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년 전
모든 난임부부에게 시술별 횟수제한 없이 시술비를 지원합니다!
난임부부들 모두 주목!
7월 1일부터 실질적 지원이 필요한
난임부부들을 위해
소득기준과 상관없이
회당 최대 110만 원의 시술비를 지원하고
시술별 횟수 제한을 폐지합니다.
자세한 내용, 함께 살펴볼까요?
난임부부를 위한
시술비 지원 확대!
▶ 1. 종로구에 사는 5년차 맞벌이 난임부부는 아이를 갖기 위해 시술비 지원을 받고 싶었지만, 부부합산 의료보험료가 기준을 초과해 난임지원 대상이 되지 못했다. 임신을 위해 휴식과 함께 시술비 지원을 받기 위해 결국 아내가 휴직을 선택했다. ▶ 2. 11년차 직장인 김모씨(46세)는 임신을 위해 휴직한 후 난임시술에 집중하고 싶었으나, 남편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초과로 난임지원을 받을 수 없었다. 고액의 시술비로 경제적 부담이 커서 지속적으로 시술을 시도하는데 많이 망설였다. |
한 해 출생아 10명 중 1명이
난임 치료를 통해 태어나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22년 기준)
시험관, 인공수정 등의 난임 시술은
시술당 150~400만 원으로
난임부부들에게 비용 부담이 있어
실질적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었는데요,
이러한 난임부부들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 저출생을 해결하기 위해
7월 1일부터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소득기준과
난임 시술별 횟수 제한을 폐지합니다.
기존에는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가구만
시술비를 지원받을 수 있었지만
모든 난임부부가 회당 20~110만 원까지
시술비를 지원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 신선배아 10회, 동결배아 7회,
인공수정 5회였던
시술별 횟수 제한을 폐지하면서
총 22회 범위 안에서
적합한 시술을 받을 수 있게 되었는데요,
시술비는 총 22회 안에서
1회당 상한액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지원금액 알아보기 ▼
지원대상 (시술 횟수) |
시술종류 |
1회당 지원 상한액 |
|
만 44세 이하 |
만 45세 이상 |
||
모든 난임부부 (총 22회) |
신선배아 |
최대 110만원 |
최대 90만원 |
동결배아 |
최대 50만원 |
최대 40만원 |
|
인공수정 |
최대 30만원 |
최대 20만원 |
이러한 난임 시술비 지원 확대는
내년부터 시행할 예정이었으나
실질적 도움이 필요한
많은 난임부부들을 위해
7월부터 앞당겨 시행합니다.
이를 위해
사회보장제도 변경 협의, 추가예산 확보 등
사전 준비 절차를 신속하게 이행했습니다.
난임 시술비 지원,
어떻게 신청하나요?
난임 시술비 지원은 사실혼 포함
서울시에 6개월 이상 거주한 난임부부가
온라인 또는 보건소에 전화·방문 상담으로
신청하면 서류 확인 등을 거쳐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신청방법
✔️ 정부24 로그인 및 접속 ▷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신청
✔️ e보건소 공공포털 ▷ 의료비 지원 ▷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신청
✔️ 주민등록 거주지 보건소 방문
이 밖에 궁금하신 사항은
서울시임신출산정보센터 누리집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서울시임신출산정보센터 바로가기 ▼
▼ 문의사항 ▼
종로구 |
건강증진과 가족건강팀 |
2148-3593, 3597 |
중구 |
지역보건과 모자보건팀 |
3396-6357, 6358 |
용산구 |
건강관리과 모자보건팀 |
2199-8077, 8076 |
성동구 |
건강관리과 가정건강팀 |
2286-7089, 7168 |
광진구 |
건강관리과 가족건강팀 |
450-1967, 1960 |
동대문구 |
지역보건과 가족건강팀 |
2127-5388, 5189, 5360 |
중랑구 |
건강증진과 모자보건팀 |
2094-0874, 0172 |
성북구 |
건강관리과 모자보건팀 |
2241-6003 |
강북구 |
지역보건과 가족건강팀 |
901-7765 |
도봉구 |
지역보건과 모자보건팀 |
2091-4553, 4556 |
노원구 |
생활보건과 모자보건팀 |
2116-4364 |
은평구 |
건강증진과 가족건강팀 |
351-8234, 8206, 8228 |
서대문구 |
지역건강과 모자보건팀 |
330-1875, 1473 |
마포구 |
건강동행과 햇빛센터팀 |
3153-9088, 9075 |
양천구 |
지역보건과 모자보건팀 |
2620-3834, 4332, 3914 |
강서구 |
건강관리과 모자보건팀 |
2600-5893, 5986, 5863 ,5936 |
구로구 |
건강증진과 모자보건팀 |
860-3251, 2275 |
금천구 |
건강증진과 모자보건팀 |
2627-2675, 2643 |
영등포구 |
건강증진과 모자보건팀 |
2670-4743, 4740 |
동작구 |
건강증진과 모자건강팀 |
820-9579, 9594 |
관악구 |
지역보건과 모자보건팀 |
879-7153 |
서초구 |
건강관리과 모자보건팀 |
2155-8086, 8365, 8363 |
강남구 |
건강관리과 모자건강팀 |
3423-7105 |
송파구 |
생애건강과 모자보건팀 |
2147-5020, 3753 |
강동구 |
건강증진과 가족건강팀 |
3425-6687, 6738 |
난임부부를 위한 시술비 지원
확대 소식을 전해드렸는데요,
실질적 지원을 위해
앞당겨 시행하는 만큼,
경제적 부담은 줄이고
임신 성공률은 높일 수 있는
난임 시술비 지원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관련게시물] 임산부·출산가정 지원책
- #서울시
- #난임부부
- #난임
- #난임지원
- #저출생
- #초저출생
- #저출생지원
- #난임부부지원
- #난임시술비지원
- #난임시술비
- #신청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