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년 전
여름철을 시원하게 나기 위한 필수조건! 화재예방 에어컨 실외기 점검!
지난 8월 1일
수원의 한 아파트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주민들이 긴급 대피하는
사건이 있었는데요,
다행히도 인명피해 없이 진압된 이 화재는
에어컨 실외기에서
시작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자세히 알아보기▼
에어컨 실외기 화재는
매년 에어컨 가동시간이 늘어나는
7월~8월에
더욱 빈번히 일어나곤 하는데요,
소방청 통계 자료에 따르면
지난 5년간 에어컨으로 인해
발생한 화재는 총 1,168건으로
4명의 사망자와 32명의 부상자
5,037백만 원의 재산피해를
만들어 냈다고 합니다.
여느 해보다 더욱 더운 올여름,
에어컨을 더 안전하게 사용하는
'에어컨 화재 예방 요령'
지금부터 함께 알아볼까요?
에어컨 화재,
발생하는 이유는?
[전기적 요인]
에어컨 화재의 대부분은
오래된 전선에 의한 합선이나
이사 후 비전문가의 잘못된 설치
접촉 불량 등에 의해 발생합니다.
특히 밖에서 보관하는 실외기는
비나 햇빛 등 외부적 요인으로
전선을 감싸고 있는 보온재가
마모되기가 쉬운데요,
이로 인해 전선이 노출되어
외부의 습기나 먼지를 만나면
화재의 원인이 되기 쉽습니다.
[부주의]
에어컨 실외기 화재 발생의
또 다른 큰 원인 중 하나는
바로 담배꽁초인데요,
옥상에서 담배를 피운 후
실외기 인근에 꽁초를 버리거나
건물 바깥에 투기했다가
외벽에 있는 실외기에 불이 붙어
불이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기계적 요인]
실외기를 너무 벽과 딱 붙이거나
해가 잘 드는 곳에 설치할 경우
실외기가 너무 과열되어
화재가 생기기도 하는데요,
특히 폭염으로 인해
에어컨 가동이 많아지는 시기에는
과열될 가능성이 더 커지므로
실외기 관리가 꼭 필요합니다.
에어컨 화재 예방법은?
1. 전선이 훼손되거나
많은 양의 전선을 한 번에 사용하면
화재의 위험성이 짙어져
꼭 주의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2. 실외기 주변에
쓰레기나 낙엽, 종이상자 등
발화 위험 물품을
근처에 방치하면 안 됩니다.
3. 사용 전 먼지를 충분히 제거하고
이상 유무를 점검하여
화재의 위험성을 낮춥니다.
4. 실외기에 문제가 발생하면
본인이 직접 살펴보는 것보다
전문가를 통해 점검을 해야
안전도가 올라갑니다.
5. 실외기를 설치할 때는
통풍이 잘 되는지 확인하고
벽과 10cm 이상
거리를 두고 설치해야 합니다.
에어컨은 더운 여름철에
주로 사용하는 냉방기기인 만큼
오래도록 관리가 되지 않은 채
방치했다가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사용 전 충분히 점검하고
사전에 대비해둔다면
에어컨 화재 걱정 없이
안전하고 시원한 여름을
날 수 있습니다.
혹시 집이나 사무실의
실외기 점검이 아직이라면
이번 여름에는 꼭 체크하셔서
시원한 여름 보내시길 바라겠습니다!
도민의 안전한 여름을 위해
경기도소방재난본부가 노력하겠습니다!
- #경기도
- #경기도청
- #민선8기
- #변화의중심기회의경기
- #경기도민
- #소방
- #에어컨
- #실외기
- #점검
- #화재
- #예방
- #전기
- #부주의
- #전선
- #훼손
- #주의
- #발화
- #위험
- #물품
- #제거
- #통풍
- #여름
- #더위
- #119
- #경기도소방재난본부
- #합선
- #접촉불량
- #사전대비
- #대비
- #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