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년 전
평택시민기자단 I 광복절을 앞두고 평택의 현충탑을 관람하며 나라사랑을 배워요
안녕하세요
평택시민기자단 6기 홍웅기입니다!
광복절을 앞두고, 평택시 현덕면에 있는 현충탑과 3,1 독립운동 기념비를 찾았습니다.
3·1독립운동 기념조형물, 무공수훈자 공적비, 6.25 참전 공적비,가 세워져 있습니다.
평택 3,1운동 첫 만세운동터 표석입니다.
이 곳은 조국의 자주 독립을 위해 일제에 항거해 3,1운동을 전개한 평택지역 첫만세운동 터입니다. 빼앗긴 나라를 되찾기 위해 목숨을 바친 선조님들의 자주독립 정신을 기리고자 후세들이 뜻을 모아 세운 표석입니다.
나라를 잃은 서러움이 어떤 고통인가?를 잠시 가늠해 봅니다.
평택 3,1독립만세운동 봉기도입니다.
‘계두봉 3,1운동 만세 시위지’입니다.
‘계두봉 3,1운동 만세 시위지’는 평택 지역에서 1918년 3월 9일부터 4월까지 진행 되었으며, 최초로 만세 시위가 벌어진 곳이라고 소개하고 있습니다.
현충탑인데, 올라가는 계단 양옆으로 무궁화 활짝 피어 있습니다.
현충탑은 평택시 출신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을 추모하기 위해 세워졌습니다.
현충탑은 평택시 출신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을 추모하기 위해 시민들이 뜻을 모아 건립한 탑이라고 합니다.
‘6.25 참전 공적비’ 인데, 6.25전쟁 때 용맹하게 싸운 참전용사들의 공적을 기리는 비입니다.
공적비를 보니, 전쟁으로 인해 아픔 역사를 가져 마음이 아파집니다.
‘평택 3,1운동 100주년 기념 그날의 함성’ 조형물입니다.
‘평택 3,1운동 10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창립 취지문’과 ‘평택 3,1운동 만세운동의 역사’에 대해 소개하고 있습니다.
3,1운동 당시 평택에서 사용했던 태극기입니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태극기와 어떻게 다른가요?
우리에게 소중한 태극기입니다.
‘오늘을 사는 자 기억하리라’ 헌시입니다.
광복절을 맞아 이 나라의 자유를 지키기 위해 애쓰다 가신 순국선열님을 찾아 뵙고,
나라사랑 하는 마음을 배우는 현충탑을 찾아보시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 같습니다.
#평택 #평택시 #평택시민기자단 #광복절 #현충탑 #순국선열 #현충탑 #나라사랑 #독립운동 #평택시헌덕면
- #평택
- #평택시
- #평택시민기자단
- #광복절
- #현충탑
- #순국선열
- #나라사랑
- #독립운동
- #평택시헌덕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