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년 전
호국보훈의 달, 왜 6월인가? 순국선열 vs 호국영령
6월은 왜 '호국보훈의 달'이 되었을까?
달력의 숫자가 바뀌기 무섭게 초여름 더위가 시작되었습니다.
봄과 여름의 경계에 있는 6월은 "호국보훈의 달"로 불리는데 뉴스 등에서 많이 듣던 단어이지만 막상 "호국보훈의 달"이 와닿지 않는 분도 많은 것 같습니다.
"호국보훈의 달"은 나라와 국민을 위해 목숨을 바친 사람들의 희생을 기리고 그 공로를 보답한다는 의미를 지집니다. 그런데 대체 왜 6월이 "호국보훈의 달"이 된 걸까요?
6월이 '호국보훈의 달'이라는 명칭으로 불리기 시작한 것은 1985년부터입니다. 국가유공자를 예 유하기 위해 1961년 설립된 군사원호청(1962년 원호처 승격)이 1985년 국가보훈처로 개칭하면서 6월 '보훈의 달'로 정해진 것입니다. 보훈의 달은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을 추모하고 국가유공자의 공헌과 희생을 되새기기 위해 지정되었습니다.
한편 '호국보훈의 달'의 시작은 1952년의 '군경원호강조기간'으로 보는 의견이 많습니다. 당시 6.25전쟁에서 희생된 분들과 상이군인을 돕기 위해 '군경원호강조기가'이 6월로 정해졌는데, 원호처 설립 이후 국가유공자를 위한 본격적인 지원 사업이 시작되었습니다.
추모의 기간 (6월 1일~10일)
감사의 기간 (6월 11일~20일)
화합과 단결의 시간 (6월 21일~30일)
6월이 호국보훈의 달로 지정된 것은 우리가 잊어선 안 될 중용한 날들 때문이기도 합니다. 현충일과 6.25전쟁, 제2연평해전은 물론 의병의 날까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6월 1일 의병의 날은 삼국시대부터 조선 말의 독립군에 이르기까지 자잘 적으로 나라를 지키기 위해 대항한 의병의 정신을 기념하는 날입니다.
6월 6일 현충일은 나라를 위해 싸우다가 목숨을 바친 장병과 순국선열의 충성을 기리기 위한 날입니다. 우리나라는 1948년 정부 수립과 6.25전쟁을 거치며 많은 희생과 아픔을 지켜봐야 했습니다.
봉오동전투는 1920년 만주 봉오동에서 독립군 부대가 일본 정규군을 대패시킨 전투입니다. 전투는 홍범도와 최진동이 이끄는 독립군이 일본군 헌병 국경 초소를 습격·격파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연합부대를 재편하여 계곡에 매복해 있던 독립군은 일본군이 포위망에 들어서자 일제히 사격을 퍼부어 일본 정규군을 157명을 사살하고 200여 명의 부상자를 내며 압도적인 전승의 원인은 독립군의 앙양된 사기와 지휘관의 예지, 뛰어난 작전 계획에 있었습니다.
6월 25일은 잊을 수 없는 동족상잔의 아픔이 시작된 날입니다. 1950년 6월 25일 새벽, 북한 공산군이 남북 군사분계선인 38선 전역을 불법 남침하며 전쟁이 시작되었습니다. 당시 한국군과 유엔군을 포함해 77만여 명이 전사, 부상, 실종되고 전쟁으로 인한 이재민이 1,000만여 명을 넘을 정도로 상처는 컸습니다. 6.25전쟁은 아직 끝나지 않은 휴전(준전시) 상태이며, 6월 25일은 전쟁의 아픔을 기억하고 되풀이하지 않기 위한 날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1946년 6월 26일은 대한민국의 완전한 자주독립을 꿈꾸던 '우리 민족의 큰 어른' 백범 김국 선생이 암살범이 쏜 총에 맞아 서거한 날입니다. 1876년 황해도 해주에서 태어난 김구 선생은 일찍이 동학과 의병운동에 참여하여 나라를 위기에서 구하기 위해 힘썼습니다. 경술국치 후 비밀결사조직 신민회에 가입해 독립운동에 전념했던 선생은 1911년 안악 사건으로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옥고를 치르게 되었습니다. 이때 선생은 옥중에서 호를 백범으로 바꿨습니다. 일평생 자주독립과 통일을 염원했던 김구 선생의 숭고한 정신을 기억해 주세요.
2002년 6월 29일, 서해 북방한계선 (NLL) 근처에서 북한 경비정의 선제 기습 포격으로부터 서해를 수호하기 벌어진 해저 너이 바로 제2연평해전입니다. 당신 북방한계선을 침범하고 선제 기습 포격을 한 북한 경비정을 상대로 우리 해군은 약 30분간의 치열한 교전 끝에 승리를 거두었습니다. 하지만 해군 6명이 전사하고 19명이 부상을 당하는 등 큰 피해를 입었습니다. 제2연평해전의 영웅들은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치되어 있으며, 이들의 활약은 2015년 영화 <연평해전>으로 대중에 널리 알려졌습니다.
호국보훈이란?
호국(護國) 나라를 보호하고 지킴
보훈(報勳) 공훈에 보답함
순국선열이란?
목숨 바칠 '순'
나라 '국'
먼저 '선'
세찰 '렬'
빼앗긴 나라를 되찾기 위해 독립 투쟁을 벌이다 순국하신 열사
호국영령이란?
도울 '호'
나라 '국'
꽃부리 '영'
신령 '령'
전쟁터에서 적과 싸워 나라를 수호하다 돌아가신 영혼의 경칭
애국지사란?
사랑 '애'
나라 '국'
뜻 '지'
선비 '사'
일제의 국권 침탈을 반대하거나 나를 위해서 일제에 항거하신 분들
국기 게양과 잠깐의 묵념이라도
어떤 분들을 기리는 날이지 정확히 알고,
애도와 감사의 마음을 갖기로 해요.
6월 호국보훈의 달
기억하겠습니다.
잊지 않겠습니다.
- #호국보훈의달
- #순국선열
- #호국영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