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 무장면 문화재 탐방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무장향교 대성전과 충현사

2023년 세계유산도시 고창 방문의 해에

가볼 만한 곳으로, 12월 추천 코스는

고창 무장면 얼마나 잘 놀아봤니?입니다.

시시때때로 고창의 멋과 맛이 어우러진 인문학적 명소가 많아서

고창을 찾는 여행객들이 빼놓지 않고 찾는 핫플이라면

고창 무장면을 떠올리곤 합니다.

고창 무장면에서 가을 풍류를 제대로 느끼고 싶다면

고창 무장읍성에서 일어나는 가을 정취를 비롯해서

결을 같이하는 무장 향교의 시간과 수령을 가늠할 길 없는

은행나무의 시간도 아울러서 만나 봐도 좋겠습니다. ​​

무장향교에서 그리 멀지 않는 곳에

충현사가 있는데요,

그냥 모른척하고 지나칠 수 없는 것이

무장향교와 맥을 같이해서 그렇습니다.

관리자 역시 무장향교인데요,

1599년 석탄 이존오, 미암 류희춘, 경암 손홍립을 모시기 위해 창건되었다가

정유재란 때 소실된 것을 1608년 다시 세웠으며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지역 유림들에 의해

1960년 다시 건립한 사당입니다.

충현사 중건과 중수에 힘쓴 분들의 공적비와

충현사 오른쪽으로 임진왜란 공신 김축 의적비도 있습니다.

80세 고령에도 아들과 조카 둘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권율 장군 휘하에서 여러 전투에 참여했고

진주성 전투에서 순절하신 분입니다.

눈이 시리게 파란 하늘이 여전히 선명하게 빛나는 가을이 오면

선조들의 발걸음이 잦았을 무장향교가 보이는 홍살문을 지나

발걸음도 느긋하게 걸음 옮겨 그때 그 시간으로 거슬러 올라가 봅니다.

홍살문 지나 무장향교로 들어가는 외삼문이 있지만

춘추대제 때만 열립니다.

평상시는 출입이 제한되어 있어서

외삼문 정경도 따로 남겨봅니다.

무장향교 외삼문 양쪽으로

그간 업적을 들여다볼 수 있는 공적비가 줄을 섰습니다.

송미아계 기실비와 전교 정익환 송적비, 무장향교 사적비,

무장문묘중건사적비, 향약탑과 건립비 등 학문을 통해

업적을 같이 했던 시간은 따로 있지 않고

지금도 맥을 같이한다는 생각이 드는 순간입니다.

기후변화 영향도 있지만 절기로는 입동이 지나고

소설이 지나 대설을 앞두고 있으니 지금 즈음이면 황금빛 자태 자랑하며

하늘 가득 노란 은행잎이 무성할 거라 예감하고 갔는데

필자한테 한마디 안부도 없이 온데간데없이

흩어져 버려서 아쉬운 순간입니다.

"아! 탄식과 함께 님은 갔습니다. 아아 나의 사랑하는 님은 갔습니다."라는

한용운 시인의 님의 침묵이 뇌리를 스쳐가는 순간입니다.

본래 출입을 했던 외삼문이 통행이 제한돼서

오른쪽 샛길을 돌아 텃밭 사이로 발걸음을 옮기면

따로 관리를 도맡아 하는 관리동이 있어서

눈이라도 마주치면 인사 건네고 왼쪽 쪽문으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정해진 시간 동안은 시간을 엄수해서 개방하고 있으니

아니 온 듯 다녀오시면 되겠네요.

쪽문을 지나서 들어서면 무장향교와

긴 시간 수행을 마다않는 은행나무와 시간을 같이한

명륜당을 거쳐서 왼쪽으로 동재 경의재와

서재 치사재가 눈에 들어옵니다.

마당 가득 은행나뭇잎이 쌓인 것이 마음을 급하게 합니다.

무장면은 1417년 무송현과 장사현을 합병해서

시시때때로 무장읍성을 축성하고 조성해

무장현이 들어선 계획도시입니다.

현대에 들어 새롭게 조성된 무장읍성과

여전히 결을 같이하는 무장향교는

무장읍성 축성 3년 뒤인 1420년 세웠다고 합니다.

임진왜란 때 소실돼 1600년 다시 세웠다는데요,

대성전 뜰에 있는 은행나무도 그때 심었다면 수령이 420살도 넘었네요.

대성전은 춘추대제 때만 내삼문이 열리기에

문틈 사이로 살며시 들여다봅니다. ​

무장향교의 또 다른 이야기가 있는

명물이 있는 교흥리 교촌마을에는

천룡신단(天龍神檀) 제단이 있는 우물을 보겠습니다.

마을에 향교가 있어 마을 역사도 깊은데요,

향교에서 제사를 지낼 때

천룡신단에서 물을 길어다 쓴다고 합니다.

많은 것들이 잊히고 잊히는 순간은

늘 붙잡아둘 묘책이 고민인데요,

무장향교의 지난 시간을 찾는 것은

인문학 공간으로서 우리에게 말을 걸어주고

무장향교의 다가올 시간은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으로 말을 걸어오면 좋겠습니다.

■무장향교

전북 고창군 무장면 교흥교촌길 9

#고창문화재여행 #향교문화재자료 #고창가볼만한곳 #충현사 #천룡신단 #세계유산도시 #고창방문의해

{"title":"고창 무장면 문화재 탐방,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무장향교 대성전과 충현사","source":"https://blog.naver.com/topgochang/223276795165","blogName":"세계유산도..","blogId":"topgochang","domainIdOrBlogId":"topgochang","logNo":223276795165,"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