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시간 전
"포기하지마세요!" 난임 부부 지원이 무제한?!! (경상북도 난임지원사업)
"포기하지마세요!"
난임 부부 지원이 무제한?!!
(경상북도 난임지원사업)
오늘은 출산을 꿈꾸는
모든 가정에 희망의 씨앗이 되어줄
「경상북도 난임지원사업」 을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출산율 감소는 더 이상 통계 속 수치가 아닌,
우리 사회가 함께 마주한 현실이 되었습니다.
이에 경북은 출산을 원하는
누구나 시도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해
의미 있는 결단을 내렸습니다.
💡 난임 부부 지원 “무제한 지원”으로 확대
기존에는 출산당 최대 25회까지만
지원되던 시술비가
2025년 7월부터 의사 소견에 따라
횟수 제한 없이
무제한으로 지원됩니다.
이는 단순한 예산 증액을 넘어,
“포기하지 말고, 끝까지 시도해 보세요”라는
경북의 응원이 담긴 정책입니다.
난임 시술은 단 한 번의 기회가 소중한 만큼,
이 같은 변화는 경제적 부담으로 도전을 멈췄던
많은 가정에 새로운 희망이 될 것입니다.
👨 전국 최초! ‘남성 난임 시술비’도 지원
경북의 조사에 따르면,
난임 진단을 받은 대상자의 약 35.2%가
남성이라고 합니다.
그동안 난임은 주로 여성의 문제로만 여겨졌지만,
경북은 이 고정관념을 허물고,
전국 최초로 남성 난임 시술비를
100만 원까지 지원하는 정책을 도입했습니다.
이는 “임신과 출산은
부부가 함께 짊어지는 여정”이라는
진정한 공동 책임의 인식을 반영한 결정으로,
저 역시 한 시민으로서 깊은 감동을 받았습니다.
👩35세 이상 산모에겐 외래 검사비까지 지원
고령 임신에 따른 의료적 위험도는
많은 예비 부모님들의 큰 걱정거리입니다.
이에 경북은 분만 예정일 기준
35세 이상 산모의 외래 진료·검사비를
50만 원까지 지원함으로써,
보다 나은 출산 환경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출산 전에도, 출산 중에도, 출산 후에도
세심하고 실질적인 지원이 이어진다는 점에서
저출생에 대응하는
경북의 진정성이 느껴졌습니다.
💊임신 관련 통합적인 케어 지원
이번 정책은 시술비에만 그치지 않습니다.
✅안동·김천 의료원 내
난임 전문 상담 센터 운영
✅난임 부부 대상 심리 상담 제공
즉, 경북은 단순한 재정 지원을 넘어
난임이라는 복합적인 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것입니다.
시작부터 출발까지 함께라는
말이 절로 떠오를 만큼,
이번 정책은 ‘한 생명’을 기다리는 모든 순간에
공감하고 손을 내밀고 있다는 점이
참 인상 깊었습니다.
📊 실제 효과가 증명합니다.
2025년 1분기 기준
난임 시술 건수는 2,628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810건 증가했습니다.
2024년 출생아 10,300명 중
1,288명(12.5%)이
난임 시술을 통해 출생한 것으로 집계되면서,
난임 지원 사업의 효과가 수치로 확인되었습니다.
이 수치는 단순한 통계를 넘어
정책이 실질적으로 현장에 긍정적인 변화
만들고 있다는 강력한 증거입니다.
한 가정의 기쁨이자,
한 지역의 미래를 위한 결실이 아닐까요?
✅ 경상북도 난임지원사업 요약
구분 |
내용 |
난임 부부 지원 |
난임 시술비 및 약제비 무제한 지원 (의사 소견 필요) |
남성 난임 |
전국 최초 지원, 최대 100만 원 |
고령 산모 |
35세 이상 외래 검사비 최대 50만 원 |
통합 케어 |
심리 상담 + 난임 센터 운영 |
🗨 서포터즈의 느낀 점
이번 정책을 살펴보며 가장 인상 깊었던 점은
난임이라는 복잡하고 예민한 문제를
사람 중심의 시선으로 접근했다는 점이었습니다.
지원 예산이 아니라,
‘마음’을 먼저 움직인 정책.
경제적 이유로 도전하지 못했던
수많은 부부들에게
다시 희망을 줄 수 있는 정책.
그리고 무엇보다,
숫자가 아니라 한 생명을 위한
따뜻한 공공정책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제 ‘출산을 원하는 모든 경북도민’이
용기 내 도전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경상북도가
따뜻하고 책임감 있는 정책으로
도민 삶의 소중한 순간들을 함께하길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2025 경상북도 SNS 서포터즈
임진아 님의 글과 사진입니다.
* 본 게시글은 경상북도 SNS 서포터즈가
직접 취재·작성한 것으로,
경상북도의 확인을 거쳐 게시되었습니다.
🔽 경북 SNS 바로가기 🔽
- #난임지원사업
- #경상북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