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일 전
신현선생을 배향한 청송 사양서원
25.3.25 취재
안녕하세요 청송 온통청송 홍보단 김희열입니다.
지금의 학교가 있다면 조선시대에는
어디에서 공부를 했을까요?
바로 서원과 향교입니다.
경북의 많은 서원중 청송에는 송학서원과 사양서원이 있고
청송향교와 진보향교가 있습니다.
제가 소개해 드릴 곳은 청송 파천면 중평리 필봉 기슭에 있는 사양서원인데요,
소나무 밭이 인상적인 중평솔밭과 멀지 않은 곳에 있어서 함께 방문하면 좋은곳입니다.
고려 건국 설화에 등장하는 왕건과 견훤의 전투에서 왕건을 대신해
죽음을 맞은 고려의 개국공신인 신숭겸 장군은 다들 아실 것 같은데요,
이분의 12대손이 문정공 신현 선생입니다.
이분을 주벽으로 그의 아들 신용희와 고려말 학자 원천석 선생을
동서종향위로 봉안하고 있는 서원이 바로 사양서원입니다.
청송 사양서원으로 들어가는 문인 입도문인데요
밖에 있는 대문인 외삼문입니다.
보통 서원에서 가장 먼저 볼수 서원으로 향하는 문입니다.
담장 너머로 서재인 극소재와 강당인 사양서원이 보이고,
2014년 화해사 개축에 참여한 분이 적힌 현판이 있습니다.
사양서원의 협문으로 가기 전 벽에는 지게, 코뚜레, 망태기 등이
걸려 있어서 시골의 정겨움이 느껴집니다.
서원은 문이 닫혀 있는 곳이 많아서 들어가 볼 수 없는 경우가 많은데
청송 사양서원은 관리인이 계셔서 협문 쪽이 열려있어서
이곳을 통해 서원 안으로 들어가 볼수 있었습니다.
협문으로 가기 전 오른쪽을 보면 사양서원을 관리하는
관리사와 재물을 보관하는 전사청이 있습니다.
협문은 입도문 보다 작고 낮아서
저절로 나를 낮추고 들어가게 되는데요,
키가 큰 사람은 고개를 숙이셔야 합니다.
이 문을 들어가면 사양서원 현판이 달린 강당과
강학공간인 동재와 서재가 보입니다.
이곳은 사양서원의 정면 3칸, 측면 1칸의 동재인 함양재로,
동재는 선배들이 지내는 공간입니다.
반대편에는 정면 3칸, 측면 1칸의 극소재가 보이는데
동재와 서재의 규모는 동일하답니다.
건물의 중앙은 강당으로 사양서원 현판이 붙어 있는데
정면 4칸, 측면 3칸 규모의 홑처마 팔작지붕의 선교당입니다.
보통의 서원에는 강당에는
서원의 이름이 적힌 현판이 있고,
강당의 이름 현판이 있는데 이곳은
서원 이름 현판만 붙어 있습니다.
선교당 뒤를 보면 건물이 하나 보이는데
위패를 모신 사당인 화해사입니다.
이곳은 신현 선생을 숭모하는 선비들이 1932년에
충남 계룡산 아래 화해사를 짓고 위패를 모셨는데
1945년 8.15 광복 이후 농지개혁으로 사당이 사라지게 되어
신현, 문헌공의 위패를 이곳으로 옮겨와 배향하면서
서원을 만들게 되었다고 합니다.
사양서원의 현판을 1966년에 달면서 원천석 선생을 추가로 배향하고,
제세를 따라 사양서원이라 칭하고 사당의 편액은 그대로 화해사로 사용했다고 해요.
이 편액은 백범 김구 선생님의 친필이라고 합니다.
이곳에 오시면 김구 선생님의 멋진 현판 글씨를 볼 수 있습니다.
사당은 서원 강당의 오른쪽에 배치되고 삼문으로 들어갈 수 있고
개방이 안되어 있는데, 이곳 사양서원의 내삼문은 닫혀 있지만
사양서원의 뒤쪽에서 사당을 볼수 있었어요.
사양서원은 제향공간인 사당이 강당의 뒤편에
자리 잡은 전학후묘의 형태입니다.
청송 사양서원을 방문하시면 서원을 지키는
귀여운 강아지도 볼 수 있습니다.
마치 서원을 안내하는 것 같습니다.
사양서원 마당에는 이곳을 관리하는 분이 만든 작품인지
나무로 만든 작품과 기와를 쌓아 올린 작품도 볼 수 있답니다.
사양서원에는 최근 심은 멋진 소나무와 서원 주변 산을
지키고 있는 소나무도 볼 수 있습니다.
풍경이 아름다운 곳입니다.
서원은 문이 열리지 않은 곳이 많아서 외부에서만 볼 수 있는데
이곳은 개방되어 있고 깨끗하게 관리되고 있어서
아이들과 서원을 설명하는 학습의 장으로 방문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아름다운 청송 많이 방문해주세요.
설명출처 : 입구 안내문, 디지털청송문화대전
- #청송
- #청송여행
- #청송가볼만한곳
- #청송사양서원ㄴ
- #청송사양서원여행
- #청송아이와함께
- #청송여행지
- #청송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