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정기분 근로·자녀장려금 신청 기간이 도래했습니다. 반기 신청과 달리 정기 신청은 근로소득, 사업소득, 종교인 소득이 있는 가구 모두 장려금을 신청할 수 있는데요.

올해는 지급 대상자의 재산 요건이 완화돼 더 많은 가구가 혜택을 받을 수 있을 전망이라고 하죠. 더불어 최대 지급액도 330만 원으로 상향되었는데요. 지원 요건은 완화되고 ⬇ 지원 혜택은 늘어난 ⬆ 5월 정기분 근로·자녀장려금 신청에 대해 알아봅니다.


2023 근로장려금 정기 신청 대상 · 지원금액

이번 정기 근로장려금 신청 대상은 지난해(2022년 귀속) 근로·사업·종교인 소득이 있는 가구 가운데 소득 및 재산 요건을 충족한 가구입니다. 소득기준 금액은 단독가구 기준 2200만 원 미만, 홑벌이 가구 3200만 원 미만, 맞벌이 가구는 3800만 원 미만입니다.

재산요건은 기존 2억 원 미만 → 2억 4000만 원 미만으로 상향 조정되었는데요. 재산 기준이 완화되면서 근로·자녀 장려금 지급 대상자가 지난해 대비 49만 가구가 더 늘어났습니다.

올해는 근로·자녀장려금 최대 지급액도 늘어났습니다. 단독 가구의 최대 지급액은 기존 150만 원 → 165만 원으로 인상되었고요. 홑벌이 가구 최대 지급액은 260만 원 → 285만 원으로, 맞벌이 가구 최대 지급액은 300만 원 → 330만 원으로 10%씩 상향되었습니다.

2023 근로·자녀장려금 신청 대상

구분

단독가구

홑벌이 가구

맞벌이 가구

총소득기준금액

2,200만 원 미만

3,200만 원 미만

3,800만 원 미만

재산 기준

2억 원 미만 → 2억 4000만 원 미만으로 상향

최대 지급액

165만 원

285만 원

330만 원


2023 자녀장려금 정기 신청 대상 · 지원금액

자녀장려금은 총 소득기준금액이 4000만 원 미만인 홑벌이·맞벌이 가구가 지원 대상이며, 최대지급액은 자녀 1인당 70만 원 → 80만 원(최소 50만 원)으로 인상되었습니다.

국세청은 지난해 근로·자녀장려금의 가구당 평균 지급액이 100만 원 정도였으나, 올해는 최대지급액이 10% 상향된 만큼 가구당 평균 지급액이 110만 원 정도가 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습니다.

2023 자녀장려금 지원 금액

구분

단독가구

홑벌이 · 맞벌이 가구

총소득기준금액

해당 없음

4,000만 원 미만

최대지급액

자녀 1인당 80만 원(최소 50만 원)


정기 신청기간 · 지급일

지난해(2022년) 귀속 소득에 대한 정기분 근로·자녀장려금 신청 기간은 5월 31일까지입니다. 국세청은 소득 및 재산요건을 심사해 지급 대상자를 확정하고 지원금은 오는 8월 말 지급 예정입니다.

신청 기한(~5월 31일) 내 신청을 완료하지 못한 분은 오는 11월 30일까지 정기분 신청이 가능한데요. 다만 기한 후 신청자의 경우 최초 장려금 산정액의 90%까지만 지급됩니다.

근로·자녀 장려금

정기 신청 기간

’22년 정기분 신청 기간 : 2023년 5월 1일 ∼ 5월 31일까지

’22년 기한 후 신청 기간 : 2023년 6월 1일 ∼ 11월 30일까지

지급 일정 : 8월 말 지급 예정


신청 방법

근로·자녀장려금은 다양한 방법으로 간편하게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먼저 모바일 안내문을 받은 경우 카카오톡이나 문자 메시지에 첨부된 안내문을 열람하여 신청하기 버튼을 클릭한 뒤 홈택스 모바일앱 신청 화면에서 바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서면 안내문을 받으신 분들은 ① QR코드 스캔 후 홈택스 모바일 신청 화면에서 신청하거나 ②인터넷 홈택스 또는 ③홈택스 모바일앱에서 개별인증번호와 주민등록번호 입력 후 신청이 가능합니다. ④또 ARS 자동응답전화(1544-9944)로 전화하여 음성 안내에 따라 신청하실 수도 있습니다.

모바일 또는 서면 안내문을 받지 않은 분이라면 홈택스(PC) 또는 홈택스 모바일앱에 접속하여 근로·자녀장려금을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인터넷 포털사이트 네이버와 다음에서 ‘장려금 신청 안내 대상 여부 조회’를 하시면 신청 안내 대상 여부를 쉽게 확인하실 수 있어요.

신청 대상자 가운데 모바일이나 인터넷 등으로 직접 신청하기 어려운 분들은 근로·자녀장려금 상담센터(1566-3636)로 연락하셔서 대리 신청을 요청하시면 상담사의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모바일 안내문을 받은 경우

카카오톡·문자메시지에 첨부된 안내문을 열람하여 ‘신청하기’ 버튼 누름 → ‘홈택스 모바일앱 신청 화면’ 연결 → 주민등록번호 뒤 7자리 입력 → 신청 완료

서면 안내문을 받은 경우

① QR코드

서면 안내문의 QR코드 스캔 → ‘홈택스 모바일앱 신청 화면’ 연결 → 주민등록번호 뒤 7자리 입력 → 신청 완료

② 인터넷 홈택스

www.hometax.go.kr 접속 → 신청/제출 → ‘근로·자녀장려금’ → 근로장려금(정기/반기) 신청 → 개별인증번호·주민등록번호 뒤 7자리 입력 → 신청 완료

③ 홈택스(모바일앱)

앱스토어 (구글 Play 스토어, 아이폰 앱스토어)에서 홈택스(모바일앱) 설치 → 신청/제출 → 근로·자녀장려금(정기/반기) → 개별인증번호·주민등록번호 뒤 7자리 입력 → 신청 완료

④ ARS (자동응답) 전화

1544-9944로 전화하여 음성 안내에 따라 신청

모바일 또는 서면 안내문을

받지 않은 경우

① 홈택스(PC)

www.hometax.go.kr 접속 → 로그인* → 신청/제출 → ‘근로·자녀장려금’ → 근로장려금(정기/반기) 신청 ※ 공동·금융 인증서/간편인증으로 로그인 시 소득자료를 불러올 수 있음

② 홈택스(모바일앱)

앱스토어 (구글 Play 스토어, 아이폰 앱스토어)에서 홈택스(모바일앱) 설치 → 로그인 → 신청/제출 → 근로·자녀장려금(정기/반기) → 신청하기

온라인 신청이 어려운 경우

근로·자녀장려금 상담센터(1566-3636)로 연락 → 대리 신청 요청 (상담사의 도움)


스미싱 피해 주의하세요~!

국세청 발신번호 확인하기

국세청 홈택스 화면 캡처 (www.hometax.go.kr)

근로장려금 & 자녀장려금 신청의 달인 5월! 국세청에서는 장려금 신청과 관련된 보이스피싱 및 스미싱 피해 주의를 당부했는데요. 근로장려금 또는 자녀장려금 문구가 들어간 문자 메시지를 받으신 경우 국세청 발신번호(1544-9944 또는 1566-3636)를 확인하시고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title":"2023 근로장려금·자녀장려금 정기분 신청 | 소득요건 및 지원금액 확대(~5/31까지)","source":"https://blog.naver.com/osan_si/223096458320","blogName":"오산시 블..","blogId":"osan_si","domainIdOrBlogId":"osan_si","logNo":223096458320,"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