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년 전
우리 고장에 대해 알아보아요! - 구월동 편 -
남동구 관내에 거주하든 아니든
지역의 명칭에 대해 궁금한 분들이
많을 거라 여겨집니다.
그래서 이를 조금이나마 해소해드리려고
각 동(법정동)을 돌아보며 소개하는 내용을 시리즈로 엮었습니다.
이번에는 구월동입니다.
구월동의 어원은 지형이 거북이 등과 같고
언덕이 반달처럼 휘어졌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원래 구월리였는데
1946년 구월동으로 변했습니다.
이후 남구(현 미추홀구)지역에서
1988년 남동구에 속하게 됐습니다.
행정동은 현재 1동부터 4동까지
4개의 동이 있습니다.
현재는 구도심이지만 행정, 교육,
상업, 의료, 주거 등 여러 분야의 기관과
시설이 밀집된 곳입니다.
그러면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모래마을과 모래내
가장 먼저 모래마을과 모래내입니다.
소재지는 구월4동입니다.
이름을 통해 주변에 모래가 많던 지역임을
추정해볼 수 있습니다.
이곳은 만수천이 있습니다.
만수천은 모래시장 주변부터 남동구청
일대까지 복개천으로 만들었으며,
주변을 오가는 이들을 위해 주차장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모래마을은 위치상 구월4동의 중심에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서 가장 고지대에 있습니다.
때문에 이곳은 과거 달동네로
잘 알려진 곳입니다.
‘달동네’라는 단어가 빈민촌이란 의미도
있지만 서로가 가까이 지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주변에는 모래내시장, 구월전통시장이 있어 주거와 상업을 담당합니다.
이 지역에는 다가구주택이 많습니다.
모래마을은 지난 2021년 2월 5일
인천시에서 주관하는 도시재생사업인
‘더불어마을 희망지 사업’에
최종 선정된 바 있습니다.
또한 ‘구월1구역/구월349 일대 모래내
재개발 추진구역’으로 지정돼 있습니다.
여기서 349는 이 일원의 지번을 의미합니다.
이 사업이 시작되기 전부터 모래마을을
‘구월4동 349번지 일원’이라 했습니다.
이제 새롭게 탄생할 텐데
그 모습을 한번 상상해봅니다.
‘모래내’ 또는 ‘모래마을’이란 명칭이 붙은
장소는 모래내시장, 모래내어린이공원,
모래마을1․2․3호공원이 있습니다.
모래내시장 1982년 5월 개장해
지금까지 이어져왔습니다.
중간에 위기를 겪을 뻔한 일도 있었어도
지금까지 주변의 사랑받고 명맥을
이어온 것이 감사한 일입니다.
이곳은 현재 인천관광공사에서
‘인천관광 100선’ 중 한 곳으로
선정되었습니다.
시장을 이용할 때 만수복개공영주차장에
주차할 경우 만수복개1공영주차장이
가장 가깝습니다.
그럼 이곳 주변의
교통편을 소개하겠습니다.
시내버스
▷ 롯데캐슬모래내시장
(39310, 호구포로, 모래마을사거리 방향) ☞ 모래내시장 서문
- 간선 : 6, 20(20A), 22, 34, 36.
- 급행간선 : 95.
▷ 롯데캐슬․모래내시장
(39309, 호구포로, 작은구월사거리 방향) ☞ 모래내시장 서문
- 간선 : 6-1, 20(20A), 22, 34, 36.
- 급행간선 : 95.
▷모래내시장역<3번출구>
(39339, 구월로, 만수역 방향)
☞ 모래내시장 북문
- 간선 : 6, 8(8A), 30, 36, 37, 46.
- 광역 : 9100.
▷모래내시장
(39344, 구월로, 만수역 방향)
☞ 모래내시장 북문
- 지선 : 535.
▷모래내시장역<2번출구>
(39358, 구월로, 시청후문 방향)
☞ 모래내시장 북문
- 간선 : 8(8A), 30, 37, 46.
- 광역 : 9100.
▷모래내시장
(39350, 구월로, 시청후문 방향)
☞ 모래내시장 북문
- 간선 : 6-1, 36.
- 지선 : 535.
▷모래내시장
(39298, 구월남로, 길병원 방향)
☞ 모래내시장 남문
- 지선 : 532, 540.
▷모래내시장
(39295, 구월로, 문일여고 방향)
☞ 모래내시장 남문
- 지선 : 532, 540.
철도
※ 주변 지하철역
인천지하철 2호선,
모래내시장역 3번 출입구.
- 모래내시장 북문으로 연결됨.
개인용 차량(주변 고속도로)
※ 주변 고속도로
수도권 제1순환선, 제2경인선, 영동선.
- 수도권 제1순환선
장수IC 출구
(장수IC 출구는 하행선만 있음,
입구는 상행선만 있음), 무네미로 경유,
장수사거리 우회전, 만수사거리 직진,
만수주공사거리 좌회전,
모래마을사거리 U턴 후 모래내시장
(시장 내 공영주차장 또는 복개주차장 주차).
- 제2경인선과 영동선
서창JC에서 부천방향 직진, 장승백이사거리
(무네미로 고가 아래)에서 좌회전,
작은구월사거리에서 우회전 후 모래내시장.
참고로, ‘모래내’란 지명은
전국에 5곳(인천 남동구 구월동,
서울 마포구 망원동, 강원도 원주시 단계동,
충북 음성군 삼성면, 충남 논산 연무읍,
전북 전주시 인후동 등)이 있습니다.
‘모래내시장’은 인천 이 외 전국에 2곳
(서울시 서대문구 남가좌1동, 전북 전주시
덕진구 인후2동)이 있습니다.
모두 주변에 하천을 끼고 있습니다.
서울은 홍제천, 전주는 건산천입니다.
어떤 이들은 ‘모래내’라는 명칭을
다르게 표기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지역을 이해하려면 정확한 표기법도
알아두는 게 좋겠습니다.
전재울과 성말
먼저 전재울은 자연지명입니다.
이에 대한 유래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우선 주변에 줄타기 하는
광대나 무당들이 모여 산 곳으로,
이들이 많은 재능 (전재<全才>)을
가졌다는 의미에서 나옵니다.
이는 현재 전해지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다른 학설은 ‘재의 앞(전)’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둘 중 후자의 학설을
더 정확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성말은 전재울 안쪽에 있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즉, ‘성앞 말’로 ‘-말’은 마을을 의미합니다.
지명을 언급할 때 ‘-울’, ‘-말’이라는 접미사는 마을이라고 이해하면 되겠습니다.
그래서 ‘성말’을 ‘성리(里)’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현재 대단위 아파트단지와 상업지구가
있어서 옛 모습은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그래도 지명을 이용한 다양한 장소가 있는데 주요 장소를 소개하겠습니다.
먼저 ‘전재울’입니다.
앞서 소개한 전재울사거리를 시작으로
전재울근린공원이 있습니다.
이곳과 연결된 곳으로
구월아시아드선수촌근린공원이 있습니다.
본래 선수촌근린공원 주변이 전재울입니다.
이 공원에 대해 잠시 소개하겠습니다.
이곳은 2014년 인천아시안게임을
앞두고 만들었습니다.
또한 주변에 아시아드선수촌아파트가
있는데, 아파트 명칭과도 연관시켜서 공원
이름도 지었습니다.
공원 입구에서 멀리 보면
언덕 위에는 회화나무가 있습니다.
나무는 공원을
조성하기 전부터 있던 것이며,
1999년 5월 보호수로 지정했습니다.
수령은 500년이 넘고 높이는 30.5m,
둘레는 6m 정도됩니다.
또한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기 전 마을에서는 이곳에서 당제를 드렸습니다.
보호수인데 현재는 받침대를 대고 있습니다. 이는 2019년 9월 7일
제13호 태풍 ‘링링’의 영향으로
가지가 부러져서 그렇습니다.
공원 조성 전의 사진을 보면
이 보호수 앞에는 마을이 있었습니다.
보호수가 마을 언덕에 있어
든든한 버팀목처럼 느껴집니다.
성말
이번에는 ‘성말’이라는
이름이 쓰인 곳을 보겠습니다.
바로 도로명과 어린이공원입니다.
도로명은 ‘성말로’가 있습니다.
성말로는 남북으로 난 남동대로와 예술로를 사이에 두고 동서로 난 도로입니다.
구체적으로, 서쪽의 예술로 126번과
성말로 1에서 시작해
동쪽의 남동대로 701번과
남동대로 705 사이에서 끝납니다.
이 중 예술로에서 교차하는 지점부터 시작해
인하로 507번길과 교차하는 지점까지는
왕복통행로이고 이후 남동대로
방향으로는 일방통행로입니다.
어린이공원은 두 곳이 있습니다.
큰성말어린이공원이 있는데,
구월3동에 있습니다.
주변에는 주거지역이라
주민의 쉼터로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그리고 작은성말어린이공원도 있는데
구월1동에 있습니다.
이곳 역시 주변에 주거지역이 많습니다.
또한 공원을 주변에는 학교가 있고,
그 외부의 남동대로와
인주대로 주변에는 상가가 많습니다.
그래서 남녀노소의 휴식 장소로 적격입니다.
성리
이번에는 ‘성리’라는
이름을 붙인 곳이 있습니다.
이는 도로, 학교, 공원에
그렇게 사용했습니다.
먼저 도로입니다.
성리로는 남쪽과 북쪽의 동서 방향으로
각각 통하는 인하로와 인주대로
사이에 있습니다.
시작은 인하로 남동세무서의
주차장 출구 앞부터입니다.
그리고 끝은 인주대로 646과
성리로 76 사이입니다.
이곳은 성말로와 달리
모든 구간이 왕복도로입니다.
학교는 초등학교, 중학교 두 곳이 있습니다.
학교명도 성리초등학교와
성리중학교입니다.
이 학교들은 아시아드선수촌아파트가
들어서기 전에 개교했습니다.
학교 주변에는 현재 대단위 아파트 단지와
함께 일반 주거지가 공존합니다.
주변의 어린이와 청소년들에게
통학의 불편을 최소화하는 데
두 학교가 큰 역할을 해줍니다.
두 학교 모두 정문 앞에 성리로가 있습니다.
이번에는 공원을 소개하겠습니다.
성리어린이공원이 있습니다.
주변의 교통편은 다음과 같습니다.
시내버스
※ 주변 정류장 노선
성리초등학교
(39200, 남동대로, 길병원사거리 방향)
- 간선 : 6, 11, 22, 33, 36,
82, 103, 111-2.
- 좌석 : 303, 304, 800, 801.
- 지선 : 534, 537.
- 광역 : 1300.
※ 주변 정류장 노선
성리초등학교
(39201, 남동대로, 롯데백화점 방향)
- 간선 : 6, 11, 22, 36, 82, 103, 111-2.
- 좌석 : 303, 304, 800, 801.
- 지선 : 534, 537.
- 광역 : 1300.
※ 주변 정류장 노선
남동세무서
(39888, 인하로,
아시아드선수촌아파트 방향)
- 간선 : 5, 21, 27, 33, 34, 42, 46.
- 지선 : 514-1.
※ 주변 정류장 노선
남동세무서
(39887, 인하로, 롯데백화점 방향)
- 간선 : 5, 21, 27, 33, 34, 42, 46.
- 지선 : 514-1.
※ 주변 정류장 노선
기업은행 구월동지점
(39178, 남동대로, 승기천 방향)
- 간선 : 3-2, 38.
※ 주변 정류장 노선
성리중학교
(39979, 성리로, 팬더아파트 방향)
- 순환 : 51.
※ 주변 정류장 노선
성리중학교
(39969, 성리로,롯데백화점 방향)
- 순환 : 51.
※ 주변 정류장 노선
선수촌사거리
(39890, 매소홀로, 남동체육관 방향)
- 간선 : 5, 20, 20A.
- 좌석 : 790, 790A.
- 광역 : M6439.
※ 주변 정류장 노선
선수촌사거리
(39889, 매소홀로, 인천터미널 방향)
- 간선 : 5, 20, 20A.
- 좌석 : 790, 790A.
철도
※ 주변 지하철역
인천지하철 1호선 인천터미널역,
2번 출입구.
- ‘롯데백화점<인천터미널> 정류장
(37513, 인하로)’에서 성리초등학교
(남동대로), 남동세무서,
기업은행 <구월동지점>,
성리중학교(성리로) 정류장 하차.
자가용
개인용 차량(주변 고속도로)
※ 주변 지하철역 : 인천지하철 2호선,
모래내시장 3번 출입구.
- 모래내시장 북문으로 연결됨.
이번에는 구월동의 모래내와 모래마을,
그리고 전재울과 성말(성리)에 대해
소개해드렸습니다.
모래내와 모래마을 일대에서는
장보기 겸 관광을,
전재울 주변에서는 관광 겸 휴식을
취하면 어떨까요?
지금까지 박종형 기자였습니다.
※ 참고사항 1. : 정류장 명칭에 기입한
5자리 숫자는 정류장 ID를 의미함.
※ 참고사항 2. : 버스노선은
3월 1일 기준임. 이후 바뀔 수 있음.
※ 참고사항 3. : 6번, 34번, 535번 노선은 현재 ‘현금 없는 인천버스’로,
카드로만 결제 가능함.
※ 이 글은 남동구 블로그 기자단이 직접 작성한 글로
남동구청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남동구 공식 블로그에 있는 남동샘터 기자단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 보호를 받은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은 민형사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블로그/카페로 스크랩을 원하실 경우
링크와 출처를 표기해 주시길 바랍니다.
- #남동구
- #남동구청
- #남동을새롭게
- #우리고장
- #구월동
- #모래내
- #모래마을
- #만수천
- #구월전통시장
- #모래내공원
- #전재울
- #성말
- #성리
- #만국광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