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년 전
[해랑] 해운대 속 숨은 옛이야기를 찾아서, 해운대의 지명유래부터 설화까지
안녕하세요! 해랑10기 부산워커 입니다!
오늘은 부산 해운대구에 미처 알려지지 않은 옛 이야기들을 함께 살펴보려고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해운대구의 지명 유래와 관련된 재미있는 이야기들을 소개해드릴게요!
부산 해운대구는 그 자체로 역사와 이야기가 가득한 곳입니다.
이곳에는 수많은 지명과 전설, 아름다운 풍경이 숨어 있습니다. 그 중 몇 가지를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 '해운대'로 불리게 된 유래에 대해서
해운대는 한국 8경 중 하나로 꼽히는 명승지로,
예로부터 많은 사람들의 찬사를 받았습니다.
이러한 해운대의 지명 유래에 대해 알아보면,
신라 말기의 학자 최치원 선생의 이야기속에서 만나볼 수 있습니다.
최치원 선생은 난세를 비관하며 해인사로 들어가던 길에
동백섬 암반 위에서 멋진 풍경을 발견하게 됩니다.
그 풍경에 감탄한 최치원 선생은 자신의 호를 따서 '海雲臺(해운대)'라고 바위에 새겼습니다.
이 세 글자는 오늘날도 바위에 뚜렷이 새겨져 있어 해운대의 지명 유래를 엿볼 수 있습니다.
그러한 이유에서 현재 해운대 동백섬에는
이러한 지명의 유래가 된 최치원 선생 동상을 만날 수 있답니다.
- 해운대구의 오랜 옛날 속 나라, 장산국
부산 해운대구의 역사적인 지명 중 하나인 '장산국'은
삼한 시대의 소국으로 전해져 왔습니다.
이곳은 통일 신라 신문왕 시대에 온천으로 유명한 지역으로 기록되어 있죠.
장산국은 '삼국유사'에는 통일 신라 신문왕 시대에 온천으로 유명한
'장산국(혹은 내산국)'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또한, '동래현의 별칭'으로도 언급되어 있죠.
이러한 기록들은 장산국의 존재를 증명하는 중요한 단서입니다.
이러한 장산국의 위치에 대한 여러 가설 중 부산 해운대구는 유력한 지역입니다.
'대동지지'에는 장산국의 옛터가 '동래 도호부의 동쪽 10리에 있다'는 내용을 통해 보건데,
장산국은 해운대구 주변으로 추정되며
현재로서는 장산국이 통일 신라 시대 이후에 사용된 지명으로
해운대구의 큰 산인 장산을 두고 만들어졌다는 의미로 추측되고 있답니다~
- 해운대 송정동 지명과 관련된 조선시대 이야기
1996년에 발행된 '해운대 민속'에 실린 '송정 지명 유래'를 통해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송정동 송정 마을에서
전해지는 흥미로운 이야기를 알아볼 수 있습니다.
임진왜란 이전까지, 송정은 '가라(加羅)'라고 불렸던 곳이었습니다.
그러나 임진왜란 시기에는 왜군들 사이에서
"조선에 가면 송자(松字)를 주의해라."라는 소문이 돌았다고 합니다.
이를 통해 '송(松)자'가 붙은 지명이 있는 곳은
왜군들이 침범하지 못한다는 이야기가 퍼졌고,
이런 이야기로부터 우리 나라 여러 지역에는 왜군을 피하기 위해
'송정'이라는 명칭이 생겨났습니다.
그리고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송정 마을의 명칭도 이때 탄생했다고 전해집니다.
- '청사포'에 담긴 아름다운 전설
청사포는 '푸른 구렁이의 포구'라는 뜻을 가진 지명으로,
이 지역과 관련된 아름다운 전설이 전해집니다.
이야기에 따르면, 남편이 고기잡이를 나간 뒤 난파되어 돌아오지 않았던
새 신부 김씨 부인은 매일 해안가의 바위에서
두 그루의 소나무를 심고 남편을 기다렸다고 합니다.
이렇게 수십 년 동안 남편을 기다리는 김씨 부인을 애처롭게 여긴 용왕은
'청사'라는 이름의 푸른 구렁이를 보내어
용궁에서 남편과 재회시켰다는 아름다운 전설이 전해집니다.
이 이야기로부터 '청사'라는 이름이 부여되었으며,
1920년경에는 '뱀(사)' 자를 '모래(사)' 자로 바꾸어 '청사포'로 개칭되었다고 합니다.
김씨 부인이 멀리 수평선을 바라보며 눈물을 흘리며
남편을 기다렸던 큰 소나무와 그 아래의 바위에는
'망부송(望夫松)'과 '망부암(望夫岩)'이라는 아름다운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해운대구에는 이런 지명들과 관련된 아름다운 이야기들이 많이 있습니다.
이러한 이야기들은 해운대 속 역사와 문화를 알아보며,
해운대구 곳곳의 관광지를 더 풍부하게 감상해보실 수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앞으로도 해운대구의 다양한 역사적 이야기들을 함께 탐구하며
해운대의 아름다움을 더욱 깊이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 #해운대
- #해운대의유래
- #최치원
- #해운대유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