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3일 전
교통카드 충전 카드결제 지원! 주요 지하철역 새 키오스크 도입 시범 운영
서울교통공사가 9월 6일부터
25개 주요 역사에 신형 교통카드
키오스크를 도입할 예정입니다.
자세한 내용, 함께 살펴보실까요?
서울교통공사는 9월 6일부터 25개 주요 지하철 역사에 신형 교통카드 키오스크를 도입, 시범운영에 들어간다. 공사는 이를 시작으로 신형 교통카드 키오스크 440대를 1~8호선(273개 역, 일부 구간 제외)에 순차적으로 설치할 계획이다.
‘신형 교통카드 키오스크’ 시범운영 역 (1호선) 시청역, 종로5가역 (2호선) 뚝섬역, 잠실나루역, 종합운동장역, 선릉역, 사당역, 서울대입구역, 대림역 (3호선) 경복궁역, 옥수역, 고속터미널역, 수서역 (4호선) 쌍문역, 수유역, 미아사거리역,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서울역 (5호선) 김포공항역, 화곡역, 강동역 (6호선) 이태원역 (7호선) 도봉산역, 건대입구역 (8호선) 천호역 ※ 나머지 248개 역사는 연말까지 순차 도입 (4호선 진접선, 7호선 부천구간, 8호선 별내선 제외) |
공사는 기존에 기후동행카드 신용카드 충전 기능이 있는 일부 키오스크 외에 대부분은 ‘현금 결제’만 가능했으나 신용카드·스마트폰 간편결제 등이 보편화된 만큼 시민 편의를 위해 기기를 개선하고, 노후한 키오스크 유지·관리 효율 등을 높이기 위해 신형을 도입키로 했다.
이번 신형 키오스크 도입은 지난 2009년, 현금으로 일회용 교통카드를 구입하고 충전할 수 있는 기기 도입 이후 16년 만이다.
따라서 앞으로는 신용카드로 ▴1회권·정기권·기후동행카드를 충전할 수 있으며, ‘선불카드’는 기존 방식대로 현금 결제 충전만 가능하다.
▴실물카드(기후동행카드·선불카드·정기권) 구입 ▴선불카드 권종 변경 ▴역사 내 고객센터를 찾아가 요청해야 했던 1회권·정기권 환불도 신형 키오스크에서 직접 처리할 수 있다.
<신·구 키오스크 기능 비교>
구분 |
기존 |
신규 |
실물 카드발매(판매) |
1종 (1회용 교통카드) |
4종 (1회용 교통카드, 정기권, 기후동행카드, 선불카드) |
카드충전 시 결제 수단 |
현금 |
현금 또는 신용카드, 간편결제(페이 등, 연말까지 순차 도입) ※선불카드 충전은 현금 결제만 가능 |
신형 교통카드 키오스크에는 ‘신용카드’ 결제가 우선 적용돼 6일부터 25개 주요 역사에서 이용할 수 있으며, 나머지 248개 역사는 연말까지 순차적으로 도입(4호선 진접선, 7호선 부천 구간, 8호선 별내선 제외)할 예정이다. 간편결제(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토스페이 등) 기능 또한 오는 연말까지 순차 도입된다.
아울러 신형 교통카드 키오스크는 장애인차별금지법의 무인정보단말기 설치 운영기준(2024.1.28. 개정)을 반영해 교통약자의 접근성과 편리성을 향상했다. 사용자화면과 조작부의 높이는 바닥으로부터 1,220mm 이내로 제작했으며, 교통약자를 위한 낮은 화면 구현과 점자 키패드 및 이어폰 단자를 추가했다.
공사는 “이용 시민의 현금 소지 불편과 교통약자의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해 신형 교통카드 키오스크를 도입키로 했다”며 “앞으로도 시민 눈높이에 맞춘 혁신을 통해 안전하고 편리한 지하철 이용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문의 : 대표전화 1577-1234
서울교통공사 누리집 |
- #교통카드
- #키오스크
- #충전
- #신용카드
- #1회권
- #서울교통공사
- #지하철
- #역
- #카드결제
- #간편결제
- #선불카드
- #교통약자
- #정기권
- #기후동행카드
- #현금결제
- #대중교통
- #교통
- #서울특별시
- #서울시
- #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