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청양군 #청양읍 #나라사랑 #태극기 #게양 #태극기구입 #제104주년

#자주독립 #청양정산 #백곡2리 #3·1만세 #합동위령제 #청양독립운동 #애국지사

오는 3월 1일은 제 104주년 3·1절입니다.

우리 모두 나라사랑하는 마음으로 태극기를 답시다.

민주의 자주독립을 온 세계에 선언한 날입니다.

우리지역의 3·1만세 운동은?

청양군 정산면 3.1만세운동은 1919년 3.1운동 당시 백곡리에 거주하던 홍범섭 선생이 상경해 독립선언서를 입수하고 임의재, 홍세표, 박상종, 윤석희 선생 등과 함께 4월 5일 정산장날에 모인 700여명의 주민들과 함께 독립 만세를 외치며 궐기한 청양의 대표적인 독립운동입니다. 백곡3.1만세 운동 기적비가 1985년 3월 1일 세워진 이후로 매년 3.1절에는 아픈 역사의 의미를 되새기며 자라나는 후손들이 애국정신을 이어가길 바라는 마음을 담아 합동 위령제를 지내고 있습니다.

3·1은 왜 일어나게 되었나요?

3.1절(삼일절)은 1919년 3월 1일부터 시작하여 한반도 전역으로 퍼진 비폭력 만세운동을 기리기 위해 제정된 기념일입니다. 3·1 운동은 일제의 지배에 항거하고 국권침탈 늑약의 무효 및 한국의 독립 의사를 전 세계에 알리기 위해 시작된 운동이었습니다. 기미년에 일어나서 기미독립운동이라고도 부릅니다.

3·1은 어떤 날인가요?

1919년 대한제국의 고종황제가 돌아가시면서 독살설이 강하게 퍼지게 되었고, 이를 계기로 고종의 장례일에 맞춰 1919년 3월 1일에 한반도 전역에서 일제히 봉기하게 되었는데요. 3.1 만세운동은 민족대표 33인이 주도하였으며, 참여한 집회 인수가 106만여 명으로 약 3개월에 걸쳐 시위가 이어졌습니다.

3·1은 어떤 영향을 끼쳤나요?

3·1 운동은 강제병합 후 10여 년간 이어진 무력통치에 대하여 비폭력으로 항거한 운동으로, 이후 일제는 무력통치의 무용론을 느끼고 민족분열 책임 문화통치로 노선을 변경하게 된 계기가 되기도 했습니다.

3·1 운동을 계기로 1919년 4월 11일 중국 상하이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었으며, 3.1운동의 이념은 대한민국 제헌 헌법에도 포함되어 대한민국의 건국 기원으로 삼아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는 것을 천명하게 되었습니다. 3.1 운동이 곧 대한민국 역사의 시작이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태극기 게양 방법

태극기 게양 시간은 07:00부터 18:00까지입니다.

태극기는 「대한민국국기법」 제8조에 따라 매일・24시간 달 수도 있습니다.

가정에서 태극기 게양 위치는 밖에서 바라보아 대문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경우 각 세대의 난간)의 중앙이나 왼쪽에 답니다.)

▨ 주택구조상 부득이한 경우, 태극기 다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음

▨ 자녀와 함께 달 경우, 안전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

▨ 아파트 등 고층건물에서는 강풍 등으로 난간 등에 단 태극기가 떨어져 사고로 이어지지 않도록 주의

태극기 구입 방법

각급 자치단체 민원실(시ㆍ군ㆍ구청 및 읍·면·동 주민센터 등), 인터넷우체국(www.epost.go.kr),

인터넷 태극기 판매업체 등을 통해 구입할 수 있습니다.

오염·훼손된 태극기는 각급 자치단체 민원실, 주민센터에 설치된 국기 수거함에 넣어주시면 됩니다.


{"title":"3·1절 삼일절, 올바른 태극기 다는 법 알아보기","source":"https://blog.naver.com/cheongyange/223030414420","blogName":"청양군 공..","blogId":"cheongyange","domainIdOrBlogId":"cheongyange","logNo":223030414420,"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false,"cafeDisplay":false,"blogDisplay":fal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