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년 전
봄철 산불 원인 · 예방법 · 행동 요령 | 논·밭두렁 태우지 마세요!
봄철 산불 발생 소식이 부쩍 잦아졌습니다. 최근에는 8일간 하루 10건이 넘는 산불이 연일 발생하면서 산림청이 산불재난 국가위기경보 단계를 ‘주의’에서 ‘경계’로 상향했을 정도인데요. 이처럼 봄에는 야외활동이 많아지고 건조한 날씨와 강풍이 부는 환경으로 인해 산불이 많이 발생하곤 하죠. 그뿐만 아니라 한 해 농사를 앞두고 해충 방제를 위한 논·밭두렁 태우기가 성행하면서 산불 발생 위험이 부쩍 증가합니다.
잇따라 산불이 발생하는 가운데 산림청은 3월 6일 ~ 4월 30일까지를 ‘산불특별대책기간’으로 정하고 총력 대응에 나섰습니다. 우리 모두가 주의해야 하는 산불! 봄철 산불 예방법과 행동요령을 알아보고 함께 대비해 봅니다.
산불 발생의 주요 원인
산불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은 크게 ①등산객들의 실화, ②쓰레기 소각, ③논·밭두렁 불법 소각, ④담뱃불 등이 있습니다.
산불 발생의 가장 큰 원인을 차지하는 것은 등산객의 부주의로 인한 화재입니다. 산을 찾는 등산객(입산자)들의 소각 행위 또는 취사행위로 인한 실화는 최근 10년 평균 31.8%가 발생했습니다. 산불 예방을 위해 등산객 여러분은 산불기간 중 입산통제구역에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하고, 취사는 허용된 곳에서만 하도록 합니다.
산불 발생 주요 원인 두 번째는 농업 부산물이나 쓰레기 소각으로 인한 산불입니다. 쓰레기 소각으로 인해 최근 10년 평균 12.7%의 산불이 발생했는데요. 이처럼 쓰레기 소각으로 불을 피우다 산불이 발생하면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 원 이하의 벌금형을 선고받게 됩니다. 수확 후 발생하는 과수·전정가지 등 영농부산물을 태우는 것은 미세먼지 발생의 원인이 되므로 주의하세요.
논·밭두렁 불법소각도 산불의 원인이 되죠. 해충 방제를 위해 산불을 놓는 분들이 많은데요. 봄철 논·밭두렁을 태이로 인한 산불은 최근 10년간 평균 12.5%가 발생했습니다. 현행법상 산림으로부터 100m 이내에서 소각행위를 하는 것은 전면 금지되어 있으며, 이를 어길 경우 최고 10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등산 시 무심코 버린 담뱃불로 인한 화재도 무시할 수 없는 산불의 원인입니다. 담뱃불로 인한 산불은 최근 10년 평균 5.6%가 발생했는데요. 산림에서 담배를 피우거나 담배꽁초를 버린 자, 산림 안에서 화기 및 인화물질을 소지하고 들어간 분에게는 적발 시 10만 원의 과태료 처분이 내려집니다.
산불 예방법
산불 발생 예방을 위해 등산객들은 성냥·라이터·버너 등의 인화물질을 소지하지 않도록 하고요. 등산 전 산림청 홈페이지에서 출입 가능한 등산로를 사전에 확인하여 이를 벗어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또 지정된 야영장 또는 대피소 외 장소에서 취사·야영을 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농가에서는 수확 후 발생하는 과수 전정가지 등 영농부산물은 화재는 물론 미세먼지를 발생시키므로 불법 소각을 하지 않도록 합니다. 한편 농촌진흥청에서는 봄철 논·밭두렁을 태우는 것이 해충 방제에 효과가 미비하다고 하는데요. 이로 인해 발생하는 산불 예방을 위해 논밭 소각행위를 하지 않는 것도 중요합니다.
✅ 등산객은 성냥, 라이터, 버너 등 인화물질 소지 금지
✅ 출입 가능한 등산로 사전에 확인하기
✅ 지정된 야영장, 대피소 외 장소에서 취사·야영 금지
✅ 논·밭두렁을 태우는 것은 해충 방제효과 미비(농촌진흥청 연구 결과)
✅ 수확 후 발생하는 과수 전정가지 등 영농부산물의 불법 소각은 화재·미세먼지의 원인
✅입산자는 라이터·버너 등 인화물질 소지 금지
※ 과실로 인한 산불 발생 시에도 3년 이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
산불 발생 시 예방법 · 행동요령
만약 산불이 발생한 상황을 목격했다면 119에 즉시 신고하여 산불 발생 지점을 정확하게 알려야 합니다. 산불 발생 초기라면 외투 또는 나뭇가지를 이용해 두드리거나 덮어 불을 끄도록 하세요.
다만 산불 규모가 크다면 섣불리 불을 끄려고 시도해서는 안 되는데요. 산불 규모가 커지면 불길을 등지고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으로 산불 발생 지역에서 멀리 떨어진 안전한 곳으로 즉시 대피합니다. 대피할 여유가 없을 때에는 낙엽이나 나뭇가지 등이 없는 곳에서 얼굴을 가리고 불길이 지나갈 때까지 엎드려 있도록 하세요.
작은 방심과 조그마한 불씨에서 시작해 순식간에 걷잡을 수 없이 큰 화재를 야기하는 산불. 우리의 생명은 물론 소중한 자연을 위협하는 산불은 무엇보다도 화재가 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최선의 방안이라고 하죠. 봄철 산불 예방법과 행동요령을 철저히 숙지하고 지켜 화재 위험으로부터 우리 모두와 자연을 지켜주세요!
- #산불
- #봄
- #산불원인
- #산불예방법
- #산불예방
- #산불대처
- #산불대비
- #산불행동요령
- #소각
- #논밭소각
- #불법소각
- #산림청
- #산불위기
- #재난
- #쓰레기소각
- #담뱃불
- #담배꽁초
- #등산
- #등산객
- #산불특별대책기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