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년 전
K-패스 교통비 환급 기준 및 신청 방법 안내
대중교통비 환급 지원사업
K-패스가
다가오는 5월 1일부터 시행됩니다.
시내버스, 도시철도 교통비를
20%부터 최대 53%까지
할인받을 수 있는 K-패스
교통비 환급 기준 및
신청 방법 확인하세요!
대중교통비 환급 지원사업 'K-패스'
국민 대중교통비 절감 및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를 위해
현행 알뜰교통카드를 한층 더 개선한
K-패스 사업
24년 4월까지
알뜰교통카드 사업 운영 후
5월 1일부터
K-패스 사업으로 전환 시행됩니다!
K-패스는 이동거리와 관계없이
이용금액의 일정비율을
적립하는 제도로써
19세 이상 대구시민이라면
누구나 K-패스 이용이 가능합니다!
시행일
´24. 5. 1.(수)~
지원대상
19세 이상 대구시민
기존 알뜰교통카드 이용자는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에서
6월 30일까지 전환동의 후
K-패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K-패스 환급비용 지급 안내
K-패스카드는 월 15회 이상
최대 60회까지
시내버스, 도시철도 등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지출금액의 일정비율을 적립하여
다음 달에 돌려주는 교통카드로써
일반, 청년, 저소득층에 따라
환급 비율이 책정됩니다.
K-패스 환급 비율 |
|||
구분 |
일반 |
청년 |
저소득 |
적립률 |
20% |
30% |
53% |
1,500원 (대구시 요금) |
300원 (월 최대 18,000원) |
450원 (월 최대 27,000원) |
800원 (월 최대 48,000원) |
*청년 : 청년기본법에 따른 만19세~34세
*저소득 : 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일반 이용자는
1년 최대 21.6만원
청년 이용자는
1년 최대 32.4만원
저소득 이용자는
1년 최대 57.6만원까지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K-패스 사용 절차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전용카드를 이용해야 하는데요,
기존 알뜰교통카드 이용자는
알뜰교통카드 앱 또는
홈페이지에서 회원전환 후
별도의 카드 발급 없이
기존 알뜰교통카드를 이용하여
사용 가능하며
K-패스 신규 회원은
카드 발급 및 수령 후
K-패스 앱 또는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 및 카드등록을 진행하여
사용 가능합니다.
마일리지 지급은
신용카드(청구할인), 체크카드(계좌입금),
모바일선불카드(충전) 방식 등
카드사의 지급방식에 따라 지급됩니다.
K-패스카드는
선불카드와 후불카드
모두 이용 가능하며
자세한 가입안내는
원하는 카드를 발급 후
K-패스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시민들의 교통비 부담을 줄여줄
K-패스
많은 참여 바랍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