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년 전
아이들의 안전사고 감소와 함께 도시미관도 향상시킨 '한강신도시 청송제1어린이공원' 환경개선!
도시가 발달하면서 자연스럽게 상주 인구가 늘어나면, 그에 따른 도시사업이 자연스럽게 탄력을 받게 되는 것 같습니다. 전국에서 거의 유래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김포시는 인구유입이 가파르게 이루어지고 있고 이제는 인구 50만을 넘어 1998년 시 승격 이후 25년만에 '대도시'의 반열에 오르기도 했습니다. 이제는 살기 좋고 그에 따른 인프라도 충분한 명품 도시가 되었는데요. 오늘 찾아온 지역은 장기역 주변의 '장기본동' 일대입니다.
먼저, 작년에 취재를 했던 '장기동 1323'의 '청송제2어린이공원'을 둘러봤습니다. 작년 가을 대대적인 환경개선이 이루어진 곳으로 '김포시 클린도시사업소'에서 한강신도시 어린이공원 환경개선사업의 첫 번째 대상지였습니다. 진입로, 바닥, 놀이기구, 편의시설들이 완전히 탈바꿈한 모습으로 어린이들을 위한 안전사고 예방과 도시미관을 향상시켜준 좋은 사례로 남아 있는 곳이지요. ✨
그런데 왜 이곳을 다시 찾았을까요!? 네 맞습니다. 올해 여름에는 두 번째 사업대상지인 '청송제1어린이공원'의 환경개선 사업이 완료💞되었다는 소식에 현장을 찾아와보았습니다!! 💨💨
청송제1어린이공원은 2공원의 도로 반대편에 위치하고 있으며 '장기동 1343', 지도상으로는 '청송현대1공원'이라고 검색하셔도 되는 곳입니다. 최근 6월 초 앞서 말씀드린 어린이공원 환경개선사업과 동일한 사업으로 약 6개월의 시간을 두고 1, 2공원의 환경개선사업을 완료한 모습입니다.
안전, 재미, 동심을 다 갖춘 '공원'을 모티브로 지면 평탄화작업은 물론 바닥 포장재가 전면 교체되었으며 부모님들이나 아이들이 잠시 쉴 수 있는 '데크 쉼터'가 추가적으로 조성되었습니다. 2공원과는 전체적인 디자인과 분위기는 서로 다르지만, 환경개선의 목적과 구조는 맥을 같이하고 있는 듯 합니다.
장기본동의 공동주택들과 상가, 놀이터의 경우에는 조성된 지 오랜시간이 지나면서 전체적으로 노후화된 어린이 놀이터의 경우에는 안전사고 위험이 많았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았었는데요. 이렇게 산뜻하고 귀여운 느낌의 미끄럼틀, 네트 놀이시설, 그네 등이 설치되어 보기가 매우 좋았습니다. 또한, 오래전에 만들어졌던 놀이터여서 그런지 배수시설도 잘 갖추어져 있지 않아, 요즘처럼 여름철이나 우천시에는 물이 고여 있어서 낙상사고 등, 아이들이 마음껏 뛰어놀지 못했다는 단점이 있었다고 하네요!
하지만, 이제는 이렇게 완벽하게 환경개선사업이 완료되어 마침 코로나도 종식이 되어 아이들이 야외에서 오랜만에 마스크를 벗고 신나게 뛰어놀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다는 것만으로도 참 고무적이고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는 것 같습니다. 또한, 김포시는 준공에 앞서 공사에 사용된 자재의 유해성과 안전성을 사전에 검증하였고, 어린이놀이시설 활동공간 및 설치에 관한 정식검사를 실시하여 '안심'도 더한 놀이터가 되었습니다. 😊
사업 전과 후의 사진을 비교해보니 정말 많이 달라진 것을 느낄 수 있었는데요. 어떻게 보면 도시사업 중 작은 사업일 수 있지만, 무엇보다 아이들의 안전을 고려한 환경개선사업이 적시에 이루어져 뜻 깊은 사업이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사진에는 보이지 않지만, 저녁에는 조명이 라이트업🎇되면서 혹시라도 모를 사고에 대비할 수 있다는 장점도 보이고요.
이 외에도, 장기본동 대규모 아파트 단지 주변으로는 해마다 다른 모습을 보이는 것 처럼, 여러가지 환경개선 사업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 같았습니다. 조금 더 편리하고 살기좋은 마을이 되어가고 있는 것 같네요. 찾고 싶은 동네, 살기 좋은 동네가 되어가는 것 같아 뿌듯한 마음이 들었습니다. 아이들이 더욱 안전하고 멋지게 변한 공원에서 웃으며 뛰어놀게 될 상상을 하니 기분이 덩달아 좋아지는 것 같습니다.
- #김포어린이공원
- #김포놀이터
- #장기동어린이공원
- #청송현대1공원
- #청송제1어린이공원
- #장기동놀이터
- #김포장기동놀이시설
- #공원환경개선사업
- #도시미관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