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연금 기초급여 월 최대 30만 원 지급

올해 1월부터 모든 장애인연금 수급자 기초급여액을 월 최대 30만 원으로 지급받을 수 있어요. 생활이 어려운 중증 장애인들의 생활 안정 및 복지 증진을 위해 매월 일정액의 연금을 지급하는 사회보장제도로 '기초급여'+'부가급여'로 이루어진답니다. 그럼 자세한 내용 카드뉴스를 통해 함께 살펴보도록 해요!

장애인 연금

기초급여 +부가급여

이로써 장애인연금 수급자 약 8만 명(차상위초과자~소득하위 70%)이 새롭게 추가적으로

월 최대 30만 원의 기초급여액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장애인연금 대상자

만 18세 이상 중증장애인 (종전 1급·2급 장애인 및 3급 중복 장애인*) 중 소득하위 70% 이하

*3급 중복 : 2개 이상의 장애를 가지면서 그 중 하나가 3급인 경우

18세 이상 중증장애인의 소득 하위 70%

중증장애인 가구의 소득·재산 수준과 생활실태, 임금·지가·물가상승률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매년 설정

’21년 기준 단독가구 122만 원, 부부가구 195.2만 원

지급액(’21 기준) [18~64세]

• 기초생활수급자(재가) : 기초급여 30만원 + 부가급여 8만원 = 합계 38만원

• 차상위 : 기초급여 30만원 + 부가급여 7만원 = 합계 37만원

• 차상위 초과 : 기초급여 30만원 + 부가급여 2만원 = 합계 32만원

[65세 이상]

• 기초생활수급자(재가) : 기초급여(기초연금으로 전환)+ 부가급여 38만원* = 합계 38만원

• 차상위 : 기초급여(기초연금으로 전환)+ 부가급여 7만원 = 합계 7만원

• 차상위 초과 : 기초급여(기초연금으로 전환)+ 부가급여 4만원 = 합계 4만원

배우자가 장애인연금 수급대상이거나 소득인정액과 기초급여액의 합산이 장애인연금 선정기준액 이상인 경우, 기초급여액을 일부 감액하여 지급

*65세 이상 중증장애인이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인 경우, 기초연금액이 생계급여에서 차감됨에 따른 소득감소를 막기 위해 부가급여 38만원 지급

장애인연금 신청방법

▶ 중증장애인의 주소지 관할 읍·면 사무소 및 동 주민센터

▶ 온라인 신청 : 복지로 ☞ http://online.bokjiro.go.kr

함께 잘 사는 포용적인 사회를 위해!

모두가 노력합시다!

{"title":"장애인연금 기초급여 월 최대 30만 원 지급","source":"https://blog.naver.com/ullgongbo/222211758064","blogName":"아름다운 ..","blogId":"ullgongbo","domainIdOrBlogId":"ullgongbo","logNo":222211758064,"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outsideDisplay":false,"lin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