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창원대 박물관은

1974년 '향토관'으로

시작하여 현재까지

선사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역사, 고고,

민속 공예에 관한

자료 2만여 점이

소장 전시되고 있습니다.

아울러 하와이

한인 묘비 조사를 통해

한인 이민사 연구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국립창원대학교 박물관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저를 따라오세요!

창원대 박물관의

관람 안내입니다.

√ 관람시간: 월~금요일 10:0~17:00

√ 휴관일: 토·일·공휴일

√ 관람료: 무료

창원대 박물관은

상설전시실,

특별전시실,

야외전시장,

대학 역사관,

조현욱 아트 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아울러 다양한

사회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지역민과 학생들의

문화유산 가치를

알리는데

힘쓰고 있습니다.

박물관 초입부터

천천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박물관으로

들어서는 순간

우리네 삶이 투영된

미술품이

가장 먼저 반깁니다.

그림이 질문하는

문제를 따라

각자의 해답을

찾아보아도

좋겠습니다.

박물관 입구에서

애국지사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반가운 한 인물을

만났습니다.

단지 동맹,

이토 히로부미 저격,

동양평화론,

숭고한 순국 등

투철하고 강했던 삶이

흑백필름으로

펼쳐집니다.

그의 생애 전반에 걸친

조국 독립을 위한

헌신적인 노력을

결코 잊어서는

안되겠지요.

기억하겠습니다.

전시관 입구에는

'잊혀진 이야기,

역사가 되다.'라는

이름으로

하와이 이민 1세의

묘비로 본

삶의 궤적을

만날 수 있습니다.

2024. 09.12-10.31일까지

특별 전시로

진행이 되었는데

아직 그대로

전시되어 있어

살펴볼 수 있습니다.

이번 전시는

묘비로 시작하여

여러 자료들을 통해

드러난

그 삶의 궤적을

보여주는 한편,

안중근 의사를 위한

하와이 동포의

성금 모금과

당시 한국인들의

독립에 대한

의지를 확인하고자

전시되었다고 합니다.

묘비가 사라진다면

그들이 하와이에서

생존했던 삶의 기록은

영영 사라져 버리겠지요.

따라서 우리는

하와이 이민 1세대들을

기억하며,

그 삶의 궤적을

기록해야 되지

않을까요?

점차 잊혀가는

기억 속에서

하와이 섬 곳곳에

버려진 묘비들만이

그들의 치열했던 삶을

기억하고 있으니까요.

하와이 등

외국에 이주한

한인들은

안중근 의사를

돕기 위해

의연금 모금에 나섰고,

안중근 의사의

변호사 비용으로

사용할 수는 없었지만,

가족의 생계에

도움이 되었고

임시정부가

존재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안중근 의사는

중국 뤼순 감옥에서

1910년 2월 14일부터

3월 26일까지

40여 일 동안

집필활동과 함께

60여 점의

유묵을 썼습니다.

유묵을 통해

안중근 의사의

삶과 사상,

독립에 대한 의지를

보여주는

역사적 가치를

알 수 있습니다.

청초당(보물)

사형 집행 이틀 전

뤼순감옥에서 쓴

마지막 유묵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풀이 푸르게

돋는 언덕(제방)'이라는 뜻으로

봄에 풀이 푸르게

돋아나듯이

우리나라도

독립이 올 것을

암시하는

안중근 의사의

소망을 담은

글귀입니다.

임적선진위장의무(보물)

1910년 3월

뤼순 감옥에서 쓴

친필 유묵으로

'적을 맞아

앞장서 나가는 것은

장수의 의무이다.'라는

중요한 덕목을

잘 드러낸 유묵입니다.

이제 상설전시실로

진입해 보겠습니다.

상설전시실은

시대별, 유적별로

대표 유물들을

선정하여

선보이고 있습니다.

경남지역에서는

동시에 접하기 어려운

신라와 가야의

유물 전시하고 있어

비교 검토하며

감상할 수 있습니다.

창원의 구석기 유물은

동읍 용잠리 유물산포지에서

9점과

도계동 유적에서

1점 등

뗀석기 10점을

지표상에서

채집하여

확인되었습니다.

그동안 공백 상태로

남아 있던

창원의

구석기 시대 역사를

새롭게 쓰는

중요한 유적을

확인하게 되어

큰 의미가 있습니다.

뗀석기 제작 방법도

살펴봐도 좋을 듯합니다.

청동기 시대는

청동기의 제작,

농경의 본격화,

대규모 취락 형성,

집단 내에서 사회적 계층화가

이루어진 시대입니다.

청동기는

권위의 상징물이나

의기가 사용되었고

일상생활에서는

신석기 시대와

마찬가지로

간석기, 목기,

골각기가

사용되었습니다.

청동기 시대의 토기를

만나볼 수 있어

안성맞춤입니다.

창원 남산 유적은

창원시 의창구

서상동 공원 조성 계획으로

1997년에

발굴 조사되었습니다.

환호는

마을을 방어하기 위해

마을 주변에

둥글게 파 놓은

도량을 말합니다.

특히 청동기 시대 환호는

전체 길이 200m가 되며,

감싼 범위가

넓지는 않으나

자체 규모는

지금까지

한반도 내에서 발견된

가장 큰 규모라고 합니다.

강에서 조개를 채취,

먹고 버린

조개껍데기가 쌓여

만들어진

유적 창원 중동 패총은

창원에서 가장 큰

삼국시대 마을 유적으로

고분, 주거지,

패총 수전 등이

발굴되었다고 합니다.

가야는

낙동강 하류 변한 지역에서

풍부한 철 자원을

기반으로

성장했습니다.

금관가야를

중심으로

낙랑과 왜에

철을 공급하면서

국제 교역의

중심이 되었고

3세기 후반

새로이 북방계 문물을

받아들이면서

발전하였습니다.

광개토대왕 남정 이후

금관가야는

쇠퇴하게 되고

대가야 중심의

후기 가야가

시작되었습니다.

고령 자산동 고분군에서

'대왕大王'이란

글자가 새겨진

토기와 화려한 금관이

출토된 것으로 보아

신라, 백제와

힘을 겨를만큼

강한 세력으로

발전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 무렵 창원지역에는

골 포구, 탁순국이

자리하고 있었습니다.

이들은 마산만과

낙동강을 통해

교류와 교역의 중심지로

성장 발전하였습니다.

울산 다운동 유적은

울산의 젖줄이라

할 수 있는

태화강과

척과천이

합수하는

구릉에 위치합니다.

청동기 시대 주거지를

비롯하여

삼한, 삼국시대의

분묘유적,

조선시대 건물지에

이르기까지

장기간에 걸쳐

인간이 거주한

복합유적으로

확인되었습니다.

통일신라시대 이후의

창원의 모습을

토기를 통해서

알아볼 수 있습니다.

창원지역의 고려,

조선시대 무덤과

고려청자,

조선의 분청사기와

백자들을 만나보세요!

창원 다호리 고분에서

출토된 집 모양 토기로

고상 가옥 형태입니다.

이러한 형태의 가옥은

창고에 곡식이

항상 가득하도록

풍요를 기원하는

농경사회의

전통적인 신앙과

이승과 저승에서

넉넉한 삶을 누리도록

염원한 마음이

담겼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청동기 시대에서

삼국시대에 이르는

시기의

당시 창원지역

가옥의 모습을

파악하는

중요한 자료가 됩니다.

오리모양 토기는

오리의 모습으로

주전자처럼

속이 비어있고

엉덩이 쪽에

물을 채우고

따를 수 있는

구멍이 있습니다.

예부터

새가 죽은 사람의 영혼을

하늘로 안내한다는

믿음이 있었습니다.

오리모양 토기는

영혼이 안전하게

다른 세상으로

다다를 수 있기를

기원하며

무덤에서

제사를 지낼 때

사용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창원대학교 역사관은

휴관이라

관람할 수 없어

아쉬웠습니다.

조현욱 아트홀은

조현욱 대표의

지역 문화 예술의

발전을 도모하고

지역 작가들을

지원하고자

설립되었다고 합니다.

현재는 현미경 사진을

모티브로

패턴 배열을

다양하게

디자인한 작품들이

전시되고 있습니다.

작은 호기심 하나의

실용적인 디자인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시기 바랍니다.

창원대 박물관

둘러보니 어떠셨나요?

안중근 의사와

하와이 이민자들의 삶을

엿볼 수 있어 좋았습니다.

아울러 선사시대부터

조선까지

변모해 가는 토기를

살펴볼 수 있어

더 좋았던 것 같습니다.

이제 날씨가

많이 덥습니다.

바깥 활동보다는

시원한 실내에서

우리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만나보기를

추천드립니다.

#창원특례시 #창원대학교박물관 #창원대학교 #창원역사유적 #창원유적지 #창원가볼만한곳


{"title":"지역 역사와 문화를 담고 있는 국립창원대학교 박물관","source":"https://blog.naver.com/cwopenspace/223925927170","blogName":"창원시 공..","domainIdOrBlogId":"cwopenspace","nicknameOrBlogId":"창원시","logNo":223925927170,"smartEditorVersion":4,"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m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