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중구 가볼만한 곳!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기록물이 있는

'국채보상운동기념관'

국채보상운동기념관은 대구에서 시작되어

전국을 휩쓴 국채보상운동의 정신을

계승, 발전시키고자 건립되었으며

2011년 10월에 개관하였습니다.

이 운동은 전국민적 외채갚기 운동으로써

일반 평민들이 주도한 한국최초의

시민운동이었으며 부녀자들이 대거 참여한

한국최초의 여성운동이자

전국민 기부운동이기도 합니다.

이 운동의 전 과정을 알 수 있는

국채보상운동기록물은 2475건이 있으며

이는 2017년 10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그 생생한 흔적을 전시실과

영상자료를 통해 엿볼 수 있는 곳이 바로

국채보상운동기념관이죠.

대구 중심가에 위치하고 있는

국채보상운동기념관은 국채보상공원과 함께

대구 시민들에게는 도심 속에서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장소입니다.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면서

대구시민으로서 자부심을 가지고

꼭 가봐야하는 공간이죠.

주소: 대구 중구 국채보상로 670

관람시간: 09:00 ~ 17:00

휴관일: 매주 월요일, 1월 1일, 설, 추석명절

문의: 053-745-6753

대구 중구 중심가에 4만 3000㎡의 면적으로

1982년 도시계획상 동인공원으로 고시되었으며,

1997년 10월 10일, 지금의 국채보상기념공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고 합니다.

지금의 명칭은 한말에 고종황제로부터

천민까지 담배를 끊고 금가락지를 모아

일본에 진 빚을 갚자며 벌인

국채보상운동의 정신을 기리고

IMF(국제통화기금)라는 외환위기를 맞아

신국채보상운동으로 이를 극복하자는

뜻을 담고 있다고 합니다.

국채보상운동은 교과서에서

잠시 몇 줄로 설명되었던 것이 전부였기에

그 의의에 대해서 사실 많이 알 수는 없는데요.

국채보상운동기념관은 이 모든 사실에 대한

기록물을 전시하고 있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도록 설명한 전시관입니다.

일본은 국채보상운동을 주도한

대한매일 신보의 양기탁에게

공금횡령이라는 누명을 씌워

반감을 갖게 했다고 하는데요.

국채보상운동의 결과

일본에게 진 빚은 갚지 못했지만

학생들과 여성들도 참여한 범국민적

경제주권 수호 운동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대한제국 당시 나라빚은 1,300만원 이었고

지금으로 따지면 3,300억원이라고 합니다.

일제의 차관은 대한제국을 발전시키겠다는

명목을 보였으나 실제로는 식민지화를 위한

책략이었던 것이죠.

기념관 내 한국의 세계기록유산에 대한

설명과 명시도 잘 되어 있는데요.

국채보상운동 기록물은 2017년 10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고

특별전시실에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추진 과정 및 인증서 등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전세계에 기억되는 국채보상운동!

대구시민으로서 자랑스럽고

무엇보다 나라를 위해서 대구시민들이

불꽃같이 일어났다는 의의를 통해

학생, 시민들 누구나 이 기록물을 보고

나라에 대한 애착을 더욱 가질만한

장소가 아닌가 싶습니다.

일제의 탄압과 국채보상운동의 좌절,

국채보상의 연금처리,

국채보상운동이 남긴 희망, 결실,

그 후 기록물들이 이렇게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아이들과 함께 방문하여

해설사 선생님과 함께 둘러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전시관 내에는 탁본체험도 할 수 있습니다.

만든 탁본은 직접 가져갈 수 있어서

국채보상운동기념관을 방문한

좋은 기념품이 되기도 하지요.

다음 사람을 위해서

1인 1장만 사용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조금 더 쉽게 국채보상운동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고자 이렇게

영상으로도 보여주고 있습니다.

1900년 대 당시 서문시장의 배경을 통해

더욱 사실적인 관람이 가능하죠.

전시관 내에는 국채보상운동에 동참했던

앉은뱅이, 어린아기, 기생 심지어 도둑떼까지

모금운동에 동참했다고 합니다.

모두가 한마음으로 애국운동에

동참한 그 열기가 지금까지도

느껴지는 듯합니다.

그때 당시 서문시장에서는

가난한 짚신장수부터 떡장수, 생선장수,

나물파는 상인부터 마부, 노비, 기생까지

애써 번 돈을 아낌없이 내놓았고

이런 운동의 감동은 대구를 넘어

전국적으로 퍼지면서 민족적 주권수호

운동으로 승화되었다고 합니다.

나라를 살리기 위해서 아껴둔 가락지, 패물 등

돈 될만한 것들은 모두 들고 나와

이렇게 나라를 살리기 위해 동참한

국민들의 모습을 보면서 후손인 우리들이

배우고 또 깨달아야 될 정신이 아닌가 싶습니다.

기념관 지하로 내려가면

여성들의 의연 활동에 대해

조금 더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는데요.

신분을 뛰어넘은 기생들의 의연활동과

전국적으로 번진 국채보상운동의

불씨도 살펴볼 수 있습니다.

그 당시의 안중근 의사 역시

국채보상운동에 동참하였는데요.

평양에서 뜻있는 선비 천여명을 모아

연설을 하고 의연금을 모았다고 합니다.

나라를 위해 본인의 목숨까지 내놓았던

안중근 의사의 이야기도 빼놓을 수 없죠.

전국민이 한 푼, 두 푼 모은 돈은

그 댱시 약 20만원으로 추정되며

국권이 빼앗긴 후 1910년 말

15만원이 일제 경무총감부에 귀속되었다고 합니다.

국채보상운동은 일제의 온갖 훼방으로

결국에는 좌절되었지만, 이 때 형성된

국민의 힘과 애국정신은 훗날 3.1 독립만세운동,

물산장려운동, 민립대학 설립운동 등

독립운동을 지속할 수 있었던

민족의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대구 중구 역사의 산증인!

국채보상운동기념관은 이렇게

많은 것을 보여주고 있고,

또 우리가 더 많이 관심을 가지고

찾아가야 할 장소로 적극 추천해봅니다.


{"title":"대구 중구 가볼만한 곳!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기록물이 있는 '국채보상운동기념관'","source":"https://blog.naver.com/dgjunggu/223057727913","blogName":"대구광역시..","blogId":"dgjunggu","domainIdOrBlogId":"dgjunggu","logNo":223057727913,"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