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여름, 전국 각지에 단시간에 엄청난 양의 비가 쏟아지는 폭우로 인해 큰 피해가 발생했는데요.

기후 변화로 인한 폭우가 계속되며 더욱 중요해진 비 피해 대비! 여름철 폭우에 대처하는 안전수칙을 알아보겠습니다.

☂️여름철 폭우

이렇게 대처하세요!

행동요령


📣자주 물에 잠기는 지역, 산사태 위험지역 등 위험한 곳은 피하고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니다.

📣실내에서는 문과 창문을 닫고, 외출을 하지 않고 TV, 라디오, 인터넷 등을 통해 기상상황을 확인합니다.

📣개울가, 하천변, 해안가 등 침수 위험지역은 급류에 휩쓸릴 수 있으니 가까이 가지 않습니다.

📣산과 계곡의 등산객은 계곡이나 비탈면 가까이 가지 않고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니다.

📣공사자재가 넘어질 수 있으니 공사장 근처에 가까이 가지 않습니다.

📣농촌에서는 논둑이나 물꼬의 점검을 위해 나가지 않습니다.

사전에 이렇게 준비하세요!

출처:국민재난안전포털

☑️과거에 발생했던 내 지역의 정보는 미리 확인하고 가족이나 이웃과 함께 공유합니다.

🔺내가 거주하거나 생활하는 지역의 홍수, 침수(저지대), 산사태, 해일 등 재해위험 요인을 미리 확인합니다.

🔺주변의 배수로, 빗물받이는 수시로 청소를 실시하고 비탈면, 옹벽, 축대 등이 위험할 경우 정비하거나 시·군·구청에 신고합니다.

☑️재난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가족이나 이웃과 함께 준비합니다.

🔺기상특보나 홍수, 산사태 등 재난 예·경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TV, 라디오 등을 준비하고 스마트폰에 ‘안전디딤돌’ 앱 등을 미리 설치합니다.

☑️가족이나 이웃과 함께 대피방법 등에 대한 약속을 미리 정합니다.

🔺지역의 대피 장소와 안전한 이동 방법, 대피요령을 미리 숙지하고, 어린이들에게 알려 주어야 합니다

* 국민재난안전포털(www.safekorea.go.kr), 안전디딤돌 앱 등을 활용

🔺비상상황이 예견될 때에는 가족이나 이웃과 함께 즉시 안전한 곳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가족이 각각 이동할 때를 대비하여 다시 만날 장소를 미리 정합니다.

🔺대피경로는 하천변, 산길, 전신주나 변압기 주변 등은 피하도록 합니다.

☑️재난이 발생할 경우를 대비하여 가족과 함께 비상용품을 미리 준비합니다.

🔺응급약품, 손전등, 식수, 비상식량, 라디오, 핸드폰 충전기, 휴대용 버너, 담요 등 비상용품을 미리 한 곳에 준비해 둡니다.

🔺차량이 있는 경우에는 연료를 미리 채워 두고, 차량이 없을 경우에는 차량이 있는 가까운 이웃과 같이 이동할 수 있도록 미리 약속해 둡니다.

☑️재난에 대비한 지속적인 관심과 정비를 함께 합니다.

🔺비상용품의 유효기간을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교체하고, 대피장소, 대피경로 등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정비합니다.

호우특보 예보 시

출처:국민재난안전포털

☑️호우예보지역과 시간을 주변에 있는 사람들과 함께 공유합니다.

🔺TV, 라디오, 인터넷, 스마트폰의 안전디딤돌 앱 등으로 기상상황을 미리 파악하여 가족과 주변 사람들과 함께 공유하고 대비합니다.

☑️산간·계곡, 하천, 방파제 등 위험지역에서는 주변에 있는 사람들과 함께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니다.

🔺산간·계곡, 하천, 방파제 등에서 야영이나 물놀이를 멈추고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니다.

🔺저지대나 상습 침수지역, 산사태 위험지역, 지하 공간이나 붕괴 우려가 있는 노후주택·건물 등에서는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니다.

☑️차량이나 시설물 등의 보호를 위해 가족과 지역주민이 함께 미리 준비합니다.

🔺하천이나 해변, 저지대에 주차된 차량은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니다.

🔺가정의 하수구나 집 주변의 배수구를 미리 점검하고 막힌 곳은 뚫어야 합니다.

🔺침수가 예상되는 아파트 지하주차장 건물 등에서는 모래 주머니, 물 판막이등을 이용하여 피해를 예방합니다.

🔺농경지는 배수로를 정비하여 피해를 예방합니다.

🔺공사장, 주변의 배수로, 빗물받이, 비탈면, 옹벽, 축대 등은 미리 점검합니다.

☑️가족과 함께 비상용품을 준비하여 재난 발생에 대비합니다.

🔺비상시 신속히 응급용품을 가지고 대피할 수 있도록 사전에 배낭 등에 모아둡니다.

🔺상수도 공급이 중단 될 수 있으므로, 욕조 등에 미리 물을 받아둡니다.

🔺재난정보 수신을 위해 스마트폰에 안전디딤돌 앱이 설치되었는지 확인하고 가까운 행정복지센터(주민센터) 등과 긴급 연락망을 확인합니다.

☑️외출은 자제하고 연세 많은 어르신 등의 안부를 수시로 확인합니다.

🔺약속된 일정은 취소하거나 조정하여 외출을 자제하고, 주변에 정보를 알려 줍니다.

🔺연세 많은 어르신, 어린이, 장애인 등은 외출을 하지 않도록 당부하고 수시로 전화 등을 통해 안부를 확인합니다.

호우특보 중

출처:국민재난안전포털

☑️나와 가족, 지인들의 안전을 위해 외출은 자제하고 정보를 지속적으로 청취하며 정보가 필요한 사람들과 공유합니다.

🔺TV, 라디오 등을 통해 기상정보를 청취하여 내가 있는 지역의 상황을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주변에 있는 사람들에게 알려 줍니다.

🔺외부에 있는 가족, 지인, 이웃과 연락하여 안전을 확인하고 위험정보 등을 공유합니다.

🔺차량은 속도를 줄여 운행하고, 개울가, 하천변, 해안가 등 급류에 휩쓸릴 수 있는 지역이나 침수 위험지역에는 접근하지 말고 주변에 있는 사람들에게 알려 줍니다.

☑️건물, 집안 등 실내에서의 안전수칙을 미리 알아두고 가족과 함께 확인합니다.

🔺건물의 출입문, 창문은 닫아서 파손되지 않도록 하고, 창문이나 유리문에서 되도록 떨어져 있도록 합니다.

🔺강풍으로 인해 피해를 입지 않도록 가급적 욕실과 같이 창문이 없는 방이나 집안의 제일 안쪽으로 이동합니다.

🔺가스 누출로 2차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전에 차단하고, 감전 위험이 있는 집 안팎의 전기시설은 만지지 않도록 합니다.

🔺정전이 발생한 경우 양초를 사용하지 말고 휴대용 랜턴, 휴대폰 등을 사용합니다.

☑️위험지역은 접근하지 말고, 즉시 안전한 지역으로 주변에 있는 사람들과 함께 대피합니다.

🔺침수지역, 산간·계곡 등 위험지역에 있거나 대피 권고를 받았을 경우에는 주변에 있는 사람들과 함께 즉시 안전한 지역으로 대피합니다.

🔺주변에 연세가 많거나 홀로계신 어르신, 어린이, 장애인 등 대피에 어려움이 있는 분들은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특히, 침수된 도로, 지하차도, 교량 등은 사람과 차량의 통행을 엄격히 금지하고 주변에 있는 사람들에게 알려 진입하지 않도록 합니다.

🔺공사장, 가로등, 신호등, 전신주, 지하 공간 등 위험지역에는 접근하지 않도록 합니다.

🔺농촌지역에서는 논둑이나 물꼬를 보러 나가지 않습니다.

🔺이동식 가옥이나 임시 시설에 거주할 경우에는 견고한 건물로 즉시 이동하고 주변에 있는 사람들에게 위험지역을 알려줍니다.

호우 이후

출처:국민재난안전포털

☑️가족과 지인의 안전 여부를 주위 사람들과 함께 확인합니다.

🔺가족과 지인에게 연락하여 안전 여부를 확인하고, 연락이 되지 않고 실종이 의심될 경우에는 가까운 경찰서에 신고합니다.

☑️태풍으로 인한 피해 여부를 주변에 있는 사람들과 함께 확인합니다.

🔺대피 후 집으로 돌아온 경우 반드시 주택 등의 안전 여부를 확인하고 출입합니다.

🔺파손된 시설물(주택, 상하수도, 축대, 도로 등)은 가까운 시·군·구청이나 행정복지센터(주민센터)에 신고합니다.

🔺파손된 사유시설을 보수 또는 복구할 때에는 반드시 사진을 찍어 둡니다.

🔺침수된 도로나 교량은 파손되었을 수 있으므로 건너지 않습니다.

🔺하천 제방은 무너질 수 있으니 가까이 가지 않습니다.

🔺고립된 지역에서는 무리하게 물을 건너지 말고, 119에 신고하거나 주변에 도움을 요청합니다.

☑️주변에 있는 사람들과 함께 태풍으로 인한 2차 피해를 방지합니다.

🔺물이 빠져나가고 있을 때에는 기름이나 동물 사체 등 오염된 경우가 많으므로 물에서 멀리 떨어져 있도록 합니다.

🔺수돗물이나 저장되었던 식수는 오염 여부를 확인한 후에 사용합니다.

🔺침수된 음식이나 재료는 식중독의 위험이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침수된 주택은 가스와 전기차단기가 내려가 있는지 확인하고, 한국가스안전공사(1544-4500)와 한국전기안전공사(1588-7500) 또는 전문가의 안전점검 후에 사용합니다.

🔺태풍으로 피해를 입은 주택 등은 가스가 누출될 수 있으므로 창문을 열어 충분히 환기하고, 성냥불이나 라이터는 환기 전까지 사용하지 않습니다.

🔺쓰러진 농작물은 일으켜 세우고, 침수된 논과 밭을 배수할 때에는 작물에 묻은 흙, 오물 등을 씻어내고 긴급 병해충 방제를 실시합니다.

인명피해와 재산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는 여름철 폭우! 알려드린 안전수칙에 따라 유비무환의 자세로 대비해 주시는 것이 중요한데요. 소중한 가족, 이웃과 함께 안전수칙 준수하며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해요!

{"title":"폭우, 이렇게 대처하세요! 여름철 폭우 안전수칙","source":"https://blog.naver.com/ulju_love/223164851895","blogName":"울산광역시..","blogId":"ulju_love","domainIdOrBlogId":"ulju_love","logNo":223164851895,"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