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26일 오후 4시, 부천아트벙커B39 재개관 기념행사 '리:부트'(Re:boot)가 열렸습니다. '리부트'(reboot)는 다시 시동을 건다는 뜻으로, 복합문화 예술시설로서 새 단장을 마치고 부천 시민들에게 새롭게 다가간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고 해요. 이에 부천문화재단은

"다시 활활, 예술로 뜨겁게"라는 슬로건을 내세웠는데요, 그 현장으로 가 볼까요?

'복합문화 예술시설' 임을 알리는 건물 입구의 네온사인(좌)과 재개관 리본 커팅식 현장(우)

​기념식은 부천시장, 부천시의원, 삼정동 주민, 지역 예술인 등 150여 명을 초청하여 진행되었습니다.

​기둥에도 보이는 슬로건. 굵직굵직한 폰트에서 파이팅 넘치는 기운이 느껴집니다.

아트벙커B39는 경기 유니크베뉴와 대한민국 공공건축상도 수상한 바 있네요. 관리동 외부.

관리동은 전체가 화이트톤이라 그런지 소각동과는 대조적으로 더 환한 느낌이 들어요.

아트벙커 B39의 역사가 적혀 있는 관리동 로비.

새롭게 선보이는 관리동은 1층의 편백힐링실을 비롯하여 지하 1층의 공유 주방, 스튜디오, 녹음실 등 시민 공동체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시민들이 다양한 모임과 소통을 할 수 있는 다목적실(좌) / 막바지 준비를 하고 있는 공유 부엌(우)

자, 그럼 소각동을 볼까요.

'중정'의 개념을 들인 에어 갤러리가 보이는 공간, 사계절 드리우는 햇빛과 그림자가 분위기가 있어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공간이에요.

전시를 보다 잠시 멍 때리기도 괜찮고요.

​에어 갤러리를 지나면 새롭게 선보이는 '스페이스작 아트벙커' 카페가 나오는데요,​

​오늘은 리셉션 준비로 한창이지만, 앞으로는 문화 예술의 소통 공간이 되겠죠.

​소각동에서는 6월 18일까지 Re:boot 로컬센터화 전시회가 열린다고 합니다.

​벙커 브리지 앞에는 최찬숙 작가의 미디어 파사드가 상영되고 있고요.


변지훈 작가의 <Particles>는 실시간 스캔 된 관객의 움직임에 따라 수 백만 개의 입자가 형성되어 파도처럼 흩어지는 이미지를 볼 수 있어요. 움직이는 관객도 신나 보였어요.

​2층에는 고 백남준 작가의 <촛불 TV>가 전시되었어요. 구형 TV 케이스 안에 초 하나가 불을 밝히고 있고 백남준은 빛을 인류 문명의 시작을 상징하고 있다고 합니다. 작가의 의도가 아니라면 조금은 밝아도 작품과 가까웠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백남준 <촛불 TV>

​팬지를 모티브로 작업한 이소 작가의 전시는 귀여운 이미지예요.

​소각동의 전기실로 들어서면,

​문준용 작가의 인터랙티브 설치작품인 <Augmented Shadow-Inside>를 만날 수 있어요. 조형물과 그림자로 구현한 증강현실로 관객이 센서를 들고 움직일 때마다 그림자 영상이 스토리를 이어줬어요.

​허수빈 작가의 <방범창살 창문과 햇살>. 이렇게 보고 나니 전시는 개인적으로

​'빛과 어둠의 미디어를 통한 이야기'로 정리되는 느낌입니다.

이렇게 어두운 분위기의 오래전 소각장이

유인 송풍실

아트벙커B39로 다시금 환하게 밝혀진 것처럼,

스튜디오

부천의 문화 예술이 다시금 활활 피어나기를 바라며 기사를 마칩니다.

​​아, 가정의 달 기획공연도 있으니 참고해 주세요.

{"title":"\"예술로 뜨겁게 활활\" 재개하는 부천 아트벙커B39 !","source":"https://blog.naver.com/bucheon-city/223091469484","blogName":"부천시 공..","blogId":"bucheon-city","domainIdOrBlogId":"bucheon-city","logNo":223091469484,"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