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남시 공무원 서포터즈

SNL크루가 직접 제작한

콘텐츠입니다.


위반건축물로 인한 피해나

전세사기와 같은

각종 사회적 문제들이 심각한 요즘,

이를 최대한 예방하기 위하여

건축물을 사기 전 확인할 것들을 알아보려 합니다.


“불법 건축물로 인한 피해 사례 증가...전세사기 확률도 높아”

“빌라 싸서 샀는데, 근린생활시설 불법건축물이라네요”

“전세사기 남일 아니다... 계약 전 반드시 체크해야 할 이것”

각종 언론에서 볼 수 있듯

최근 대두되는 전세사기와 함께

거론되는 위반건축물의 현실입니다...

첫 번째로 '건축물대장 확인하기'입니다.

건축물대장은 “정부24” 또는

건축행정시스템 “세움터”에서

온라인으로 발급이 가능합니다.

온라인 발급 및 열람은 무료이니

꼭 이용해보세요!

※구청 방문 발급 시

수수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대장을 열었을 때

'위반건축물'이라고

노란색으로 표시된 마크가 있습니다.

이는 현재 구청으로부터

불법건축물로 적발되어 관리 중인

위반건축물입니다.

잠깐!

이 표시가 발견되었다고

무작정 구매를 포기하지 마시고

어떤 위반인지를 확인하셔야 합니다.

위반건축물이라고 해서

무조건 거래가 불가한 것은 아니거든요!

쉽게 원상복구할 수 있는 불법이라면

구매 후 원상복구하여

위반건축물 표시 제거 후 사용하시거나,

집주인에게 원상복구를

요청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어떤 위반에 해당하는지 건축물대장에

예시와 같이 기재가 되어 있으며

자세한 내용이 누락되어 있을 시에는

구청에 문의하시면 됩니다.

다음으로는 ‘현장 방문하기’입니다

구청에서 모든 불법 사항을

100% 관리할 수 있으면 좋겠지만

현실적인 여러 어려움이 따른답니다...

따라서 위반건축물 표시가 없더라도

위반건축물일 수 있습니다!

대장을 프린트 한 뒤에

건축물과 꼼꼼히 비교해봅니다.

주거는 주거로 쓰이고 있는지,

근생은 근생으로 쓰이고 있는지,

세대수는 맞는지,

증축한 부분은 없는지,

주차대수는 그대로 보존되어 있는지

등을 확인합니다.

한발 더 나아가기!

건축주는 대부분 건축도면을 가지고 있습니다.

건축도면이 없다면

건축주는 구청에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건축주에게 건축도면을 요청하여

한층 한층 비교해 보시면

좀 더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모르면 물어봐요 우리!

‘위반건축물’ 표시가 있는데

어떤 불법인지 모르겠다고하시면

구청에 문의해주시면 됩니다

또한 공인중개사 분들께 여쭤봐도

기본적인 위반사항에 대해 알고 계신 경우도 많아요.

요즘 깡통전세 문제가 심각한 만큼

거래전에 꼭 경기부동산포털에서 운영하는

<깡통전세 피해예방 상담센터>도 이용해봐요!

깡통전세 피해예방 상담센터:

https://consult.kapanet.or.kr/

→ ‘깡통전세(전세사기)유형 및 예방법’ 확인

전세사기 및 깡통전세에 관한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자료들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깡통전세 유형 및 예방법.pdf
파일 다운로드
첨부파일
전세보증금을 지키기 위한 핵심 체크리스트.pdf
파일 다운로드

출처 표기:

사용된 아이콘은

해당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후

사용​한 것임을 알려드립니다.

https://www.flaticon.com/

{"title":"위반건축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려면?","source":"https://blog.naver.com/sntjdska123/223096282878","blogName":"성남시 공..","blogId":"sntjdska123","domainIdOrBlogId":"sntjdska123","logNo":223096282878,"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