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희망적금’에서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탈 수 있는 연계 가입 신청 절차가 1월 25일부터 시작됐습니다! 청년희망적금을 만기까지 유지한 청년이면서 청년도약계좌 가입요건을 충족한 청년들은 만기 해지 직후 청년도약계좌를 개설하여 지속적으로 자산을 축적해 나갈 수 있게 됐는데요. 연계 가입 신청 기간과 가입 대상, 혜택 등을 오산시와 상세히 알아보아요 😉


청년희망적금 & 청년도약계좌 차이점?

청년희망적금은 2년 동안 매달 50만 원 한도로 적금을 납입할 경우 5% 금리(우대금리 별도) + 최대 36만 원의 저축장려금(정부지원금) +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계좌로, 모든 혜택을 합산하면 10%의 안팎의 높은 금리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상품입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청년 세대를 위한 중장기 자산형성 지원 사업으로 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이 가능한 5년 만기 적금 상품입니다. 가입자는 5년 만기 시 연 6% 금리 + 정부기여금(개인소득 수준과 납입 금액에 따라 매칭 지원) + 비과세 혜택을 모두 합쳐 최대 5,000만 원의 목돈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청년희망적금 → 청년도약계좌 갈아타기 혜택은?

청년희망적금 만기자는 만기금을 일시에 청년도약계좌로 납입하는 연계 가입이 가능합니다. 일시 납입 금액은 최소 200만 원 ~ 청년희망적금 만기 수령금 전액(최대 약 1,300만 원)까지 납입할 수 있는데요. 이에 대한 정부 기여금도 일시 매칭 지급해 자산 형성 효과가 높아지는 혜택을 볼 수 있습니다.

매월 70만 원씩 5년간 납입한다고 가정했을 때 일반 청년도약계좌 만기 시 수익은 납입액에 대한 은행 이자(641만 원) + 정부기여금 및 관련 이자(160만 원) + 이자소득세 비과세 혜택 = 총 821만 원이나, 청년희망적금 연계 가입 시에는 납입액에 대한 은행 이자(694만 원) + 정부기여금 및 관련 이자(162만 원) + 이자소득세 비과세 혜택을 모두 합쳐 856만 원으로 혜택이 늘어납니다.

청년도약계좌 일시 납입 방법

① 계좌 개설 시 1,260만 원 일시 납입 → ②월 설정 금액 70만 원 → ③ 18개월(1,260=70) 동안 일시납 입금 납입 전환 간주 → ④ 추가적인 이자 소득 가능!

ex) 청년희망적금 만기 수령금 중 1,000만 원 청년도약계좌에 일시 납입 → 월 납입 금액을 50만 원으로 설정 → 20개월 동안 매월 적금을 내는 것으로 간주. 청년도약계좌의 만기는 60개월(5년)로, 예시로 든 연계 가입자의 신규 납입은 가입 일로부터 21개월 차부터 매달 70만 원 한도 내에서 적금 납입 가능.

* 월 납입 금액은 40, 50, 60, 70만 원 중에서 가입자가 선택 가능(계좌개설 이후 중도 변경 제한)

* 일시 납입 여부와 무관하게 만기는 5년으로 동일

구분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 청년도약계좌

만기 후 일시 납입

납입 금액

70만 원 * 60개월 납입

정부기여금(월 최대 24000원) 가정

일시납입금 1,260만 원 (70만 원 X 18개월)

70만 원 X 42개월 납입

정부기여금(월 최대 24000원) 가정

금리 지급 조건

기본금리 연 4.5%

저소득 우대금리 연 0.5%

은행별 우대금리 연 1.0% 적용 시

기본금리 연 4.5%

저소득 우대금리 연 0.5%

은행별 우대금리 연 1.0% 적용 시

납입액(원금)

4,200만 원

4,200만 원

납입액에 대한 은행 이자 (세전)

641만 원

694만 원

정부기여금 및 관련 이자 (세전)

160만 원

162만 원

이자소득세 (비과세 혜택 적용)

0원

0원

총 수익

821만 원

856만 원

만기수령액 예상금

5,001만 원 예상

5,056만 원 예상


연계 가입 신청기간

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 만기자 연계 가입 신청 기간은 1월 25일(목) ~ 2월 16일(금)까지이고요. 계좌 개설은 신청일 및 가구원수에 따라 2월 22일(목) ~ 3월 15일(금)까지 가능합니다.

청년도약계좌는 매월 가입이 가능하나, 일시 납입 방식은 청년희망적금 만기일이 속하는 달의 다음 달(3월 중 만기 예정자는 4월)까지만 신청이 가능합니다.

연계가입 신청 기간

  • 1월 25일(목) ~ 2월 16일(금)

신청일별 계좌개설 기간

  • 1월 25일(목) ~ 2월 2일(금) 신청자 계좌개설 기간

- 2월 22일(목) ~ 3월 15일(금)까지 개설

  • 2월 5일(월) ~ 2월 16일(금) 신청자 계좌개설 기간

- 1인 가구 : 2월 26일(월) ~ 3월 15일(금)

- 2인 이상 가구 : 3월 4일(월) ~ 3월 15일(금)

* 청년도약계좌는 연계가입 일정 이후에도 매월 가입이 가능하나, 일시납입 신청은 3~4월까지만 가능합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 대상 (소득 기준)

청년도약계좌 가입 대상총 급여 7,500만 원 이하이면서 가구 소득이 중위소득 180% 이하인 만 19~34세 청년입니다. 총 급여가 6,000만 원~7,500만 원이면 정부기여금 없이 비과세 혜택만 제공됩니다. 다만 모든 요건을 갖추었더라도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인 경우 가입이 제한됩니다.

가구원 수

1인 가구

2인 가구

3인 가구

4인 가구

5인 가구

6인 가구

2024년 중위소득 180% (원)

4,011,201

6,628,696

8,486,383

10,313,843

12,052,323

13,713,064


연계 가입 신청 방법

적금 갈아타기를 하려면 청년도약계좌를 취급하는 11개 은행 어플리케이션에서 비대면으로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신청 시 청년희망적금 예상 만기 수령금 및 일시 납입에 따른 기대수익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후 일시납입 정보(일시납입 여부, 일시납입 규모)를 입력하고요. 일시납입 조건 및 소득요건 확인 후 계좌를 개설하면 연계 가입이 완료됩니다.

청년도약계좌 연계 가입 절차

① 가입신청(은행 App) → ② 일시납입 정보 입력(알림톡 안내*) → ③ 일시납입 조건 및 소득요건** 등 확인 ④ 계좌개설


ⓒ 금융위원회 카드뉴스 / 좌 ↔ 우로 스크롤하여 확인해 주세요!

청년희망적금에서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타기를 기다리는 오산시 청년 여러분께 도움이 되는 소식이었기를 바라며~ 청년도약계좌 연계가입에 대해 궁금한 사항은 서민금융진흥원 청년도약계좌 홈페이지(https://ylaccount.kinfa.or.kr/main) 또는 서민금융진흥원 콜센터(☎1397→바로 연결 번호 3번)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 보세요!

{"title":"청년희망적금 → 청년도약계좌 갈아타기 혜택 | 가입 대상 · 신청 기간 · 소득기준","source":"https://blog.naver.com/osan_si/223333511868","blogName":"오산시 블..","blogId":"osan_si","domainIdOrBlogId":"osan_si","logNo":223333511868,"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