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악산국립공원

1984년 17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면적은 287.571k㎡이다. 소백산을 지나 속리산으로 연결되는 백두대간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다. 월악산은 기암절벽이 치솟아 산세가 험준하고 예로부터 신령스러운 산으로 여겨져 주봉은 영봉(1,097m)으로 불리고 있다. 만수봉, 금수산, 신선봉, 도락산 등 22개가 넘는 크고 작은 산과 봉우리를 거느리고 있다. 충북 제천시, 단양군, 충주시와 경북 문경시가 접해 있으며 수도권에서 가깝고 충주 호반과 어우러진 탐방지로 사계절 탐방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곳이다.

겨울철 월악나루 주변 다람쥐섬에 상고대가 좋다고 하여 월악나루를 찾았습니다.

월악나루에 도착하니 호수면에 물안개가 피어오르고 월악산 영봉 너머에서 해가 얼굴을 내밀고 있었습니다.

월악나루 주변으로 하얗게 상고대가 붙기 시작합니다.

물안개가 피어오르니 호수가 거대한 노천탕처럼 보입니다.

말라가고 있는 빨간 산수유 열매에도 하얗게 상고대가 붙었습니다.

해가 떠오르고 카메라에 상고대를 담은 후 한수면 송계계곡으로 올라갔습니다.

월악산 영봉이 장업하게 우뚝 솟아있습니다.

영봉은 제천시 덕산면과 한수면사이에 위치하고 해발1,097m 입니다.

달이뜨면 영봉에 걸린다고 하여 월악산 이름이 붙여졌다고 합니다.

덕주산성입니다.

덕주산성은 충청북도 기념물 제35호로 통일신라시대에 세워진 산성으로 제천시의 문화재입니다.

덕주산성에는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계속 증축된 흔적이 있어 한국의 전통 성곽 연구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성은 석축과 토축의 혼합 형식으로, 조선시대에 쌓은 남문, 동문, 북문 등이 남아 있습니다.

망폭대입니다.

충청북도 제천시 한수면 송계리 송계계곡의 경승지인 송계팔경의 하나입니다.

내린눈이 남아있는 월악산 주변의 산들의 우뚝솟은 봉우리들은 한폭의 산수화를 보는것 같습니다.

덕주사(德周寺)

대한불교 조계종 제5교구 본사인 법주사(法住寺)의 말사이다. 구전으로 587년(진평왕 9)에 세워졌다고 전해진다. 더불어 신라의 마지막 공주인 덕주공주(德周公主)가 마의태자(麻衣太子) 일행과 이곳에 들렀을 때 이 절을 세워 절 이름을 덕주사라 하고, 골짜기 이름을 덕주골이라고 하였다는 전설도 전해지고 있다. 그러나 정확한 역사적 자료가 남아있지 않아 창건자와 창건연대는 미상이다. 그때 지은 사찰은 보물 덕주사마애불 앞에 세워졌었는데, 6 ·25전쟁 때 훼손되었다. 현재의 건물은 원래의 사지에서 1.7km쯤 떨어진 곳에 1970년에 중창된 것이다.

당우(堂宇)는 법당과 요사채 뿐이지만 어느 때 것인지 확실하지 않은 우탑(牛塔) 1기(基)와 조선시대의 부도(浮屠) 4기가 있는데, 이 우탑에는 다음과 같은 전설이 얽혀 있다. 덕주사에 승려가 많아져 절이 좁아서 새로이 부속건물을 지으려고 하는데, 난데없이 건장한 황소 한 마리가 나타나 목재를 어디론가 실어 날랐다. 뒤따라가 보니 지금 마애불이 있는 바위 아래였으므로 거기에 절을 짓고, 목재를 다 실어나른 황소가 죽은 자리에는 우탑을 세웠다고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덕주사(제천) (대한민국 구석구석, 한국관광공사)

월악산과 덕주사가 있는 제천시 한수면 송계리에서 겨울의 정취를 느끼고 월악산의 정기를 받아가세요.

#제천시SNS시민홍보단 강문구

{"title":"월악산의 겨울풍경과 송계계곡","source":"https://blog.naver.com/okjc9671/222987561377","blogName":"자연을 담..","blogId":"okjc9671","domainIdOrBlogId":"okjc9671","logNo":222987561377,"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fals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