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산 독산성과 세마대지(사적 제140호)는 독산에 쌓은 1.095m의테뫼식 산성과 독산 정상부에 복원되어 있는 권율 장군의 승전과 관련된 장대(將臺, 장수의 지휘대)를 말한다. 독산성은 독성산성이라고도 불리는데 , 오산과 수원, 화성에 걸쳐 펼쳐진 평야 한가운데 우뚝 솟아 주변을 두루 살필 수 있는 군사적 요충지에 자리하고 있다.

독산성은 백제 시대에 처음 쌓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통일 신라와 고려 시대에도 지속적으로 이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임진왜란때 권율 장군의 승전으로 군사적 중요성이 강조되었고 여주 파사성, 용진 토성 등과 함께 도성 방어하는데 중요한 근거지가 되었다. 기록에 따르면 임진왜란 중인 선조 27년 (1594년)에 경기도 관찰사 유근이 백성들과 함께 4일 만에 고쳐 지었으며, 임진왜란 이후 선조 35년(1602년)에 방어사 변응성이 석성으로 다시 지었다. 정조 16년 (1792년)에는 약 70일간 새로 짓는 것과 비슷하게 큰 규모로 공사를 했고, 정조 20년(1796년)수원화성이 완공된 이후 협수체제(協守體制, 서로 협력하여 지키는 구조)를 구축하였다.

산꼭대기에는 세마대가 복원되어 있으며, 동문 안에 보적사가 있다. 내부시설물로 성문 5개, 치(雉,성벽의 일부를 밖으로 돌출시켜 쌓은 군사 시설) 8개, 우물 1개, 수로 1개가 남아있다.

▲ 독산성 정상에 우뚝세워져 있는 세마대 전경이다.

세마대는 임진왜란 때 권율장군의 승전과 관련하여 성 안 꼭대기에 세워진 장대로. 일제 강점기와 6.25를 거치면서 파괴되었다가 1957년 8월 15일 민관으로 구성된 '세마대 중건 위원회'에 의해 팔작지붕을 올린 정면 3칸, 측면2칸의 규모로 복원되었다. 북쪽에는 '세마대'라는 현판이, 남쪽에는 '세마대'라는 현판이 걸려 있는데, 이 중 남쪽 현판은 이승만 전 대통령이 직접 글씨를 썼다.

1831년에 편찬된 『화성지』에는 세마대와 관련하여, '도원수 권율이 독산성에 들어갔다. 성안에 샘이 적어 오래 지키기에 어려웠다. 적이 염탐하여 그것을 알고서는 급히 성을 공격하고 하였다. 권율은 군사에게 적을 향하여 말을 세우고 쌀을 흩날리게 부어 씻게 하였다. 그것을 본 왜적이 성안에 물이 많이 있다고 생각하고 마침내 포위를 풀고 갔다. 훗날 그곳을 세마대라 일컬으니 곧 지금의 장대이다.'라는 기록이 있다.

▲ 성곽 그 자체의 장려함에 압도되는 남문에서 동문으로 올라가는 성곽길이 잘 정비되어 있어서 독산성을 찾는 탐방객들이 역사의 향기를 맡으며 답사할 수 있다.

▲ 위에서 부터 시계방향으로 동문과 남문 그리고 최근에 복원완료된 북문의 모습이다.

▲ 동문근처에 있는 치성이 복원완료되어 그 위용을 드러내보이고 있다.

▲ 독산성 세마대에서 바라본 융건능과 함께 오른쪽으로 저멀리 수원 팔달산과 광교산이 보인다.

{"title":"오산 독산성 세마대 <시민기자 김현학>","source":"https://blog.naver.com/osan_si/223117666363","blogName":"오산시 블..","blogId":"osan_si","domainIdOrBlogId":"osan_si","logNo":223117666363,"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