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을 하다 보면

‘반대편에 오는 차량도 없는데

바로 좌회전 신호를 줄 수 없나?’

‘반대편 좌회전하려는 차도 없는데

직진 신호를 계속 주면 안 되나?’

신호체계에 대한 개선이 생각될 때가 있습니다.

이러한 운전자들의 불편을 최소하게 위해

설치한 것이 ‘좌회전 감응 신호’입니다.

'좌회전 감응 신호’란 좌회전 차선에 좌회전 대기 차량이 없다면 좌회전 신호는 생략하고 신호운영, 좌회전 차선에 차량이 진입할 경우에만 바닥에 설치한 감지기가 이를 인식하여 교통상황에 맞게 좌회전 신호를 표시하는 신호로 보행자 작동 신호기와 유사한 개념입니다.

하지만, 많은 도로에 설치 적용되고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운전자들이 생소할 수도 있습니다.

‘좌회전 감응 신호’ 어떻게 운행해야 할까?

운전 중에 ‘감응 신호’ 교통 표지판이 보인다면 ‘노면 위 사각형’에 차를 정차하여 좌회전 신호가 표시된 후 진행하면 됩니다.

이때 중요한 점은 차량이 정지선을 넘거나 감지 구역에 미치지 못하면 감응 신호가 반응하지 않기 때문에 꼭 주의해야 합니다.

교차로로 진입하는 각 도로에서 차량의 진입이나 보행자의 유무에 따라 신호를 자동으로 표시하기 때문에 보행자, 좌회전 차량이 없는 경우 직진 신호를 주기 때문에 의미 없는 대기 시간을 줄이고 교통혼잡도 막아 줄 수 있습니다.

‘좌회전 감응신호’는 이용하지 않는 불필요한 신호를 줄여서 도로의 교통량을 원활하게 해주는 큰 효과가 있어 운전자는 올바른 이용으로 좌회전 감응신호의 편리함을 경험해 보길 바랍니다.

{"title":"좌회전 감응 신호, 어떻게 운전해야 하나요?","source":"https://blog.naver.com/cjcityblog/223203745287","blogName":"청주시청 ..","blogId":"cjcityblog","domainIdOrBlogId":"cjcityblog","logNo":223203745287,"smartEditorVersion":4,"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me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