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년 전
‘시청 들락날락’에 국내최초 뇌파를 이용한 「인공지능(AI) 신기술 몰입존」 구축
부산시청 들락날락에 국내 최초로 ‘뇌파를 이용한 인공지능(AI) 신기술 몰입존’을 설치하고
시민들에게 무료로 디지털체험 기회를 제공합니다!
전 시민 디지털 역량교육 사업 개요
규모 |
디지털배움터* 110개소 운영, 강사/서포터즈 440명 채용, 73,953명 교육 * 디지털배움터 : 주민센터, 도서관 등 생활 SOC시설을 활용한 정보화교육장으로 시민 누구나 수준별 디지털 교육을 제공하고 일상 속 디지털 문제해결을 지원하는 장소 |
추진내용 |
시민 누구나 기초에서 취업연계 교육까지 디지털역량 교육실시 ▹ 디지털기초(스마트폰, SNS 등), 생활(금융, 키오스크 등), 심화(자격증, SW코딩 등), 특별교육 |
이 서비스는 디지털배움터 ‘전 시민 디지털 역량강화 교육사업’ 일환으로, 케이티씨에스 연합체(케이티씨에스, 동서대학교, 스마트소셜)와 협력하여 부산시민을 대상으로 인공지능(AI) 신기술 체험 기회를 제공합니다.
부산시는 20일 오전 10시 부산시청 1층 들락날락에서 인공지능(AI) 신기술 몰입형 체험존과 가상모형 무인안내기(디지털트윈 키오스크)를 구축하고, 기기 설명회와 체험 시연을 하는 등 부산시민에게 처음 선보였는데요.
‘인공지능(AI) 신기술 몰입존’은 ‘국내 최초로 뇌파를 이용한 방탈출’, ‘챗지피티 기술을 탑재한 디지털휴먼 체험’, ‘가상아이돌, 인공지능(AI)이 만든 드라마’를 동서대학교 개발연구진(AI+X융합연구센터)에서 직접 시연했습니다.
스마트소셜에서 제작한 ‘가상모형(디지털트윈) 들락날락 서비스’는 부산시들락날락 누리집에서 온라인으로 들락날락 공간 체험과 함께 들락날락에서 운영 중인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영상도 시청할 수 있습니다. 또한, 오프라인으로 현장의 키오스크를 통해 체험해 볼 수도 있습니다.
디지털체험존 설치 현황
한편, ‘부산시청들락날락’은 놀이, 독서, 디지털체험 등의 기능을 담은 신개념 어린이미래놀이터로 디지털배움터(코딩교육 등), 문화예술, 가상현실(VR)체험, 교육(영어, 심리상담 등)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또한, 부산시는 부산도서관을 비롯하여 16개 구·군 등에 디지털체험존을 구축하여 시민들에게 무료 체험서비스 제공하고 있습니다. 구·군별 총 18개소의 디지털체험존(토탈형체험존 2개소, 테마형체험존 4개소, 기본형체험존 12개소)에서 디지털기기 체험을 제공합니다.
체험존 유형 |
토탈형(2개) |
부산도서관, 부산진구청 |
테마형(4개) |
안전(센텀시티역), 미래(금정도서관), 리빙(사하평생학습관), 커리어(기장군청) |
|
기본형(12개) |
키오스크형(중구, 서구, 동구, 영도구, 동래구, 남구, 북구, 강서구, 연제구, 수영구, 사상구) |
또한, 장소를 가리지 않고 어디든지 찾아가는 이동형 체험존인 ‘에듀버스’를 함께 운영하며, 집 근처 디지털배움터(110개소)에서 스마트폰, 키오스크 등 디지털 교육도 진행합니다. 교육 신청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디지털배움터 콜센터(☏1800-0096)로 문의하거나, 부산시청 누리집(디지털배움터) 또는 디지털배움터 공식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부산시청 들락날락’ 디지털체험존 서비스 개시와 함께 앞으로도 지속해서 시민들에게 다양한 디지털 교육의 기회와 최신의 디지털 체험기회를 제공하여 디지털 격차가 없는 부산시를 만들겠습니다!
- #부산시
- #부산시청
- #부산광역시
- #들락날락
- #어린이체험
- #디지털체험
- #디지털트윈
- #부산어린이복합문화공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