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년 전
실내 마스크 착용 권고 조정 알림
2023년 1월 30일부터 실내마스크 자율 착용 권고로 전환
◈ 설 연휴 이후 1월 30일부터 1단계 의무 조정 시행으로 실외에 이어 실내에서도 마스크를 자율적으로 착용하도록 권고로 전환함
다만, 고위험군 보호 등을 위해 감염취약시설, 의료기관•약국 및 대중교통수단 내에서는 착용 의무 유지
①코로나19 의심 증상이 있거나 코로나19 의심 증상이 있는 사람과 접촉하는 경우,
②코로나19 고위험군이거나 또는 고위험군과 접촉하는 경우,
③최근 코로나19 확진자와 접촉했던 경우(접촉일로부터 2주간 착용 권고),
④환기가 어려운 3밀(밀폐·밀집·밀접) 환경에 처한 경우,
⑤다수가 밀집한 상황에서 함성이나 합창, 대화 등 비말 생성행위가 많은 경우에도 마스크 착용을 강력히 권고
◈ 마스크 착용의 효과성이 높고 필요성도 여전한 만큼 필요시 자율적으로 마스크를 착용하는 방역수칙 생활화를 거듭 강조
■ 주요내용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조정 추진 계획
(1단계 조정 내용)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를 착용 권고로 전환하되, 일부 시설의 경우는 1단계 의무 조정 대상에서 제외된다.
감염취약시설, 의료기관·약국 및 대중교통수단 내에서는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가 유지된다.
감염취약시설: 요양병원•장기요양기관, 정신건강증진시설, 장애인복지시설
대중교통수단: 버스, 철도, 도시철도, 여객선, 도선, 택시, 항공기 등
또한,
①코로나19 의심 증상이 있거나 코로나19 의심 증상이 있는 사람과 접촉하는 경우,
②코로나19 고위험군이거나, 고위험군과 접촉하는 경우,
③최근 코로나19 확진자와 접촉했던 경우(접촉일로부터 2주간 착용 권고),
④환기가 어려운 3밀(밀폐·밀집·밀접) 환경에 처한 경우,
⑤다수가 밀집한 상황에서 함성이나 합창, 대화 등 비말 생성행위가 많은 경우에도 마스크를 착용하도록 강력히 권고했다
< 마스크 착용 권고 상황 >
① 코로나19 의심 증상이 있거나, 코로나 19 의심 증상이 있는 사람과 접촉하는 경우
(코로나19 의심 증상) 인후통, 기침, 코막힘 또는 콧물, 발열 등
② 코로나19 고위험군이거나, 코로나19 고위험군과 접촉하는 경우
(코로나19 고위험군) 60세 이상 연령층, 면역저하자, 기저질환자 등
③ 최근 코로나19 확진자와 접촉했던 경우(접촉일로부터 2주간 착용 권고)
④ 환기가 어려운 3밀(밀폐•밀집•밀접) 실내 환경에 있는 경우
⑤ 다수가 밀집한 상황에서 함성•합창•대화 등 비말 생성행위가 많은 경우
(조정 시점) 1단계 의무 조정은 설 연휴 다음주인 1.30.(월)부터 시행된다.
이는 설 연휴 주간 인구 이동의 증가, 1단계 의무 조정 제외 대상 시설에 대한 안내·홍보 등의 조치에 일정 기간이 소요되는 점을 고려하여 설정되었다.
다만, 의무 조정시 확진자 발생 규모는 증가할 수 있고, 고위험군 면역이 아직 부족한 만큼 마스크 착용 생활화와 백신 추가 접종은 적극 권고된다.
1단계 의무 조정 시, 마스크 착용 의무 유지 장소
★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1단계 조정 시 감염취약시설, 의료기관•약국 및 대중교통수단 내에서는 착용 의무 유지
감염취약시설(3종) (상세 내용은 별도 안내)
1. 요양병원•장기요양기관
2. 정신건강증진시설
3. 장애인복지시설
의료법(제3조)에 따른 의료기관
약사법(제2조)에 따른 약국
대중교통수단
대중교통법(제2조)에 따른 대중교통수단 : 노선버스, 철도, 도시철도, 여객선, 도선
여객자동차법(제3조)에 따른 구역 여객자동차 운송사업 차량 : 전세버스, 특수여객자동차, 일반택시, 개인택시
항공사업법(제2조)에 따른 항공운송사업자가 여객을 수송하기 위한 목적으로 운용하는 항공안전법(제2조)에 따른 항공기
- #실내마스크
- #마스크착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