벚꽃과 유채꽃이 가장 아름다운 가시리마을, 제주 봄꽃 여행 중 필수 코스이기도 한데요!

녹산로 유채꽃의 아름다움과 함께 참혹한 아픔이 있는 가시리 마을의 제주 4·3사건을 기억해 주세요

아름다운 4월, 함께 걷는 4·3길 제주 표선 가시리 마을을 다녀왔습니다.

가시리 마을 4·3길 센터

목 금 토 일 / 064 787-1305

서귀포시 SNS 서포터즈 11기와 함께 가시리 마을 43길 센터를 찾았는데요!

기억 속 이야기들을 꺼내주시는 오태경 해설사님!

18세 소년이었던 당시 상황을 기억하고 있는 오태경 해설사님 나이를 들으면 깜짝 놀라는데요! 90세가 넘는다는 게 믿기지 않을 정도인데! 정확한 기억에 의한 제주4·3 가시리 마을의 아픈 이야기를 듣고 있으면 가슴이 먹먹해진답니다~!

가시마을 43길 가는 길

7km(2시간 30분)

지형적 특성으로 조선시대에는 갑마장이 설치될 정도로 전통적으로 목축이 성행했던 곳인데요! 1948년 4·3당시에는 약 360 가호가 있을 정도로 큰 마을이었다고 합니다!

가시리는 제주시 북촌리와 함께 제주 4·3사건으로 가장 많은 피해를 본 마을이기도 한데요!

아픔을 간직한 현장으로 한번 가볼까요!

아! 그전에 제주4·3 어디까지 알고 계시나요?

제주4·3이란?

1947년 3월 1일을 기점으로 하여 1948년 4월 3일 발생한 소요사태 및 1954년 9월 21일까지 발생한 무력충돌과 진압 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으로 미국정기에 발생하여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 이르기까지 7년여에 걸쳐 지속된, 한국현대사에서 한국전쟁 다음으로 인명 피해가 극심했던 비극적인 사건이었다.

제주4·3사건 진상조사보고서

제주4·3평화재단 홈페이지를 방문하면 제주4·3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알 수 있어요!

미리 알고 가면 좀 더 이해가 빠르실 거예요!

물론 자세히 알지 못하는 저도 직접 방문한 후에 궁금한 것들을 직접 찾아보고, 주변에도 제주4·3을 오래도록 기억하기 위해 작은 실천들을 하고 있답니다!

가시리 본동 4·3성터에서 시작해서 고야동산으로 가볼까요?

고야동산

청년들이 보초를 서던 장소인데요! 1948년 11월 15일 토벌대의 초토화 작전으로 마을이 불태워졌고 30여 명의 희생자가 발생했다고 해요!

지금은 도로확장공사로 모습이 변하긴 했지만 동산의 형태는 남아있는 곳에서 해설사님의 설명을 집중해서 들었어요!

한씨방묘

600년 전 가시마을을 설촌한 이는 청주한씨 한천과 그 아들의 묘인데요! 한씨방묘는 비교적 원형을 유지하고 이고 보존상태가 양호하여, 제주도의 묘제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인정되어 문화재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 제60-2호로 지정되어있어요!

그 외에 더 자세한 이야기는 해설사님과 함께 들을 수 있답니다~!

면암 최익현 선생 유적비

제주도 청주한씨 입도조 한천은 고려 말 공양왕때 예문관 대제학을 지내기도 했는데요! 고려 공양왕이 왕의자리에서 쫓겨나자 한천은 제주도로 유배되었다고 하네요! 1392년 제주에 들어온 한천은 가시마을을 설촌했다고 하는데요!

현재 가시마을에는 한씨가 살고있지 않다는 사실~!

마을 해설사와 함께해야만 알 수 있는 마을 소식!

마두릿동산

마두릿동산은 4·3당시 마을 주민들이 보초를 서던 곳인데요! 고야동산에서 세워진 깃대를 내리는 방식으로 신호를 보내면 이곳에서 그 신호를 보고 마을주민에게 다시 신호를 보냈다고해요!

마두릿동산에서 고야동산이 보였지만 지금은 나무들 때문에 보이지 않아요! 해설사님이 위치를 설명해주자 그당시 모습을 상상할수 있었어요~!

지나가면 보이는 4·3길 상징 띠!

붉은색은 정렬, 희생, 진실을 뜻하며, 흰색은 순결, 결백, 평화 등을 뜻한답니다~!

종서물

종서물은 4·3사건으로 소실된 마을인데요! 가시천 서쪽 일대에 10여호가 살던 마을이었으나 소개령에 의해 주민들이 마을을 떠난 후 복구되지 않아 잃어버린 마을이 되었다고 해요! 당시 모습은 찾아볼수 없는 과수원이나 농경지로 변해버렸지만 대나무가 많은것을 보면서 사람들이 살던 마을임을 짐작할 수 있었답니다~!

제주4·3을 오래도록 기억하게 만들어주는 꽃,

붉게 피는 동백꽃을 보면서 제주4·3의 아픔을 오래도록 기억하게 만드네요~!

가시천 / 갑선이오름

가시천을 지나 갑선이오름을 가는길은 사람이 많이 다니지 않은 흔적이 보이는데요!

가시리에서 발원하여 세화리로 빠져가는 총 7.4km의 길이를 갖고 있는 하천인데요! 가시천의 일부는 원시림에 둘러싸여 푸른 그늘을 만들고 있는데 이곳에서 군경을 피해 숨어있던 엄마와 아이가 희생다했다고 해요! 아이가 너무 어려서 숨어있다가 울음을 터트렸는데 그자리에 발각되었는데 아이엄마로써 더욱더 가슴이 먹먹해진답니다.

달랭이모루

달랭이모루에 도착하면 가시마을 4·3길 투어가 끝이난답니다!

흙붉은 동산이라고도 하는 달랭이모루는 1948년 11월 15일 가시리주민 12명이 희생된 곳이예요!

이후 마을주민들은 소개하라는 명령에 따라 해안으로 내려가거나 주변 산으로 피신하거나 선택을 해야만 했던곳이라네요~!

녹산로 유채꽃으로 유명한 가시리, 화려함 속 슬픈 기억을 간직한 가시리 마을! 이 마을뿐 아니라 제주에는 의귀마을, 동광마을, 금악마을, 오라동, 북촌마을 4·3길이 있답니다!

4·3종합정보시스템에서도 정보를 알수 있으며, 현재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온라인 응원 캠페인을 하고있으니 참여하시면서 이미지도 다운받으세요 :)

제주특별자치도 4·3지원과

064 710-8454

4·3길 문화해설사 예약 및 더 자세한 문의는 제주특별자치도 4·3지원과에 문의 해보세요!

제주시외버스터미널

-> 가시리사무소 220-2번 버스

서귀포시외버스터미널

-> 가시리사무소 295번 버스

지금까지 서귀포시 SNS 서포터즈 선의써니와 함께한 함께걷는 4·3길, 제주 표선 가시리 마을 유채꽃 아름다움 속 해설사와 제주4·3 기억하기 였습니다!

#서귀포시 #서귀포SNS서포터즈 #가시리 #녹산로 #가시리43길 #제주43 #제주동백꽃 #가시마을 #43길문화해설사 #제주해설사 #제주마을투어

{"title":"함께걷는 4·3길, 제주 표선 가시리 마을 유채꽃 아름다움 속 해설사와 제주4·3 기억하기","source":"https://blog.naver.com/seogwipo-si/223064152689","blogName":"서귀포시 ..","blogId":"seogwipo-si","domainIdOrBlogId":"seogwipo-si","logNo":223064152689,"smartEditorVersion":4,"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me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