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갑산장곡사 #장곡사 #대웅전두곳이있는장곡사 #청양여행 #청양가볼만한곳

#산사기행 #청양 #2월여행지추천 #청양여행주천 #칠갑산장곡사문화재


청양군SNS서포터즈 이병헌

청양 칠갑산 장곡사의 늦겨울

이제 겨울이 깊어가고 있고 입춘과 정월 대보름이 지났으니 봄도 멀지 않았습니다.

겨울빛이 따스하게 내리는 날에 청양여행을 하였습니다.

칠갑산 자락에 자리 잡은 장곡사가 있고 조금 내려오면 칠갑산장승공원,

청양알품스공원과 백제체험박물관이 있어 연계해서 여행하기에 좋은 곳입니다.

​천천히 일주문을 통해서 안으로 들어가면 장곡사 주차장이 있습니다.

주차장에 자동차를 주차하노라면 앞에 건물이 보입니다.

운학루가 있고 범종각과 최근에 지어진 건물이 다가옵니다.

장곡사(長谷寺)는 충남 청양군 대치면 장곡리에 자리 잡은 사찰입니다.

장곡사는 신라 문성왕 12년(AD 850) 보조선사 체징이 창건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자세한 연혁은 전하지 않으나 조선 정조 1년(1777) 고쳐 짓고

고종 3년(1866)과 1906년, 1960년에 크게 고쳐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작년에 설선당을 수리하였고 하대웅전 주변을 정리하고 있었는데

이번에 가니 말끔하게 정리가 되어있습니다.

이곳은 칠갑산 자락의 고즈넉함이 그대로 전해오는 곳으로 절 마당에 서니 마음이 편안해집니다.

장곡사에는 많은 국보와 보물 등 문화재가 많이 있습니다.

어지간한 사찰에 장곡사 철조약사서국보를 발견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런데 이곳에는 여래좌상부석조대좌(국보 제58호), 장곡사 미륵불괘불탱화(국보 제300호),

금동약사여래불좌상(국보 337호로 지정) 등은 국보로 지정되었습니다.

이곳에서는 대웅전 내부 사진 찍는 것이 금지되어있어

불상 사진과 괘불탱 사진은 문화재청에서 가져왔습니다.

그리고 보물도 많이 있는데 장곡사 상대웅전(보물 제162호), 하대웅전(보물 제181호),

장곡사 철조비로자나좌상부석조대좌(보물 제174호), 설선당(유형문화재 제273호) 등은

보물로 지정이 되어 전국적으로 보기 드문 많은 문화재를 간직하고 있습니다.

장곡사의 특별한 것 중 하나가 다른 가람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대웅전이 두 곳이 있다는 것입니다.

이곳에는 상·하 대웅전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며 약사여래 기도 도량으로도 유명합니다.

아래쪽에 있는 하대웅전은 조선 중기에 지은 것으로 앞면은 3칸이고 옆면은 2칸 크기입니다.

지붕은 옆면에서 보면 사람 인(人)자 모양의 맞배지붕을 하고 있으며,

지붕 처마를 받치는 장식구조가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양식입니다.

하대웅전 왼쪽에 있는 설선당은

충청남도 청양군 장곡사에 있는 하대웅전 왼쪽에 동향하여 세워진 스님들이 거처하는 건물인데,

1997년 12월 23일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51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최근에 수리를 하여 새롭게 태어난 모습입니다.

그리고 범종각에 가면 코끼리가죽으로 만든 북을 만날 수 있습니다.

장곡사에 있는 큰북은 오랜 옛날 장곡사에 있던 한 승려가 국난을 극복하고

중생을 계도하는 뜻에서 코끼리 가죽으로 만들어 졌다고 전하여 오고 있습니다.

지금은 양쪽면에 일부가 찢어진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비자나무로 만든 통나무 그릇이 있는데

오래전 장곡사 승려들이 밥통대신

사용하던 생활도구로 전하여오고 있는 것으로 보아

옛날에는 큰 사찰이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현재는 사찰 유물로 잘 보존만 하고 있을 뿐이며

규격은 길이 7미터. 폭 1미터. 두께 0.1미터나 됩니다.

그리고 이곳에는 목어와 범종 그리고 윤판도 있습니다.

상대웅전은 하대웅전보다 훨씬 높은 곳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하대웅전에서 계단을 따라 올라가면 오른쪽에서 상대웅전을 만나게 됩니다.

상대웅전은 앞면 3칸·옆면 2칸 크기이며,

지붕은 옆면이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입니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가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으로

특이한 양식입니다. 건물 안쪽 바닥에는 전돌을 깔았으며,

그중에는 통일신라 때 것으로 보이는 잎이 8개인 연꽃무늬를 새긴 것도 섞여 있습니다.

미륵불괘불탱 출처 : 문화재청

청양 장곡사 미륵불괘불탱은 충청남도 청양군 대치면, 장곡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로

9월 22일 대한민국의 국보 제300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은 충청남도 청양의 장곡사에 있는

상·하 2채의 대웅전 가운데 하대웅전에 모신 불상입니다.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부석조대좌 출처 : 문화재청

​청양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 및 석조대좌는

남북국 시대 신라의 철로 만든 약사여래 좌상과 돌로 만든 불상 받침입니다.

1962년 국보 제58호 '장곡사 철조약사여래좌상 부 석조대좌'로 지정되었다가

2010년 6월 28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습니다.

국보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 출처 : 문화재청

​청양 장곡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및 석조대좌는

충청남도 청양군 장곡사에 있는 철로 만든 비로자나불 좌상과 돌로 만든 불상 받침입니다.

남북국 시대 신라때 만들어졌습니다.

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174호로 지정됐습니다.

겨울날에 이곳 장곡사를 찾아 산사의 고즈넉함에 젖어보아도 좋습니다.

장곡사

주소 : 충남 청양군 대치면 장곡길 241

전화 : 041-942-6769


{"title":"청양 칠갑산 장곡사의 늦 겨울","source":"https://blog.naver.com/cheongyange/223015761323","blogName":"청양군 공..","blogId":"cheongyange","domainIdOrBlogId":"cheongyange","logNo":223015761323,"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false,"cafeDisplay":false,"blogDisplay":fal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