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우영 기자]

경기RE100 플랫폼 구축 포럼 ⓒ이우영 기자

경기 RE100 플랫폼 구축 포럼

오후 2시부터 경기도청 대강당에서 개최됐습니다.

경기 RE100 플랫폼 구축 포럼 ⓒ이우영 기자

김동연 경기도지사, 강금실 기후대사,

유영일 도시환경위원장, 김한수 박사,

탄소중립 위원들과 전문가, 환경단체, 공무원

많은 경기도민이 참석했습니다.

그럼, 필자와 함께 포럼 현장으로 함께 가보겠습니다.

경기 RE100 플랫폼 개요 ⓒ이우영 기자

경기 RE100 플랫폼은 경기 RE100 4개 분야,

13개 과제 추진전략의 일환으로 온실가스 배출과

흡수량, 건축물 단위별 에너지 사용량,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등

정밀 산정하고 표출하는 온라인 플랫폼입니다.

국내 최초로 객관적이며 과학적인 데이터에 기반한

기후 위기 대응 플랫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후 2시 본 행사를 시작했습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 ⓒ이우영 기자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인사말씀에서

“경기 RE100 플랫폼 데이터를 바탕으로

기후변화 대응 정책 수립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보다 알찬 플랫폼 구축을 위한

공유와 토론의 자리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라고 밝혔습니다.

강금실 기후대사 ⓒ이우영 기자

강금실 기후대사

“경기도의 기후변화 대응 정책에

도민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리며

앞으로도 기후 대사로서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라고 전했습니다.

유영일 도시환경위원장 ⓒ이우영 기자

경기도의회 유영일 도시환경위원장

“오늘 경기 RE100 플랫폼 구축 포럼은

의미 있는 행사라고 생각하며

앞으로도 도시환경위원장으로서

경기도 기후변화정책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습니다."

라고 전했습니다.

김한수 박사 ⓒ이우영 기자

김한수 박사

‘ RE100 플랫폼 구축 계획 및 정책 활용 방안 ’

이라는 주제로 발표했습니다.

경기 RE100 플랫폼 구축 포럼 참석자 ⓒ이우영 기자

김한수 박사

“RE100 플랫폼은 경기도 전체의 온실가스 배출량,

흡수량,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등

분산된 기후에너지 관련 데이터를

모아 볼 수 있는 기후에너지 데이터 포털입니다.”

라고 설명했습니다.

탄소중립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주요 이슈며 적극적인 대책을 내놓고 있는데요.

공간 정보 기반의 탄소중립

RE100 지원 시스템이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경기 RE100 플랫폼을 개발하게 됐습니다.

탄소총량관리 ⓒ이우영 기자

플랫폼수치지형도, 초분광영상,

항공사진, 항공 라이다(LiDAR),

광역도시생태현황 지도를 기반으로 구축했습니다.

건축물대장, 에너지 사용량 등 관련 데이터 수집을 통해

월별, 연도별 탄소 배출 데이터를 구축했으며

도로망도, 차량등록 현황, 교통량 등 수집해

월별, 이동 수단별 탄소 배출 데이터를 표출했습니다.

태양광 정보시스템 ⓒ이우영 기자

경기RE100 플랫폼이 개발되면

이 모든 플랫폼 데이터는 산업지원, 정책개발,

기후 위기 대응, 연구 지원에 활용됩니다.

이 플랫폼을 통해 탄소 저감 효과를 확인할 수 있고

태양광 발전 시설 입지 선정과 재생에너지 거래,

기후환경정책 수립, 폭염 대응과 집중호우 대책

수립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풍력발전 적지 분석 ⓒ이우영 기자

이 자료를 활용하면 경기도 전체에

산림과 공원이 부족한 지역을 쉽게 찾아

산림조성에 활용할 수 있고 전기 사용량,

난방 사용량, 탄소 배출량을 확인할 수 있어

경기도에서 어느 정도 탄소를 배출하고

흡수하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탄소중립 이행 ⓒ이우영 기자

또한, 탄소 저감 효과를 알 수 있고

탄소 저감 정책 수립에도 효과적일 것이라고

기대하며 경기도 건축물, 유휴부지를 대상으로

재생에너지 최적 입지와 잠재량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플랫폼을 활용하면

태양광 발전 시설 설치할 수 있는

최적지를 찾을 수 있고

자가소비형 태양광 프로젝트 발전량을

인증하고 거래하는 전국 최초

분산 에너지 관리시스템도 검색할 수 있습니다.

적극적인 기후위기 적응정책 ⓒ이우영 기자

경기도 기후에너지 종합 플랫폼으로

각종 정책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수집한 데이터를 민간에 개방해

기후 테크 스타트업 기업 육성도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경기 RE100 플랫폼의 역할과 필요성 ⓒ이우영 기자

김한수 박사는 이외에도 경기도민

건물의 에너지 사용량, 탄소 배출량을 확인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태양광 설치 등

자발적인 실천을 독려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히고 발표를 마쳤습니다.

토롱과 질의응답 시간 ⓒ이우영 기자

마지막 순서로 김동연 경기도지사, 전문가, 교수가

무대에 나와 토론과 질의응답 시간을 가졌습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 ⓒ이우영 기자

정보만 제공하는 플랫폼을 넘어

경기도민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개발해야 할 것이라는

의견에 패널들 모두 공감했습니다.

데이터 정보를 제공하며 민간기업뿐만 아니라

폭넓게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하길 바란다는 의견도 나왔습니다.

조호진 녹색경제&산업혁신분과위원 ⓒ이우영 기자

많은 도민의 적극적인

의견 개진의 장이 되길 바란다는 의견,

토양 에너지 정보 제안, 서비스 대상의 협의체가 필요하고

에너지 자립마을을 조성하자는 제안도 나왔습니다.

윤태환 녹색경제&산업혁신분과위원 ⓒ이우영 기자

이에 김한수 박사는 토양 에너지 정보 공개 예정이며

사용성이 높은 데이터를 제공할 것이고 연구기관,

대학과 공동연구를 펼칠 계획이며

협의체 구축에 동의하며 패널분들의 제안을

플랫폼 개발에 반영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경기RE100 플랫폼 설명 부채 ⓒ이우영 기자

경기 RE100 플랫폼 구축 포럼을 통해

보다 알찬 RE100 플랫폼 구축을 위한

소통의 자리였을 뿐만 아니라

경기 RE100 플랫폼에 대해

널리 알리는 의미 있는 행사였습니다.

주형철 경기연구원 원장 ⓒ이우영 기자

경기RE100 플랫폼이

포럼을 통해 논의된 좋은 의견이 반영되어

도민이 참여할 수 있는

기후 위기 대응 플랫폼의 리더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경기도민으로서 경기 RE100 플랫폼 개발에

관심 있게 지켜볼 것이며 플랫폼이 완성되면

적극적으로 활용하겠습니다.

{"title":"[기회기자단] 경기RE100 플랫폼 구축 포럼 현장 스케치","source":"https://blog.naver.com/gyeonggi_gov/223186193525","blogName":"경기도 공..","blogId":"gyeonggi_gov","domainIdOrBlogId":"gyeonggi_gov","logNo":223186193525,"smartEditorVersion":4,"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me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