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년 전
능침에서 바로 본 세계문화유산 융건릉. 효성으로 빚어진 화성 융릉과 건릉을 만나보세요!
세계문화유산 융릉은 조선 22대 임금 정조의 아버지, 사후 왕으로 추존된 장조(사도세자)와 헌경왕후 홍씨의 능으로 합장릉입니다.
정조대왕은 우리가 너무나 잘 알고 있을 만큼 많은 업적들을 쌓았고 효의 귀감이 되는 조선 22대 임금입니다. 정조대왕을 이야기 하기 전에 아버지 사도세자를 이야기 하지 않을 수 없는데요.
조선 21대 임금 영조는 그의 아들 사도세자가 다음 후세에 왕이 되어 성군으로 훌륭한 왕이 되길 바랐지만 뒤주에 갇혀 8일 만에 물 한 모금 먹지 못하고 27세인 7월12일 뒤주 속에서 사망하게 됩니다. 사도세자의 아들 정조의 나이는 겨우 11살 이었습니다. 훗날 사도세자의 아들 이산 정조는 조선 22대 왕이 되어 성군으로써 조선의 역사에 남게 됩니다.
양주 배봉산에 묻쳐있는 아버지 사도세자의 무덤을 1789년 10월 지금의 지금의 화산으로 옮겨 현륭원이라 칭하고 훗날 장헌세자를 장조로 추존하고 그의 어머니 혜경궁홍씨와 합장한 능이 바로 융릉입니다.
정조는 임금이 되어 한양에서 화산의 융릉을 무려 13차례 찾아가 아버지께 제를 올렸습니다.
이번 촬영은 문화재청의 허가를 받아 융건릉의 능침을 촬영할 수 있었습니다.
이곳 융릉은 우리나라 풍수지리에 의하면 조선의 최고의 명당으로 꼽히는 곳이라고 하는데요. 융릉은 동쪽에 있고 건릉은 서쪽에 있습니다.
상수리 나무와 소나무 숲을 지나면 금천교가 나옵니다. 금천교는 궁궐에도 있지만 융건릉에서도 볼 수가 있는데요. 속세와 혼령이 머무는 곳을 구분하는 하는 곳, 금천교를 지나면 붉은색 홍살문이 보입니다.
홍살문은 왕릉에서는 신이 지나는 문이라 표현합니다. 가장 먼저 눈에 띄는곳은 정자각입니다. 이곳이 왕의 제를 지내는 곳이지요.
우측의 배위는 제사의 시작을 알리는 장소이며,정면에 보이는 정자각과 향로와 어로 길이 있습니다.정조는 제를 지낼 때 우측 어로로 정자각까지 걸어갔습니다.
홍살문에서 좌측에 보이는 곳이 제물을 준비하는 수복방이 있고 우측에는 비각이 보입니다.
대부분 왕릉은 능침과 정자각은 일직선에 있지만 여기서 융릉이 다른 왕릉과 조금 다른 점은 능침은 정자각을 정면 있지 않고 방향이 좌측으로 시원스레 뚫려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정조의 아버지와 어머니 비문을 열고 융릉의 능침으로 올라갑니다. 이곳이 융릉 전경입니다.
어느 왕의 능처럼 비슷한 구조물로 되어 있습니다. 풍수지리에는 다만 이곳이 천하의 명당자리라고 불리고 있는 융능입니다.
능침공간을 살펴보면 중심에는 장명등과 혼유석 봉분아래 난간석 대신 병풍석을 사용했고, 왕의 무덤을 지키고 있는 석마2기, 석호, 석양, 망주석 그리고 문인석과 무인석이 각 2기가 있습니다. 이 구조물이 보통 조선 능침 왕릉의 모습입니다.
융릉은 해가 먼저 뜨는 동쪽에 위치해 있고 해가 질 때까지 밝고 쾌적함 그리고 먼 곳까지 한눈에 볼 수 있는 능선에 능을 만들었습니다.
죽어서도 정조는 아버지 곁에 묻히고 싶다고 유언을 했다고 하는데요.
정조는 죽기 전 사무치게 그리웠을 아버지 사도세자의 옆에 묻어 달라는 유언을 하며 1800년 8월18일 향년 47세 일기로 생을 마감합니다.
조선 대부분 왕릉의 구조물은 금천교를 지나 홍살문, 향로와 어로 가운데 정자각 구조물은 조선 어느 왕릉과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왕릉은 봉분아래 흙이 흘러내리지 않도록하는 병풍석과 난간석을 사용했는데 건릉은 병풍석이 없고 난간석을 사용했습니다. 능침 아래 제를 지내는 정자각과 능을 지키는 문인석과 무인석, 석마와 석양 석호가 12기가 있습니다.
건릉은 조선 제22대 왕 정조와 부인 효의왕후 김씨를 합장한 무덤입니다. 조선22대 임금 정조는 돌아가신 아버지 사도세자를 사후 장조로 추존되는 역사는 볼 수 없었지만 아버지를 생각하는 효심은 모든이에게 심금을 울리기 충분했습니다.
세계문화유산 융건릉.
역사속의 실존인물의 왕릉의 능침을 살펴보니 만감이 교차하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또한 융릉은 정조가 아버지의 깊은 사랑과 지극한 효의 상징이기도 합니다.
역사속에서 우리는 이곳을 융건릉이라고 기록하고 또한 그렇듯이 후세에게 물려줄 세계문화유산 융건릉을 잘 보존 하는일도 우리의 몫입니다.
▼ 융릉과 건릉 홈페이지▼
- #융릉
- #건릉
- #융건릉
- #사도세자
- #정조
- #세계문화유산
- #유네스코세계문화유산
- #정조대왕
- #조선왕조
- #왕릉
- #조선왕릉
- #효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