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년 전
정월 대보름 달집태우기 vs 산불예방 총력
정월 대보름 달집태우기
매년 음력 1월 15일은
한 해의 건강과 안녕을 기원하는 정월 대보름입니다.
정월 대보름은 새해 첫 달 보름달이 뜨는 날로, 지금은 그 의미가 많이 줄었지만 예전에는 정월 대보름이 설날이나 추석과 함께 큰 명절로 인식되면서 전국 곳곳에서 다양한 풍습이 행해졌답니다.
정월 대보름에 하던 민속놀이 중에는 쥐불놀이, 달맞이, 달집태우기, 지신밟기, 연날리기, 더위팔기 등이 있습니다. 지금은 대부분 잊혀지거나 사라져 가는 우리의 세시 풍속이지만 모두 나쁜 기운을 물리치고 한 해의 건강과 안녕을 기원하는 좋은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 중 달집태우기는 솔가지나 볏집, 장작을 쌓아 올려 달집을 짓고 불을 붙여 태우는 행사로, 불은 나쁜 기운을 태우는 정화의 의미를 담고 있어 달이 뜨기를 기다렸다가 달집에 불을 붙여 나쁜 기운을 태우면서 달에 소원을 빌었습니다.
더위팔기는 여름철에 더위를 먹지 않고 건강을 기원하기 위해 행하던 풍습으로, 친구를 불러 대답하면 ‘내 더위 사가라’라고 하면서 더위를 팔면 그해 여름에 더위를 타지 않는다고 합니다.
정월 대보름에는 쌀, 조, 수수, 팥, 콩의 다섯가지 곡식을 넣어 지은 오곡밥을 먹었지요. 오곡밥은 영양이 풍부할 뿐 아니라 아홉가지 나물과 김, 부럼, 귀밝이술을 함께 먹으면서 참 즐거웠다는 기억이 납니다.
부럼깨기는 정월 대보름 아침에 꼭 해야 하는 것으로 호두, 밤, 잣 등 딱딱한 견과류를 깨물어 먹거나 달걀을 삶아 딱딱한 껍질을 까서 먹으면 한 해 동안 얼굴이나 몸에 부스럼이 나지 않고 이가 튼튼해진다고 믿었답니다.
귀밝이술은 부럼과 함께 먹으면 귀가 밝아져 한 해 동안 좋은 소식을 들을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정월 대보름 아침이면 어른 아이 온 가족이 귀밝이술을 한 잔씩 나눠 마셨던 풍경이 있었습니다.
특히, 정월 대보름에 먹는 나물은 흔히 먹는 생채소를 데쳐 바로 무치는 나물이 아니라 특별히 지난 해 말려서 준비한 취나물, 고사리, 무말랭이, 시래기, 아주까리 피마자 등 마른 나물 아홉가지를 물에 불려 볶아 만드는 나물로, 묵은 나물을 먹으면 그해 더위를 먹지 않는다고 믿었습니다.
이번 정월 대보름은 2월 5일 일요일입니다. 가족이 함께 연을 날려보고, 대보름달에 소원을 빌어 보면서 점점 사라져가는 우리 고유의 세시풍속을 계속 이어가면 좋겠습니다.
산불예방 총력
2023년 정월 대보름 달집태우기 행사에 따른 산불예방 총력
하지만,
정월 대보름을 맞아 행하는 달집태우기나 쥐불놀이 등 민속놀이로 인해 산불이 발생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산불 예방을 위해 달집태우기, 쥐불놀이, 무속행위 등을 산 인근에서 하지 않도록 하고 논 밭두렁이나 농산 폐기물을 불법 소각하지 말아야 합니다.
지난해 4월 사회적 거리두기가 전면 해제 되고, 올해 1월 30일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도 해제된 후 맞이하는 정월대보름 행사에 우리군은 달집태우기가 47곳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특히, 2월 5일 전후로 건조한 날씨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산림인접지에서는 달집태우기를 절대 금지해 주시고 신고된 장소 외 추가 달집행사를 추진하는 일이 없도록 해 주시기 바랍니다.
산불 발견시 즉시 읍면사무소 및 119로 신고하고, 산불 원인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을 경우 즉시 경찰, 고성군으로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산불 신고처: 고성군(녹지공원과 055-670-2443, 야간 당직실 055-670-2222), 소방서 119
명절에는 우리 고유의 세시 풍속을 잘 알고 제대로 즐기는 모습이 아름답습니다.
우리의 아름다운 산림을 지킬 수 있도록 정월 대보름 달집태우기 행사 시 산불 예방에도 각별히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 #고성군
- #정월대보름
- #달집태우기
- #쥐불놀이
- #산불
- #조심
- #예방
-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