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립정착금 2천만 원 지원!

서울시가 자립준비청년의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드립니다!

자립준비청년이란?

아동복지시설 및 가정위탁으로 보호를 받다가

만 18세(본인 희망 시 만 24세까지 연장)가 되어

시설에서 나와 생활해야 하는 청년으로,

서울시에서는 매년 260여 명이 사회로 나오고 있습니다.

“집 구하는 법,

금융 사기 당하지 않는 법

임금체불 해결방법”

.

.

이런 도움을 어디에서 받을 수 있을까?”

“이제는 서울시가 자립준비청년

꿈과 첫출발을 함께 합니다!”

조금 이른 홀로서기를 해야 하는

자립준비청년들을 위해

기존 만족도가 높았던 사업을 확대하고

사회적 지지체계를 강화한

자립지원대책 3.0을 추진합니다.

자세한 내용, 함께 확인해 볼까요?

전국 최초의 종합계획 발표

자립준비청년 자립지원 강화계획

2021년 1단계

2022년 2단계

2023년 3단계

경제적 자립

심리적‧정서적 지원

사회적 지지체계 강화

3단계 계획은 1‧2단계 계획에서

만족도가 높았던 사업은 확대하고

사회적 지지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신규 사업 발굴 및 기존 계획의

보완‧강화에 집중했습니다.

자립준비청년의 꿈과 첫출발을 함께하기 위한

3.0지원책의 4개 분야, 12개 사업은?

심리

정서

‘인생 버디 100인 멘토단’ 운영

신규

‘문화·힐링 프로그램’ 개설

신규

‘우리끼리 여행캠프’ 확대 지원

확대

생활

안정

통학·출퇴근 대중교통비 지원

신규

고물가부담 완화를 위한 ’자립정착금’ 확대

확대

보호연장아동 자립체험 공간 및 특화프로그램 운영

신규

맞춤

진로

자기주도적 인생설계를 위한 ‘배움마켓’ 운영

신규

취업·진학 ‘꿀팁 소통토크’ 개최

신규

1:1 개인별 맞춤 진로 컨설팅

신규

지지

체계

‘전문 솔루션 회의’ 운영

신규

탈 고립‧은둔 자립준비청년 지원 전담인력 채용

신규

자립준비청년 전용공간 ’영플러스서울’ 운영

신규

심리적으로 고립되기 쉬운 자립준비청년들을 위한

심리‧정서 지원 강화

1. ‘인생버디 100인 멘토단’ 운영

- 성악가 조수미 포함한 예술인,

2030회사원, 법조인 등

다양한 직업군의 멘토단 구성

- 멘토 정보‧활동계획 등이 담긴

멘토카드를 제공하여 희망 멘토 선택 가능

2. ‘문화·힐링 프로그램’ 개설

- 반려식물키우기, 자유페인팅 등

수요조사를 통한 문화·힐링 프로그램 개설

- 보호 중인 예비자립준비청년 포함하여

시설 간 교류 활성화

3. ‘우리끼리 여행캠프’ 확대 지원

- 주체적인 활동 경험을 통해 성공적인 자립생활 유도

- 선배‧또래 친구들과의 관계망 형성 지원

- 참여자 10팀→30팀으로 규모 3배 확대

자립을 위해 경제적 지원을 강화한

② 생활안정 지원 강화

4. 통학·출퇴근 대중교통비 지원

✔ 지원 내용 : 9월부터 월 6만 원(현금) 지원

✔ 신청 방법 : 8월부터 거주지 동·주민센터 신청 접수

※ 중앙부처 및 서울시 교통비 지원 사업과 중복 지원 불가

(중복 지원 불가 사업 : 산업단지 중소기업 청년교통비 지원, 청년 대중교통비 지원 등)

-

5. 고물가부담 완화를 위한 ’자립정착금’ 확대

- 서울시 고물가, 주거비용 상승 등 반영

- 전국 최초 자립정착금 2,000만원 확대 지원('24년도 부터)

* 증액 추이 : 500만원(’21) → 1,000만원(’22)

→ 1,500만원(’23) → 2,000만원(’24)

✔ 지원대상 : 내년 1월 기준 보호종료

6. 보호연장아동 자립체험 공간 및 특화프로그램 운영

- 보호연장아동 증가에 따라 꿈나눔 하우스(자립형그룹홈)

2개소를 전용공간으로 확보

- 보호연장 시기에 준비‧체험해야 할 특화프로그램 운영

진로 선택 및 자기주도적 인생설계를 위한

③ 맞춤 진로 지원 확대

7. 자기주도적 인생설계를 위한 ‘배움마켓’ 운영

- 다양한 분야(노무·법률, 주거 등)의 이론

및 체험·실습 융합형 프로그램 구성

- 선배 자립준비청년 강사를 통한

자립생활 경험과 노하우 전달

8. 취업·진학 ‘꿀팁 소통토크’ 개최

- 인생버디 100인 멘토단과 연계

- 직장·사회에서 겪는 경험 등을 공유하며

현실적인 미래 탐색 지원

9. 1:1 개인별 맞춤 진로 컨설팅

- (예비) 자립준비청년의 성격, 적성 등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목표의식 고취

- 개인 맞춤형 진로 전문가 컨설팅 지원

특히 취약할 수 있는 복잡·다양한 문제 해결 위한

④ 지지체계 확충

10. ‘전문 솔루션 회의’ 운영

- 사기, 소송, 임금체불 등 전문적인 상담

및 지원이 필요한 경우 분야별 전문가와

관련기관으로 구성된 전문 솔루션 회의를 통해

구체적인 해결방안 지원

11. 탈 고립·은둔 자립준비청년 지원 전담인력 채용

- 고립·은둔, 저활력 대상 실태파악을 통해

고립·은둔 정도 측정

- 상담·회복 프로그램 등

특화 자립지원통합서비스 제공

- 탈 고립·은둔 지원사업 전담인력(2명) 채용

및 자립지원기관 배치·운영

12. 자립준비청년 전용공간 ‘영플러스서울’ 운영

- 소통 및 다양한 지원 한 곳에서

받을 수 있는 전용공간 운영

- 자립지원전담기관 이전을 통한

원스톱 지원체계 구축

자립준비청년이

독립된 사회인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서울시가 함께

“동행” 하겠습니다!

[관련 게시물] 자립준비청년 지원


{"title":"자립준비청년에게 자립정착금 2천만 원 지원을?","source":"https://blog.naver.com/haechiseoul/223167730951","blogName":"서울특별시..","blogId":"haechiseoul","domainIdOrBlogId":"haechiseoul","logNo":223167730951,"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fals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