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2기 인천시 SNS 서포터즈 조헌숙]

대한민국의 해발 고도

근원이 되는 측량 기준점

인천에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시나요?

대한민국 수준원점

국토 높이를 측정하는 기준으로

측량의 역사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지난주 대한민국 수준원점을 찾으러

인하대학교 교정을 찾았습니다.

마침 졸업식이 진행 중이어서

에너지 넘치는 진귀한 광경을

보기도 했습니다.

대한민국 수준원점

대한민국 수준원점

1963년에 설치가 되었다고 하는데,

학교 다닐 때 이러한

문화재가 있다는 것을

전혀 모르고 있었던 터라

개인적으로 더 호기심이

갔었던 것 같습니다.

대한민국 수준원점은

인하공업전문대학 쪽에

자리하고 있어서

학생회관에서 전문대학 쪽으로

방향을 틀어서 가다 보면

대한민국 수준원점 이정표를

만날 수 있습니다.

이정표를 따라서

좌회전을 하면 저 멀리

하이테크 센터 건물이 보이고,

그 오른편으로

대한민국 수준원점이 있습니다.

바로 이 시설물이

대한민국 수준원점으로,

우리나라 국토 높이를 측정하는

기준점이 되는 곳입니다.

평균 해수면과의 차이를 측량하여,

1963년에 육지에 설치해 놓은 시설물로,

표준고도는 26.6871m입니다.

수준원점은 원형으로 된

벽돌 건축물로 되어 있는데,

이 안에는 받침돌 위에

육면체의 설치대를 얹고,

그 위에 표시를 하였으며

벽돌로 보호를 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해발 고도의

근원이 되는 수준원점이

인하공전 캠퍼스에 옮겨졌으며,

이곳에서의 수준원점을 이용하여

전국의 국가 기준점을 결정하고 있죠.

여러 자료들을 참고하다 보니

대한민국 수준원점이 지니는 가치가

굉장히 대단한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는데요.

그 위치가 인천에 있다고 하니

뿌듯하고 좋았습니다.

한국 최초, 인천 최고 100선에도

선정되어 있는 대한민국 수준원점

앞서 말씀드렸듯,

우리나라 해발 고도 측량의

기준점입니다.

자세히 들여다보면

해발 26.6871미터 표시를

볼 수 있는데요.

수준원점은 중요한 시설물로

역사적 가치가 매우 큰 곳이며,

2006년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이 되었습니다.

아이들과 인천 소재

대한민국 수준원점을 찾아보는

활동도 재미가 있을 것 같은데,

해발고도에 대한 이해,

그리고 수준원점에 대한 정의 등을

꼼꼼하게 체크하고 읽어가면서 찾아보면

재미있는 활동이 될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모든 높이의 기준을 정하기 위해

설치한 시설물인 수준원점은

그 역할이 굉장히 대단한 것 같습니다.

주변으로 쉼터도 마련되어 있으니,

등록문화재도 살펴보고

쉬었다 가도 좋을 것 같습니다.

<대한민국 수준원점>


{"title":"우리나라 높이의 기준! 국가등록문화재 대한민국 수준원점","source":"https://blog.naver.com/incheontogi/223359562477","blogName":"인천광역시..","blogId":"incheontogi","domainIdOrBlogId":"incheontogi","logNo":223359562477,"smartEditorVersion":4,"blog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me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