는 “권역별 청소 책임제”입니다.

불편함을 해소 시킨

방식이라는 해답!

그동안은 각 업체별로 일반 쓰레기,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품, 대형폐기물 등 정해진 1개의 성상의 쓰레기만을 책임 수거하는 성상수거 방식을 운영해 왔는데요.

수거 과정 중에 혼합폐기물 등 수거 주체가 불분명한 잔재 쓰레기들이 남아있어 민원이 꾸준히 제기되었습니다. 이런 불편함을 주택에 살고 있기에 가끔 접할 수 있었습니다.


권역 수거란?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시는 권역별 청소 책임제를 도입하여 모든 쓰레기를 담당 업체가 수집, 운반과 가로 청소까지 관리함으로써 잔재 쓰레기를 없애 더욱 쾌적한 생활환경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또한, 청소 수거 체계가 변경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청소 미비 상황과 쓰레기 다량 적치 및 수거 지연 사태 등을 최소화하기 위해 시행일 이후 시구 합동으로 1:1 담당 팀을 편성해 청소 수행 상태를 지속적으로 점검하며 피드백 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함께 소통하며 협력하는 것은

전주시민을 위한 길

생활 폐기물 권역 수거의 가장 큰 변화는 아무래도 동별로 대행업체가 정해진다는 것입니다. 그로 인해 우리 동네를 담당하는 업체가 모든 것을 온전히 소화한다는 것이기에 책임소재가 분명하고 더 확실한 관리가 가능해진다는 장점이 생깁니다.

담당 대행업체로써 역할의 중요성과 부담감이 커짐에 따라 정책 시행 초반에는 좌충우돌하는 모습을 보일 수 있습니다.

정책 시행의 시행착오가 발생할 때 전주시민은 불평 보다 믿음과 지지를 보내고 부족한 부분을 감싸주고 독려하며 소통한다면 잡음을 줄이며 정책이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입니다.


재활용품 분리배출 이렇게 하세요!

인간과 자연은 함께

살아가는 유일한 존재

지구에 살아가는 동물 중에서 살기 위해서 쓰레기를 만들어 내는 유일한 존재이기에 자연 보호를 위해 함께 실천하며 솔선수범하면 어떨까요?

귀찮더라도 재활용품 분리배출 내용을 꼼꼼히 읽고 함께 노력하면 좋겠습니다. 그래서 생활폐기물 권역 수거를 위해 저도 재활용품 분리배출을 직접 해보았습니다.

1) 플라스틱류

집에서 가장 많은 재활용품 하면 뭐가 있을까요? 바로 플라스틱입니다.

떠먹는 요구르트 병과 샴푸, 아이 약병, 우유 통, 양념통 라벨까지 스티커를 깨끗하게 제거합니다. 그리고 플라스틱 통 안에 음료나 양념, 잔여물이 남아있다면 깨끗이 씻어서 투병 비닐에 넣어 배출합니다.

2) 투명 페트병

투명 페트병은 라벨을 떼어주고 몸체를 눌러 부피를 줄이고 투명한 비닐봉지에 반드시 투명 페트병만 넣어서 배출해야 합니다. 유색 페트병은 일반 플라스틱에 포함됩니다.

기존에는 라벨을 떼고 부피를 줄이지 않고 그대로 배출했었는데요. 이번에 처음으로 발로 눌러보았는데요. 하실 때 뚜껑을 열어놓고 하시면 남아있는 물, 음료와 공기가 빠지면서 부피를 줄일 수 있습니다.

3) 캔류 -살충제병

캔류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모아서 투명한 비닐봉지에 담아서 분리해 둡니다. 그리고 종류별 재질별로 구분해서 배출해 줍니다. 그리고 부탄가스와 살충제 용기는 반드시 아래 바닥에 구멍을 뚫어서 내용물을 제거해야 안전합니다.

4) 비닐봉지

깨끗한 것은 투명 비닐봉지에 넣어서 분리했습니다. 물로 씻어 냈지만, 음식물이 묻어있는 경우는 재활용이 아니고 일반 쓰레기로 구분해야 합니다.

5) 종이

우유 종이 팩은 깨끗이 씻어서 펼쳐서 말려둡니다. 그리고 다른 종이와 노끈에 묶어서 배출합니다.

6) 스티로폼

스티로폼은 테이프나 이물질을 제거 후 배출량이 많을 경우 반드시 노끈으로 묶고 양이 적다면 투명 비닐에 넣어서 버립니다. 대량 배출 시 묶으면 수거하기 좋고 쓰레기 모인 공간이 깨끗하게 관리됩니다.

7) 대형폐기물

부서진 의자를 대형폐기물로 버리기 위해 우리 동네 수거 업체와 통화를 시도해 결제 후 폐기물 수거를 완료했습니다.

재활용품 분리배출할 때 위의 재활용 불가 품목도 잘 구분해야겠습니다.


재활용 불가 품목 안내

차기 대행 용역 발전의 발판인

권역별 청소 책임제

처음 도입된 권역별 청소 책임제는 시행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닙니다.

전주시가 권역별 청소 책임제를 청소 역사상 최초로 혁신적으로 도입한 만큼 본 정책이 안착하도록 시와 시민, 청소대행업체 모두 협력해야 할 것입니다.

더불어 꾸준한 모니터링을 통해 2024년 7월 시행될 차기 대행 용역에서는 더욱 보완 발전된 청소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계획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2023년 7월부터 도입된 권역별 청소 책임제는 더 나은 주거 환경 개선의 발판이 될 것입니다.

성숙한 시민의식으로 동참!!

이러한 전주시의 구상에 발맞추어 권역 수거 체계가 바로잡히도록 각 가정에서의 개별적인 협조와 노력이 더해져야 할 것입니다.

1) 1회 용품 사용 및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2) 일반 쓰레기, 재활용품 등을 성상별로 올바르게 분리해서 배출하기

3) 쓰레기 배출 시간을 준수해 배출하기(수거일 전날 저녁 배출)

전주시민으로서 한옥마을을 찾아온 외국인 관광객이나 타 지인이 보더라도 부끄럽지 않은 성숙한 시민의식 준수에 동참해 봅시다.


{"title":"생활폐기물, 새로운 방식으로 변한다 '전주시 생활폐기물 권역 수거'","source":"https://blog.naver.com/jeonju_city/223177342040","blogName":"전주시 공..","blogId":"jeonju_city","domainIdOrBlogId":"jeonju_city","logNo":223177342040,"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