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병인 서비스는 환자가 입원 중일 때 돌봄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하루 약 10~15만원, 한달 평균 약 300만원을 웃돌아 장기입원 시 수천만원이 소요되는 비급여 서비스 입니다. 특히 고령 무연고 노인이나 기초생활수급자, 중증장애인, 독거노인 등은 치료비 보다 간병비 부담으로 병원을 떠나야 할 위기에 놓이기도 합니다. 지금도 누군가는 혼자 앓고, 혼자 울다, 병원에서 생을 마감하고 있습니다.

간병인 파견 서비스

이런 돌봄 사각지대를 메우기 위해 대전시에서는 간병으로 가장 큰 고통을 받게 될 취약계층에게 간병인을 지원하여 의료와 복지의 중간지대를 메우는 역할을 하고 있는데요. 간병비 문제는 단순히 치료비 목적이 아닌 치료냐 생계냐 하는 기로에 서서 비정한 현실을 맞닥뜨리게 되는 우리 이웃 모두의 이야기이기에, 공공의 관심을 모아 돌봄이 곧 빈곤의 출구가 되는 전환점을 위해 대전시가 함께 하고 있습니다.

취약계층의 간병은 일반 간병과는 달리 간병을 짊어질 가족이 없는 경우가 많아, 선의나 자원봉사로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기에 병원내 간병이 필요한 저소득층, 취약계층, 장애인에게 간병인을 파견하여 회복이 필요한 환자에게 정서적 안정감과 존엄하게 치료받을 시민의 권리를 지키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저소득 중장년층 일자리 창출

간병인 지원 사업은 단순한 생계지원과는 달리 사회적 일자리를 제공하는 것만으로도 전문 인력 육성과 화자의 회복,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서비스로 대전광역시에서 지원하며 한국지역자활센터협회와 우체국공인재단이 후원하여 주관하고 있습니다.

사업을 주관하는 대전중구자활센터에서는 대형 의료기관과 협약으로 취업까지 연계해 건강한 자활 의욕과 자립 역량 강화를 목표로, 인력투입 대비 예산 확보, 간병인의 노동 권리 보장, 전문성 인증 절차 마련 등 제도적 뒷받침을 위해 힘쓰고 있으며, 돌봄을 제공하는 사람은 사회적 가치를 높이고 안정적인 근무환경과 정규형 일자리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돌봄을 받는 환자도 정서적 안정감과 더불어 의료 사각지대까지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공익형 사회 사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사업안내

파견병원: 대전충남대학교병원, 대전성모병원, 대전선병원

사업내용: 전반적인 간병 서비스, 말벗서비스, 병원 내 검진과 진료 동행

파견시간: 평일 오전 6:00 ~ 오후 6:00

간병인파견 서비스 신청 방법

서비스 신청은 파견 협약 병원 원내 사회사업팀과 상의하여 신청하거나 대전중구자활센터에 직접 방문, 전화상담 후 거주지 내 주민센터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센터는 신청자격을 평가하여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간병인 파견 신청자가 몰릴 경우 대기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용기간은 주말을 제외하고 약10일간 이용가능하며 최대 3회까지 연장할 수 있습니다. 연장신청은 거주지 내 주민센터에서 가능하며 소득수준을 구분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취약계층 이상은 신청할 수 없습니다.

대전 중구지역자활센터

대전 중구 대흥로175번길 16

문의: 042 - 221 - 4021

{"title":"따뜻한 돌봄의 손길, 대전중구지역자활센터 취약계층 간병인 지원 서비스","source":"https://blog.naver.com/storydaejeon/223943915397","blogName":"대전광역시..","domainIdOrBlogId":"storydaejeon","nicknameOrBlogId":"대전광역시","logNo":223943915397,"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