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공무원, 소방기관,

군, 공공기관 임직원 등을

사칭하여 큰 피해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실제 사례를 안내드리니

참고하셔서 피해가 없기를 바랍니다.

공공기관 사칭 주의

광주시 공무원 사칭 주의

🗣️피해 사례

사칭대상

지방사회복지주사 김OO

지방세무서기보 김OO

광주시청 김OO

발생일자

2025. 6. 4.(수)

2025. 6. 25.(수)

2025. 7. 7.(월)

사고내용

- 위 공무원을 사칭하여

곤지암 소재 사업장으로

심장 제세동기 20개를 주문하고 싶으니

6. 5.(목) 17시경 광주시청에서

만나자는 연락을 받음.

- 사업주가 사실확인을 위해

민원콜센터에 문의

- 위 공무원을 사칭한 인물이

관내 타일회사에 타일공사 관련

실측 및 견적을 요구하고,

특정 회사를 소개하며,

특정 제품(타일, 심장충격기)에 대한

구매를 유도함.

- 피해업체 직원이 사실확인을 위해

세정과로 문의

- 위 공무원을 사칭한 인물이

관내 떡집 1곳 및 철거업체 2곳에

피해업체가 운영하는 물품 및 서비스를

이용하겠다며 유선상으로 접촉함

- 피해업체 직원이 사실확인을 위해

민원실 안내데스크로 문의

소방기관 사칭 주의

🗣️피해 사례

사칭대상

울산소방본부

광주소방안전본부

발생일자

2025. 4. 23.(수)

2025. 4. 24.(목)

사고내용

- 울산소방본부 소속 소방위라고 사칭한 인물이

철물점에 전화해 사다리를 구매하려고 한다며

제품 금액과 사업자 등록 정보를 요구함.

- 또한, ‘물품지급 결제 확약서‘ 위조 공문과

특정 업체의 명함을 전달하며 물품이 추가로 필요해

해당 업체에서 구매해 달라고 요구함.

- 철물점 관계자가 사실확인을 위해

울산소방본부에 문의

- 광주소방안전본부를 사칭한 업체가

소방 훈련 관련 장어 20kg을 사전에 주문하고

위조 공문서를 전달하며 응급의료키트

대리 구매를 요청함.

- 음식점 관계자가 북부소방서 건국119안전센터에

사실관계 확인

군 사칭 주의

🗣️피해 사례

사례 1

지휘관 이·취임식 꽃 주문

(80만 원 상당) 후 노쇼

사례 2

삽 70자루(50만 원 상당) 주문,

전투식량 구매 유도 후 노쇼

사례 3

과일(100만 원 상당) 대량 주문 후

당일 연락 두절

🗣️사칭 방법

군 사칭하여 대량으로

식·물품 주문 후

타 업체 대금 대납 요구 등

위조 공문서

공무원증 제시

대량주문

물품 대납 요구

'노쇼'로

피해발생

주문취소·연락두절

공공기관 임직원 사칭 주의

🗣️피해 사례

사칭대상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 재정관리팀장

경기도 사회서비스원(경영지원팀)

발생일자

2025. 3. 11.(화)

2025. 6. 25.(수)

사고내용

- 위 임직원을 사칭한 인물이 진흥원과 계약한

업체에 전화하여 농협 보험 가입을 권유함.

- 계약 업체 대표가 진흥원에게 사실확인 후, 인지

- 위 기관의 가상 인물을 사칭하여 1개 업체에

유선으로 사회서비스원에 물품(피복)이 정상적으로

납품되는지 등을 확인 후, 사회서비스원 협약 은행과 함께

업체에 방문하여 금융 상품 등 홍보 가능 여부를 확인함.

- 업체 측에서 경기도사회서비스원에 사실 여부 문의

사고 후

조치결과

- 전 직원 대상 안내 메일 발송

- 홈페이지 안내 팝업 게시

- 업체 측에서 해당 부서 실제 인원 근무하지 않으며,

유선 통화 내용은 사실 아님을 안내함.


의심이 된다면 바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title":"공공기관 사칭 주의","source":"https://blog.naver.com/gjcityi/223926404900","blogName":"광주시 공..","domainIdOrBlogId":"gjcityi","nicknameOrBlogId":"광주시","logNo":223926404900,"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blog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