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동역급수탑

주소

경북 안동시 운흥동 202-1

안녕하세요. 이종진입니다.

최근 경북의 산불로 인해서 안동, 의성,

청송에 이르기까지 많은 산불피해를 입었습니다.

다시는 이런 큰 산불이 일어나지 않기를 바라면서

안동으로 여행기부를 추천드립니다.

안동벚꽃축제, 차전장군노국공주 축제 등

각종 행사가 취재되고 관광업과 지역 경제에

큰 타격이 있는 만큼 안동에 방문하셔서

먹고 즐기면 지역 경제 활성화

도움을 주시길 바랍니다.

저는 이번 안동 여행에서

안동 구도심에 있는 여행지를 찾아왔습니다.

안동역은 KTX가 오는 신 안동역이 아닌

중앙선 1942 안동역(구 안동역)에 찾아왔습니다.

지금은 커뮤니티 및 이벤트 행사장으로

많은 사랑을 받는 공간입니다.

예전에 몇 번 찾아왔는데 급수탑에는 처음 와봅니다.

비가 와서 그런지 질척거리는 이 일대를 걸어봅니다.

역사 내에 위치하고 있기에 꽤나 넓은 부지입니다.

저는 탈춤공원 방면에서 들어왔는데

웅부공원 쪽에서 들어와도 됩니다.

어디에서나 개방되어 있는 공간입니다.

현재 안동시 물순환 선도도시

조성 사업 건설공사 구간입니다.

투수블록 설치(도시침수예방 및 수질개선)로

더욱 쾌적한 물순환 선도도시를 조성하기 위해

공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25년 6월 30일까지

공사 기간입니다.

급수탑은 꽤나 높은 건물입니다.

물을 대량으로 보관하기 위한

용도로 건설되었습니다.

다각형의 모습을 하고 있는데요.

외부에서 볼 때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들어가는 문의 반대편에 있는 급수정입니다.

강에서 끌어온 물을 저장하는 급수정인데

바로 옆에 낙동강이 있어 대량의 물을

공급받을 수 있습니다.

기차역 급수탑의 역할은?

증기기관차에 물 공급 : 증기기관차는 물을 끓여서 발생한 증기로 동력을 얻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대량의 물 보충이 필요했습니다.

급수탑은 고지대에 설치된 물탱크로, 중력의 힘을 이용해 빠르게 물을 채울 수 있게 설계됐습니다.

정차 시 빠른 급수 : 열차가 역에 잠시 정차하는 동안 급수탑에서 기차 옆 급수관을 연결해 물을 보급했습니다.

속도와 효율이 중요한 철도 운영에 매우 필수적인 시설이었죠.

증기기관차 운행의 필수 인프라 : 급수탑은 기관차 운행 간격을 유지하는 핵심 요소였고, 대개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노선 운영 계획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지금은 디젤기관차나 전기기관차로 바뀌며 사용되지 않지만, 급수탑은 산업화 시대의 철도 유산으로 문화재 또는 역사적 건축물로 보존되기도 합니다. 여러 지역에 급수탑이 보존되어 있으며, 철도 문화나 관광 자원으로 활용됩니다.

23년 9월 화본역

급수탑은 전국에 많지는 않습니다.

가까운 대구 군위 화본역에서

급수탑을 만나볼 수 있는데요.

화본역은 아름다운 역으로 선정되어

관광지로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저도 예전에 방문해서 사진도 찍어봤는데요.

화본역 급수탑과 안동역의 급수탑은

그 크기가 비슷한 것 같습니다.

화본역에서는 안에 둘러볼 수 있는데

이곳은 잠겨져 있네요.

개인적으로 이런 근대역사지가

더욱 활성화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철도여행을 좋아하는 이들에게는

안동을 찾아오게 하는 계기가 되니까요.

지금은 공사지에 있어서 다소 아쉽지만

추후에 새롭게 정비된 모습을 기대해 봅니다.

안동역 급수탑은

국가등록문화재 제49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근대문화유산 명패가 붙어 있는데요.

근대문화유산을 찾는 여행을 하신다면

이곳을 방문하셔야겠습니다.

안동역 급수탑은 증기기관차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건축물로 1940년에 세워졌다. 한국철도 동력의 주축이었던 증기기관차는 1950년대에 디젤기관차 시대가 열리면서 1967년에 증기기관차 종운식을 끝으로 운행이 중단되어 급수탑도 그 기능을 상실하게 되었다. 급수탑의 외부형태는 12각형으로 다른 급수탑이 원형인 데 비해 그 형태가 독특하나 기계실 천정이 돔형으로 처리되어 있는 등 전형적인 급수탑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몸체 사방으로는 서로 다른 위치에 창을 설치했으며 몸체 남쪽에 출입문을 내었고, 뒤쪽에는 급수조로 오르내리도록 한 철제 사다리가 설치 되어 있다. 안동역 급수탑은 한국 철도 역사의 이해와 근대 교통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가치가 있다.

이곳은 6.25전쟁의 흔적을 볼 수 있습니다.

상부에 총탄 흔적이 있는데요.

전국에는 여러 총탄 흔적을 볼 수 있습니다.

칠곡 왜관터널, 군산의 해망굴이

대표적인 총탄흔적을 볼 수 있는 곳입니다.

오늘 이렇게 짧게 안동 급수탑을 소개해 드렸습니다.

안동 여행을 통해서

안동의 지역 경제가 활성화되어

안동시민이 다시 일어설 수 있게 되기를

기원해 봅니다.

안동에 대한 여러 여행이야기는

안동시 블로그, 인스타그램 등

다양한 SNS 채널에서 만나보시길 바랍니다.


본 내용은 이종진 안동시

SNS 기자단 개인의 의견으로,

안동시 공식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title":"철도여행할 사람은 여기로 모여라! 안동 급수탑 소개해 드립니다","source":"https://blog.naver.com/andongcity00/223861876498","blogName":"안동시 공..","domainIdOrBlogId":"andongcity00","nicknameOrBlogId":"마카다안동","logNo":223861876498,"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